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2004. 10. 10.) 시험일자 : 2004년 10월 10일
1과목 : 공조냉동안전관리
1. 다음 중 냉동기의 토출압력이 이상 상승시 제일 먼저 작동되는 안전장치는?
- ① 안전두 스프링
- ② 저압차단 스위치
- ③ 고압차단 스위치
- ④ 유압차단 스위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작업환경 측정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작업장은?
- ① 산소결핍 위험이 있는 작업장
- ② 유기 용제업무를 행하는 작업장
- ③ 강렬한 소음과 분진이 발생되는 옥내 작업장
- ④ 냉동 냉장업무를 하는 작업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작업 전 기계 및 설비에 대하여 점검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 ① 방호장치의 이상유무
- ② 동력전달장치의 이상유무
- ③ 보호구의 이상유무
- ④ 공구함의 이상유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공조실 기능공이 전기에 의하여 감전이 되었다. 이 때 응급조치 방법이 아닌 것은?
- ① 인공호흡을 시킬 것
- ② 전원을 차단할 것
- ③ 즉시 의사에게 연락할 것
- ④ 감전자에게 뜨거운 물을 먹일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다음 중 산소결핍 장소가 아닌 것은?
- ① 우물 내부
- ② 맨홀 내부
- ③ 밀폐된 공간
- ④ 보일러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작업 시에 입는 작업복으로서 부적당한 것은?
- ① 주머니는 가급적 수가 적은 것이 좋다.
- ②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운 섬유질 옷의 착용을 금한다.
- ③ 옷에 끈이 있는 것은 기계작업을 할 때는 입지 않는다.
- ④ 화학약품 작업 시는 화학약품에 내성이 약한 것을 착용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전격방지기를 사용하는데 전격 방지기는 무엇을 조정하는가?
- ① 1차측 전류
- ② 2차측 전류
- ③ 1차측 전압
- ④ 2차측 전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냉동장치에서 냉매가 적정량보다 부족할 경우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 ① 냉매의 배출
- ② 누설부위 수리 및 보충
- ③ 냉매의 종류를 확인
- ④ 펌프다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아세틸렌 가스용기의 보관 장소로 적당한 것은?
- ① 습기가 있는 장소
- ② 발화성 물질이 없는 장소
- ③ 전류가 흐르는 전선근처
- ④ 직사광선이 잘 드는 창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안전모와 안전벨트의 용도는?
- ① 감독자용품의 일종이다.
- ② 추락재해 방지용이다.
- ③ 전도 방지용이다.
- ④ 작업능률 가속용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작업자의 안전 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가장 유효한 방법은?
- ① 안전표지판의 부착
- ② 안전에 관한 훈시
- ③ 안전한 환경의 조성
- ④ 안전에 관한 교육의 실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용접팁의 청소는 다음 중 무엇으로 해야 하는가?
- ① 철선이나 동선
- ② 동선이나 놋쇠선
- ③ 팁 크리너
- ④ 시멘트 바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보일러 파열사고 원인 중 가장 빈번히 일어나는 것은?
- ① 강도 부족
- ② 압력 초과
- ③ 부식
- ④ 그루빙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다음 중 줄 작업시 유의해야 할 내용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 ① 미끄러지면 손을 베일 위험이 있으므로 유의하도록 한다.
- ② 손잡이가 줄에 튼튼하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③ 줄의 균열 유무를 확인할 필요는 없다.
- ④ 줄 작업의 높이는 허리를 낮추고 몸의 안정을 유지하며 전신을 이용하도록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보일러에 사용되는 압력계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 ① 진공 압력계
- ② 부르동 압력계
- ③ 공기 압력계
- ④ 마노미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열에 관한 다음 사항 중 틀린 것은?
- ① 감열은 건구온도계로서 측정할 수 있다.
- ② 잠열은 물체의 상태를 바꾸는 작용을 하는 열이다.
- ③ 감열은 상태 변화 없이 온도 변화에 필요한 열이다.
- ④ 승화열은 감열의 일종이며, 고체를 기체로 바꾸는데 필요한 열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과목 : 냉동기계
17. 열용량의 식을 맞게 기술한 것은?
- ① 물질의 부피 × 밀도
- ② 물질의 무게 × 비열
- ③ 물질의 부피 × 비열
- ④ 물질의 무게 × 밀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2원 냉동장치에는 고온측과 저온측에 서로 다른 냉매를 사용한다. 다음 중 저온측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냉매군은 어느 것인가?
- ① 암모니아, 프로판, R - 11
- ② R - 13, 에탄, 에틸렌
- ③ R - 13, R - 21, R - 113
- ④ R - 12, R - 22, R - 50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냉매의 특성에 관한 다음 사항 중 옳은 것은?
- ① R - 12는 암모니아에 비하여 유분리가 용이 하다.
- ② R - 12는 암모니아 보다 냉동력(㎉/㎏)이 크다.
- ③ R - 22는 R-12에 비하여 저온용에 부적당하다.
- ④ R - 22는 암모니아 가스 보다 무거우므로 가스의 유동 저항이 크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습포화 증기에 관한 사항 중 올바른 것은?
- ① 가열하면 과열증기, 포화증기 순으로 된다.
- ② 냉각하면 건조포화 증기가 된다.
- ③ 습포화 증기 중 액체가 차지하는 질량비를 습도라 한다.
- ④ 대기압 하에서 습포화 증기의 온도는 98℃ 정도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1. 다음 중 압축기와 관계없는 효율은?
- ① 체적효율
- ② 기계효율
- ③ 압축효율
- ④ 슬립효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2. 고속다기통 압축기에서 정상운전 상태로서의 유압은 저압보다 얼마나 높아야 하는가?
- ① 0∼1.5 ㎏/cm2
- ② 1.5∼3.0 ㎏/cm2
- ③ 3.5∼4.0 ㎏/cm2
- ④ 4.5∼5.0 ㎏/cm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3. 다음 중 불응축 가스가 주로 모이는 곳은?
- ① 증발기
- ② 액분리기
- ③ 압축기
- ④ 응축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4. 수냉식 응축기의 응축압력에 관한 사항 중 옳은 것은?
- ① 수온이 일정한 경우 유막 물때가 두껍게 부착 하여도 수량을 증가하면 응축압력에는 영향이 없다.
- ② 냉각관내의 냉각수 속도가 빨라지면 횡형 쉘엔 튜브식 응축기의 열통과율은 커지고 응축압력에 영향을 준다.
- ③ 냉각 수량이 풍부한 경우에는 불응축가스의 혼입 영향은 없다.
- ④ 냉각 수량이 일정한 경우에는 수온에 의한 영향은 없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압축기의 압축비가 커지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겠는가?
- ① 압축비가 커지면 체적효율이 증가한다.
- ② 압축비가 커지면 체적효율이 저하한다.
- ③ 압축비가 커지면 소요동력이 작아진다.
- ④ 압축비와 체적효율은 아무런 관계가 없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가열원이 필요하며 압축기가 필요 없는 냉동기는?
- ① 터보 냉동기
- ② 흡수식 냉동기
- ③ 회전식 냉동기
- ④ 왕복동식 냉동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압축비의 설명 중 알맞는 것은?
- ① 고압 압력계가 나타내는 압력을 저압 압력계가 나타내는 압력으로 나눈 값에다 1을 더한 값이다.
- ② 흡입압력이 동일할 때 압축비가 클수록 토출가스 온도는 저하된다.
- ③ 압축비가 적어지면 소요동력이 증가한다.
- ④ 응축압력이 동일할 때 압축비가 적어지면 소요 동력은 감소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소요 냉각수량 120ℓ /min, 냉각수 입출구 온도차 6℃인 수냉 응축기의 응축부하는?
- ① 43,200 ㎉/h
- ② 14,400 ㎉/h
- ③ 12,000 ㎉/h
- ④ 66,400 ㎉/h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9. 터보 냉동기와 왕복동식 냉동기를 비교 했을 때 터보 냉동기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 ① 회전수가 매우 빠르므로 동작밸런스나 진동이 크다.
- ② 보수가 어렵고 수명이 짧다.
- ③ 소용량의 냉동기에는 한계가 있고 생산가가 비싸다.
- ④ 저온장치에서도 압축단수가 적어지므로 사용도가 넓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축봉장치(shaft seal)의 역할로서 부적당한 것은?
- ① 냉매 누설 방지
- ② 오일 누설 방지
- ③ 외기 침입 방지
- ④ 전동기의 슬립(slip)방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정압식 자동팽창밸브(AEV)은 어느 것에 의하여 제어 작용을 행하는가?
- ① 증발기의 압력
- ② 증발기의 온도
- ③ 냉매의 응축 온도
- ④ 냉동 부하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나사식 이음쇠 중 배관을 분기할 때 사용되지 않는 것은?
- ① 티
- ② 크로스
- ③ 플랜지
- ④ 와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동관의 가공에 플레어(flare)공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관지름이 얼마 이하일 때인가?
- ① 15㎜
- ② 20㎜
- ③ 25㎜
- ④ 3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다음의 기호는 어떤 밸브인가?

- ① 볼 밸브
- ② 글로우 밸브
- ③ 수동 밸브
- ④ 앵글 밸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고압 배관용 탄소강 강관의 기호는?
- ① SPLT
- ② SPP
- ③ SGP
- ④ SPPH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6. 350℃ 정도 이하에서 사용하는 압력배관에 쓰이는 압력배관용 탄소강관의 기호는 무엇인가?
- ① SPP
- ② SPPS
- ③ SPHT
- ④ SPLT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교류 전압계의 일반적인 지시값은?
- ① 실효값
- ② 최대값
- ③ 평균값
- ④ 순시값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i=50 √2 sin(wt+π/6)A의 값을 벡터로 표시한 것은 어느 것인가?
- ①
- ②
- ③
-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다음 회로에서 2Ω 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강하 V는?

- ① 2
- ② 4
- ③ 6
- ④ 1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다음 설명 중 내용이 맞는 것은?
- ① 1[BTU]는 물 1[lb]를 1[℃]높이는데 필요한 열량이다
- ② 절대압력은 대기압의 상태를 0으로 기준하여 측정한 압력이다.
- ③ 이상기체를 단열팽창 시켰을 때 온도는 내려간다.
- ④ 보일-샤를의 법칙이란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하고 절대온도에 반비례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1. 냉매의 물리적 성질로서 맞는 것은?
- ① 응고온도는 높을 것
- ② 증발잠열이 작을 것
- ③ 표면장력이 클 것
- ④ 임계온도가 높을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R-21의 분자식은?
- ① CHCL2F
- ② CCLF3
- ③ CHCLF2
- ④ CCL2F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3. 암모니아 냉동기의 냉동능력이 40000[㎉/h]이고, 성적계수가 15, 압축일 60[㎉/㎏]일 때 냉매순환량은?
- ① 14.4[㎏/h]
- ② 24.4[㎏/h]
- ③ 34.4[㎏/h]
- ④ 44.4[㎏/h]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다음 그림에서 고압 액관은 어느 것인가?

- ① ①
- ② ②
- ③ ③
- ④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5. 냉동장치 내에 냉매가 부족할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 ① 냉동능력이 감소한다.
- ② 고압이 상승한다.
- ③ 흡입관에 상이 붙지 않는다.
- ④ 흡입가스가 과열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6. 다음 용어 중에서 습공기 선도와 관계가 없는 것은?
- ① 엔탈피
- ② 열용량
- ③ 비체적
- ④ 노점온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과목 : 공기조화
47. 송풍 공기량을 Q(m3/h), 외기 및 실내온도를 각각 to, tr(℃)라 할 때 침입 외기에 의한 취득 열량 중 현열부하를 구하는 공식은?
- ① q=600Q(to-tr)
- ② q=715Q(to-tr)
- ③ q=0.28Q(to-tr)
- ④ q=0.24Q(to-tr)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다음의 공기조화 방식 중에서 개별방식이 아닌 것은?
- ① 룸 쿨러
- ② 멀티 유닛형 룸 쿨러
- ③ 패키지 방식
- ④ 팬 코일 유닛방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증기난방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 ① 스팀 햄머링 등 소음이 적다.
- ② 증기 순환이 빠르며, 실내 방열량 조정이 쉽다.
- ③ 환수관에서 부식이 적고, 보일러 취급이 용이하다.
- ④ 열의 운반능력이 크고 유지비가 싸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습공기의 절대습도와 그 와 동일온도의 포화습공기의 절대습도의 비로 나타낸 것은?
- ① 상대습도
- ② 절대습도
- ③ 노점온도
- ④ 포화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다음 중 점검구(access door)가 필요치 않은 곳은?
- ① 주덕트 중간
- ② 방화댐퍼의 퓨즈를 교체할 수 있는 곳
- ③ 풍량조절 댐퍼의 점검 및 조정이 필요한 곳
- ④ 덕트 내 코일이나 송풍기가 내장되어 있는 곳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댐퍼 중 대형 덕트에 사용하는 것은?
- ① 방화댐퍼
- ② 다익댐퍼
- ③ 스플리터댐퍼
- ④ 볼륨댐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3. 덕트설계 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 ① 덕트로 부터의 소음
- ② 덕트로 부터의 열손실
- ③ 덕트 내를 흐르는 공기의 엔탈피
- ④ 공기의 흐름에 따른 마찰저항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고속덕트와 저속덕트를 구분하는 풍속기준은 주 덕트에서 몇 m/s인가?
- ① 20
- ② 15
- ③ 7
- ④ 3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5. 표준대기압 상태의 환수량 및 환수온도가 각각 1000kg/h, 60℃이고 발생증기량 및 압력이 각각 1000kg/h,4kg/cm2인 증기 보일러가 있다. 이 증기 보일러의 환산증발량을 구하면 몇 kg/h인가? (단, 압력 4kg/cm2인 포화증기의 엔탈피는 656kcal/kg이다.
- ① 1000
- ② 1106
- ③ 2000
- ④ 221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6. 다음 공기조화 방식 중 중앙 공기조화 방식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① 전 공기 방식
- ② 공기·수 방식
- ③ 전 수 방식
- ④ 냉매 방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7. 공업공정 공조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 ① 제품의 품질 향상
- ② 공정속도의 증가
- ③ 불량율의 감소
- ④ 신속한 사무환경 유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8. 팬의 효율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정압효율에 대한 올바른 정의는?
- ① 팬의 축동력에 대한 공기의 저항력
- ② 팬의 축동력에 대한 공기의 정압동력
- ③ 공기의 저항력에 대한 팬의 축동력
- ④ 공기의 정압동력에 대한 팬의 축동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9. 증기난방에서 사용되는 부속기기인 감압밸브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 ① 감압밸브는 가능한 사용개소에 가까운 곳에 설치한다.
- ② 감압밸브로 응축수를 제거한 증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한다.
- ③ 감압밸브 앞에는 반드시 스트레이너(strainer)를 설치하도록 한다.
- ④ 바이패스는 수평 또는 위로 설치하고 감압밸브의 구경과 동일 구경으로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0. 열부하 계산시 적용되는 열관류율(K)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열관류율이란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한 열전달의 모든 요인들을 혼합하여 하나의 값으로 나타낸 값이다.
- ② 단위는 kcal/kg ℃이다.
- ③ 열관류율이 커지면 열부하도 커진다.
- ④ 고체벽을 사이에 두고 유체에서 유체로 열이 이동하는 비율을 말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