한복기능사(2006. 10. 1.) 시험일자 : 2006년 10월 1일
1과목 : 임의 구분
1. 다음 섬유 중 내일광성이 가장 좋은 것은?
- ① 아세테이트
- ② 폴리비닐알콜계 섬유
- ③ 폴리아미드계 섬유
- ④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다음 중 동물성 섬유에 해당되는 것은?
- ① 면
- ② 마
- ③ 견
- ④ 아세테이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겨울철 한복의 재료로써 사용되는 것은?
- ① 자미사, 명주, 공단
- ② 숙고사, 관사, 모시
- ③ 숙고사, 항라, 자미사
- ④ 생고사, 은조사, 항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다음 중 강력과 신도가 크고 흡습성이 좋으며 열전도율이 적으면서 공기의 함량이 많고 보온력이 좋은 것은?
- ① 합성섬유
- ② 나일론섬유
- ③ 마섬유
- ④ 견섬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면의 특성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공정 수분율이 8.5%이며 위생적이다.
- ② 강도가 높고 물에 젖으면 약간 약해진다.
- ③ 섬유에 중공과 천연 꼬임이 있다.
- ④ 알칼리에 강하나 산에는 약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나일론 섬유를 구성하고 있는 화학 결합은?
- ① 아미드 결합
- ② 펩타이드 결합
- ③ 시스틴 결합
- ④ 에스테르 결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다음 중 아세톤에 용해되는 섬유는?
- ① 목면
- ② 비단
- ③ 아세테이트
- ④ 나일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수자직에 속하는 것은?
- ① 포플린
- ② 옥양목
- ③ 공단
- ④ 개버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다음 중에서 여름철 한복 적삼의 재료로서 많이 사용되는 것은?
- ① 명주, 항라, 은조사, 생고사
- ② 명주, 은조사, 생노방, 인견
- ③ 인견, 숙고사, 명주, 갑사
- ④ 모시, 항라, 생고사, 은조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얼룩빼기에서 알칼리에 가장 안정한 섬유는?
- ① 공단
- ② 모시
- ③ 견
- ④ 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조선시대 여자 어린이의 의복색의 아닌 것은?
- ① 다홍색 치마와 노랑색 저고리
- ② 남색 치마와 분홍색 저고리
- ③ 다홍색 치마와 연두색 저고리
- ④ 초록색 치마와 다홍색 저고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색입체는 색상, 명도, 채도에 의하여 색을 3차원의 입체로 배열하여 만든 구조체이다. 다음 중 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 ① 색상은 8등급으로 나누어 가장 순수한 색상이 5가 된다.
- ② 명도는 완전한 검정색을 0으로한다.
- ③ 채도는 색의 순도가 증가함에 따라 숫자가 높아진다.
- ④ 색체는 색입체 상에서 고유한 위치인 좌표점을 가지며 색체의 좌표점은 색상, 명도, 채도의 순서로 나타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궁중 아이나인(內 人)의 예장용 머리로 두발을 두 갈래로 땋고 이것을 다시 올려 아래ㆍ위로 두 덩어리가 지도록 잡아맨 후 여기에 뒤꽂이를 꽂고 댕기코에도 석웅황(石雄黃) 같은 것으로 장식한 것은?
- ① 조짐머리
- ② 새앙머리
- ③ 어여머리
- ④ 첩지머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상부와 하부가 풍성하고 허리부분을 꼭 끼게 한 형태의 실루엣은?
- ① 스트레이트 실루엣
- ② 아워글라스 실루엣
- ③ 벌크 실루엣
- ④ 배럴 실루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조선시대 관례에 따른 계절별 한복에서 주로 중년층이 겨울에 즐겨 입던 치마, 저고리 색은?
- ① 다홍 저고리와 노랑 치마
- ② 분홍 저고리와 남색 치마
- ③ 옥색 저고리와 남색 치마
- ④ 녹색 저고리와 다홍 치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다음 한복에서 황금비를 이루지 않는 옷은?
- ① 색동저고리의 앞ㆍ뒷길이 차이
- ② 삼국시대의 상의와 하의의 길이
- ③ 짧은 치마 저고리에서 치마와 저고리의 길이
- ④ 스란치마에서 치마길이와 스란 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다음 중 한복의 미적 측면에서 완전한 질서에 의한 안정성이 나타나는 좌ㆍ우 대칭균형(Formal balance)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① 조끼
- ② 저고리
- ③ 마고자
- ④ 전복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키가 작고 마른 사람의 복식 특징으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
- ① 뻣뻣한 옷감을 사용하고 밝은 색채를 선택한다.
- ② 적당히 여유있게 입는다.
- ③ 치마, 저고리의 색을 동일하게 사용한다.
- ④ 치마폭 사이에 바이어스를 대거나 수직선을 장식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조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우리나라에서 처음 사용된 것은 갑오경장 후 일본에서 영향을 받았다.
- ② 조끼는 겹조끼와 홀조끼가 있다.
- ③ 주머니를 만들 때 좌우 일그러지지 않도록 정확하게 맞추어서 바느질을 하여야 한다.
- ④ 본뜨기에서 필요한 치수는 가슴둘레와 등길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다음 중 전통적인 여자한복 색이 아닌 것은?
- ① 옥색 저고리, 옥색 치마
- ② 노랑색 저고리, 남색 치마
- ③ 초록색 저고리, 다홍색 치마
- ④ 갈색 저고리, 미색 치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과목 : 임의 구분
21. 재봉틀의 실채기 기구는 어떤 작용을 하는가?
- ① 노루발을 앞뒤로 움직여 주는 작용
- ② 윗실을 걸어내고 압력 조절을 하는 작용
- ③ 바늘대를 상하로 움직이는 작용
- ④ 윗실을 바늘귀로 유도하고 장력을 유지하는 작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2. 솔기를 튼튼하게 하거나 장식을 목적으로 박는 바느질로 가장 적당한 것은?
- ① 직선 박기
- ② 상침 박기
- ③ 곡선 박기
- ④ 모서리 박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3. 남자 한복의 바지 만들기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큰 사폭은 앞, 뒤 모두 왼쪽으로 오도록 바느질 한다.
- ② 계절에 따라 솜바지, 누비바지, 겹바지, 홀바지 등으로 구분한다.
- ③ 마루폭은 골 선으로 마름질하는데 유의하여야 한다.
- ④ 작은 사폭은 큰 사폭에 붙일 때 식서 방향과 시접 꺾는 방향에 유의하여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4. 깨끼저고리를 만들 때 사용하는 솔기는?
- ① 홑솔
- ② 가름솔
- ③ 통솔
- ④ 곱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결혼예복으로 키가 작고 뚱뚱한 사람에게 가장 적합한 옷감은?
- ① 가볍고 촉감이 부드러우며 온화한 광택이 약간 있고 드레이프가 있는 것이 적합하다.
- ② 어느 정도 무겁고 빳빳하고 선이 살아 있는 것이 적합한 옷감이다.
- ③ 늘어지는 옷감으로 신체선을 그대로 나타내는 것이 날씬해 보여 시각적으로 좋다.
- ④ 광택이 있고 탄력성이 있으며 약간은 두꺼운 것이 적합한 옷감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다음 그림과 같은 다림질의 적합한 온도는?
- ① 80~120℃
- ② 140~160℃
- ③ 180~210℃
- ④ 180~25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풀감의 종류 중 전분풀이 아닌 것은?
- ① 쌀
- ② 밀가루
- ③ 코온스타치(3~4%)
- ④ CMC(0.5~1%)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여자 저고리의 표준치수 중 중간저고리의 소매부리치수는?
- ① 10Cm
- ② 13.5cm
- ③ 16cm
- ④ 18c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9. 다음 중 삼회장저고리를 제도할 때 반드시 있어야 할 치수가 아니 것은?
- ① 화장
- ② 곁마기 치수
- ③ 저고리 길이
- ④ 가슴둘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한복 세탁 방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옷감과 오염의 종류에 따라 세탁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 ② 비단옷은 반드시 드라이 클리닝을 하여야 한다.
- ③ 모시는 물 빨래 한 후 풀을 먹여 다듬어야 한다.
- ④ 세탁물을 헹굴 때는 반드시 뜨거운 물에 헹구어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치마의 허리달기 방법 중 옳은 것은?
- ① 치마 겉에 어깨허리 겉을 대고 주름선을 박는다.
- ② 치마 겉에 어깨허리 안을 대고 주름선을 박는다.
- ③ 치마 안에 어깨허리 안을 대고 주름선을 박는다.
- ④ 치마 안에 어깨허리 겉을 대고 주름선을 박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단추 구멍을 만드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 ① 단추 구멍의 크기는 “단추지름+0.3cm"이다.
- ② 실 단추 구멍을 만들 때 실은 단추 구멍 길이의 25~30배 정도로 준비한다.
- ③ 단추 구멍의 위치는 앞 중심선에서 실기둥만큼 밖으로 내어 정한다.
- ④ 첫째 단추 구멍은 위에서 5~6cm정도 내려 위치를 정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세탁 후 유연제로 처리함으로써 얻는 주된 효과는?
- ① 강도증가
- ② 탄력성 증가
- ③ 대전성 감소
- ④ 취화성 감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품이 23~24cm정도의 여자 저고리 위에 입는 두루마기로 가장 적당한 무의 너비는?
- ① 8~10.5cm
- ② 10.8~12.6cm
- ③ 12.9~15.6cm
- ④ 16.4~17.4c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도련 박음질에 있어서 땀새에 주름이 지는 경우와 관계가 가장 먼 것은?
- ① 바늘, 옷감, 실의 조절이 나쁠 때
- ② 톱니의 조절이 나쁠 때
- ③ 조임 나사가 헐거울 때
- ④ 노루발 조절을 잘못했을 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6. 성인남자 저고리에서 깃 너비의 표준치수는 어느 정도인가?
- ① 4cm
- ② 5cm
- ③ 7.5cm
- ④ 9.5c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모직물의 다림질 온도로 적합한 것은?
- ① 120~150℃
- ② 180~220℃
- ③ 150~180℃
- ④ 80~12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의복의 보관법으로 틀린 것은?
- ① 비닐봉지에 밀봉해 둠
- ② 얼룩을 빼서 둠
- ③ 삶아서 다려 둠
- ④ 풀을 먹여서 다려 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총 치마폭이 225cm(2.5폭), 치마 허리 둘레가 96cm, 주름 너비가1cm, 안자락 여밈 부분이 10cm일 때 주름 1개를 위한 옷감의 너비는?
- ① 1cm
- ② 1.5cm
- ③ 2.5cm
- ④ 3.5c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옥양목에 가장 적합한 실의 굵기와 재봉틀 바늘의 종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 ① 견사 : 21D3×4, 바늘 : 11~13호
- ② 면사 : 40~50번수/3, 바늘 : 11~13호
- ③ 면사 : 60~80번수/3, 바늘 : 11~13호
- ④ 폴리에스테르 : 40~50D, 바늘 : 11~13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과목 : 임의 구분
41. 흰 저고리에 립스틱에 묻었을 경우 가장 적합한 제거 법은?
- ① 지우개 고무-벤젠-비눗물-표백
- ② 더운물-비눗물-표백
- ③ 비눗물-알코올-휘발유
- ④ 더운물-비눗물-벤젠-표백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수돗물이 없는 경우 세탁수로 사용할 수 있는 물로 가장 좋은 것은?
- ① 빗물
- ② 센물
- ③ 우물물
- ④ 바닷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3. 견 섬유를 장기간 보관할 때 취화(脆化)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 ① 세탁을 깨끗이 하여 보관한다.
- ② 외기의 습기나 열에 영향을 받지 않은 장소를 선택하여 보관한다.
- ③ 초산나트륨의 1%용액에 담갔다가 건조시켜 보관한다.
- ④ 햇빛에 장시간 쪼여 습기를 없애고, 살균을 하여 보관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두꺼운 옷감의 단을 튼튼하고 편안하게 처리하거나 예쁘게 장식할 때 사용되며 겉으로 실이 나타나지 아니하는 바느질 방법은?
- ① 새발뜨기
- ② 공그리기
- ③ 휘갑치기
- ④ 반박음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5. 치마의 조끼허리 길이는 저고리 길이보다 어느 만큼 짧게 하여야 보기 좋은가?
- ① 0.1~0.2cm
- ② 0.5~1cm
- ③ 2~3cm
- ④ 5~7c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6. 삼국시대 복식 중 깃과 끝동, 도련, 등에 색이 다른 옷감으로 둘러 입었는데 이것의 명칭은?
- ① 선
- ② 곁마기
- ③ 회장
- ④ 고습(袴褶)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7.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 사요법이 잘못된 것은?
- ① 8월 추석에는 단작노리개를 찼다.
- ② 장도는 호신용으로도 사용했다.
- ③ 노리개는 궁중에서는 물론 평민에 이르기까지 많은 여성들이 애용했다.
- ④ 일반 부녀자들은 괴불을 만들어서 차기도 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조선시대 활옷에 수 놓은 모란 문양이 상징하는 뜻은?
- ① 부귀영화를 누리고자 하는 염원의 표출이다
- ② 소박한 자연주의의 표출이다.
- ③ 지배층의 권위를 상징하는 길상의 뜻이다.
- ④ 현세에서 오래 살기를 염원하는 장수사상의 뜻이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조선조 적이(翟衣)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① 조선시대 말기 황후의 적의는 대홍색 이었다.
- ② 간이예복 또는 소례복으로 평복 위에 착용하였다.
- ③ 적의는 민서가 함께 입었다.
- ④ 임진왜란 후 왕비의 적의는 대홍단으로 지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한국 복식의 기본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① 저고리
- ② 치마
- ③ 바지
- ④ 마고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조선시대 여인들의 가장 안쪽에 입는 속옷으로 착용되었던 것은?
- ① 속속곳
- ② 단속곳
- ③ 너른바지
- ④ 다리속곳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스란치마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치마 밑에 입어서 치마를 부풀게 하는 것
- ② 스란 단을 두 층으로 붙인 치마
- ③ 평민여자들이 입던 폭넓은 치마
- ④ 스란 단을 한 층으로 치마에 붙인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3. 삼작 저고리란?
- ① 속적삼, 겹저고리, 웃저고리
- ② 속적삼, 속저고리, 웃저고리
- ③ 속저고리, 홑저고리, 겨벚고리
- ④ 홑적삼, 속적삼, 웃저고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조선시대 때 여자복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저고리는 가슴이 보일 정도로 짧아졌다.
- ② 예복에는 스란치마, 대란치마를 입었다.
- ③ 외출시에는 장옷, 쓰개치마, 너울 등을 썼다.
- ④ 적의, 당의 등을 서민의 혼례복으로 사용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5. 화관(花冠)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 ① 칠보(七寶)로 꽃과 새 모양을 만들어 장식한 것이다.
- ② 화관의 모양은 위는 육모로 되어 밑보다 넓고 밑은 둥글며 장식으로는 위에 금박을 놓았다.
- ③ 신부 혼례시에는 족두리보다 화려했다.
- ④ 명부(命婦)와 여관(女官), 기녀(妓女), 의녀(醫女), 무녀(舞女)들의 모양은 각각 달랐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6. 고려시대 부녀의 상 ㆍ 하복식으로 맞게 짝지어진 것은?
- ① 백저의(白紵衣) - 황상(黃裳)
- ② 백저의(白紵衣) - 감상(監裳)
- ③ 황저의(黃紵衣) - 홍상(紅裳)
- ④ 녹의(綠衣) - 홍상(紅裳)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7. 의복의 종류와 형태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 ① 키톤, 로브 : 관두형
- ② 두루마기, 기모노 : 체형형
- ③ 키톤, 사리 : 권의형
- ④ 로브, 기모노 : 전개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8. 1940년대 저고리의 특징이 아닌 것은?
- ① 길이가 다시 짧아져 바스트 라인까지 근접하고 있다.
- ② 화장은 짧아진 그대로이다.
- ③ 고름은 더욱 길어졌고 이 때 고름 대신 단추나 브로우치를 이용했다.
- ④ 깃 길이가 짧아져 안깃의 교차점이 내려가서 깃이 앉혀졌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9. 조선시대 궁중에서 비ㆍ빈의 소례복이며 내ㆍ외명부의 대례복이고, 서민층의 혼례복이었던 것은?
- ① 원삼
- ② 노의
- ③ 장삼
- ④ 활옷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0. 다음 중 1900년에 제정된 문관복으로 맞는 것은?
- ① 대례복으로 유럽에서 사용하던 frock coat를 입었다.
- ② 소례복은 영국 궁중 예복을 모방한 일본의 소례복을 참작하여 만들었다.
- ③ 상복은 세비로(sack coat)를 입었다.
- ④ 공복은 상복과 통일시켜 구별 없이 입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