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환경기사(2018. 4. 28.) 시험일자 : 2018년 4월 28일

1과목 : 해양학개론
1. 해양지각의 평균밀도는?
  • ① 약 2.5g/cm3
  • ② 약 2.7g/cm33
  • ③ 약 2.9g/cm3
  • ④ 약 3.1g/cm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일반적인 해수중의 무기성분 분포 함량(양이온, 음이온)이 많은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
  • ① Na+ > Mg2+ > Ca2+, Cl- > SO42- > HCO3-
  • ② Na+ > Ca2+ > Mg2+, CI- > HCO3- > SO42-
  • ③ Mg2+ > Ca2+ > Na+, Cl- > HCO3- > SO42-
  • ④ Mg2+ > Na+ > Ca2+, Cl- > SO42- > HCO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심해저 망간단괴를 최초로 발견한 해양탐사선은?
  • ① 메테오호
  • ② 아르빈호
  • ③ 클로마챌린저호
  • ④ H.M.S. 챌린저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다음 중 해수중의 체류시간이 가장 긴 것은?
  • ① Co2+
  • ② Mn2+
  • ③ Na+
  • ④ Fe(OH)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다음 중 열수활동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 ① 해록석
  • ② 다금속 펄
  • ③ 블랙 스모커
  • ④ 화이트 스모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다음 중 후열도 분지에 해당하는 것은?
  • ① 동해
  • ② 황해
  • ③ 북극해
  • ④ 지중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해양에서 규산염의 농도분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연안역에서 높다.
  • ② 용승역에서 높다.
  • ③ 봄철에 가장 높다.
  • ④ 대양의 표층에서 낮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다음 중 일반적인 탄산염보상심도(CCD)의 수심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① 1000~2000m
  • ② 2000~3000m
  • ③ 3000~4000m
  • ④ 4000~5000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두 개의 상이한 수괴가 혼합되면 T-S 곡선 상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 ① 원
  • ② 직선
  • ③ 타원
  • ④ 쌍곡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용승(Upwelling) 해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저층의 물이 표층으로 올라온다.
  • ② 주변해역보다 표면 수온이 낮다.
  • ③ 영양염이 풍부하여 생물활동이 왕성하다.
  • ④ 해안선이 남북방향으로 놓인 곳에서는 용승이 있으나 동서방향으로 놓인 곳에서는 없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군속도(group velocity)와 위상속도(phase velocity)가 같은 것은?
  • ① 너울(swell)
  • ② 심해파(deep water wave)
  • ③ 표면장력파(capillary wave)
  • ④ 천해파(shallow water wave)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대양저 산맥에서 일어나는 화산활동을 연구하려고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지역은?
  • ① 하와이
  • ② 아이슬란드
  • ③ 일본 후지산
  • ④ 미국 세인트헬렌 화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해빈 퇴적물의 입자크기와 해빈의 평균경사도의 관계로 가장 적합한 것은?
  • ① 입자크기가 클수록 경사각이 작다.
  • ② 입자크기가 클수록 경사각이 크다.
  • ③ 입자크기와 경사각에는 비례 관계가 없다.
  • ④ 입자크기와 경사각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불규칙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해양에서 대기로 발산되는 열 중 가장 큰 것은?
  • ① 반사열
  • ② 복사열
  • ③ 전도열
  • ④ 증발잠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계절풍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 ① 계절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바뀐다.
  • ② 위도에 따른 태양복사 에너지의 차이 때문에 생긴다.
  • ③ 아시아 대륙의 남쪽 및 남동 해상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 ④ 지구표면상의 대륙과 해양의 분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해양에서 심층순환의 원인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두 가지 사항을 바르게 묶은 것은?
  • ① 이류와 분자확산
  • ② 이류와 와동확산
  • ③ 해류와 분자확산
  • ④ 분자확산과 와동확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해양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전세계 해양의 평균온도는 3.9°C이다.
  • ② 해수는 열용량이 크고 열전도율이 높다.
  • ③ 해수의 압력은 10m 에 1/2기압씩 증가한다.
  • ④ 해수는 자연 상태에서 기체, 액체, 고체의 3가지 상이 모두 나타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북반구에 존재하는 동안류와 서안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동안류는 폭이 넓고 서안류는 폭이 좁다.
  • ② 해류층의 두께가 동안류는 얇고 서안류는 두껍다.
  • ③ 연안류와의 경계가 동안류와 서안류 모두 분명하다.
  • ④ 동안류는 편서풍대에서 흘러오며 저온이고, 서안류는 무역풍대에서 흘러오며 고온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지진성 해일인 쓰나미(Tsunami)가 수심 1km인 해양에서 전파되는 속도는 대략 얼마인가?
  • ① 10m/s
  • ② 100m/s
  • ③ 1000m/s
  • ④ 10000m/s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지구상에 일어나는 조석(潮汐) 중 다음 어느 경우가 최소 조차를 보이는가?
  • ①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직각을 이룰 때
  • ②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45° 각도를 이룰 때
  • ③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있을 때
  • ④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있을 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과목 : 해양생태학
21. 하구역의 일반적인 특성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하구 생물들은 염분의 극심한 변화 등 심한 생리적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
  • ② 하구 형성의 짧은 역사로 다양한 생물 분포에 충분한 시간이 되지 못한다.
  • ③ 강한 탁도와 하구 바닥이 주로 펄로 구성되어 생물의 호흡기관이 쉽게 막혀버린다.
  • ④ 하구역은 수중 및 퇴적물 내 유기물 함량의 저하로 먹이생물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2. 연안역에서 영양염류의 과다 유입으로 인한 부영양화 과정은 단계적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다음 중 가장 먼저 나타나는 영향은?
  • ① 무산소 상태
  • ②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 변화와 고밀도 증식
  • ③ 어류 및 무척추동물 피해
  • ④ 저서생물 군집 구조 변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3. 플랑크톤이 효과적으로 부유하기 위해 침강속도를 줄이는 적응 방법은?
  • ① 몸의 지질성분을 감소시킨다.
  • ② 몸의 돌기를 증가시킨다.
  • ③ 구형을 나타내어 용적에 비해 표면적을 작게 한다.
  • ④ 몸의 비중을 물의 비중보다 크게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4. 해양생물이 patchy. 분포를 가질 때 표본의 평균과 분산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표본의 분포는 poisson 분포를 기준함)
  • ① 표본의 평균치가 분산과 같을 때
  • ② 표본의 평균치가 편차보다 적을 때
  • ③ 표본의 평균치가 분산보다 클 때
  • ④ 표본의 평균치가 분산보다 적을 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생활사의 전부를 부유생활로 지내는 종생부유동물(holoplankton)에 속하지 않는 종류는?
  • ① 요각류
  • ② 화살벌레류
  • ③ 곤쟁이류
  • ④ 십각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다음 중 기초생산력이 가장 높은 생태계는?
  • ① 하구
  • ② 대륙붕대
  • ③ 외양
  • ④ 적도해양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심해 산란층(Deep Scattering Layer)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 ① 음향 측심기(Echo Sounder)의 음파를 산란시킨다.
  • ② 수온 약층과 염분 약층이 일치될 때 생긴다.
  • ③ 발생하는 길이는 주기적으로 변한다.
  • ④ 동물플랑크톤의 수직이동과 관계가 깊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K-선택을 가지는 종간경쟁이 강한 해양생물의 특징이 아닌 것은?
  • ① 성장이 빠르다.
  • ② 생식이 느리다.
  • ③ 몸체가 크다.
  • ④ 여러 번의 생식을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9. 건착망을 이용하여 어류 표본을 채집하였을 때 다음 중 어느 생물이 가장 많이 무작위로 추출될 수 있는가?
  • ① 청어
  • ② 넙치
  • ③ 대구
  • ④ 가자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어류가 종족유지를 위해 하는 회유는?
  • ① 유기회유
  • ② 성육회유
  • ③ 색이회유
  • ④ 산란회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일반적으로 고위도 지방의 생물에 비하여 저위도 지방 생물의 세대기간의 길이는?
  • ① 길다.
  • ② 짧다.
  • ③ 같다.
  • ④ 일정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유생시기를 제외한 전 생활사를 퇴적물 속에서 보내는 동물을 일컫는 용어는?
  • ① 표서동물
  • ② 부유생물
  • ③ 내서동물
  • ④ 유영동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다음 중 암반 조간대의 핵심종 포식자(Keystone Predator)의 역할을 하는 종은?
  • ① 불가사리
  • ② 담치류
  • ③ 해삼류
  • ④ 따개비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대양의 심층부에 언제나 생물의 생존에 충분한 산소가 용존(흑해 제외)되어 있는 주된 이유는?
  • ① 생물군의 밀도가 적어 산소의 소모가 적기 때문이다.
  • ② 심해일지라도 해류의 수직이동에 의해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 ③ 심해는 항상 온도가 낮으므로 산소 수중용해도가 높기 때문이다.
  • ④ 한대지방에서 침전된 산소의 함량이 높은 해류가 전대양의 심층부로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다음 어류 중 삼투조절회유(osmoregulatory migration)와 관계가 가장 깊은 것은?
  • ① 우럭
  • ② 숭어
  • ③ 넙치
  • ④ 감성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6. 적조현상에 관한 내용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 ① 다량의 인과 질소 - 부영양화
  • ② 적조 현상 - 플랑크톤 대량번식
  • ③ 적조 생물 폐사 - 용존 산소 증가
  • ④ 부패성 유기물 - 용존 산소 감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갯벌생물의 식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바지락은 대표적인 퇴적물식자이다.
  • ② 칠게는 부유물식자이다.
  • ③ 왕좁쌀무늬고둥은 부유물식자이다.
  • ④ 민칭이는 표층 퇴적물식자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다음 해양생태계 중 환경변화가 가장 심하게 발생하는 곳은?
  • ① 저위도 지방의 심해(深海)
  • ② 온대지방의 조간대(潮間帶)
  • ③ 고위도 지방의 연안
  • ④ 외양(外洋)의 표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중형저서동물들의 분포는 퇴적상에 따라 우점하는 종류가 다르다. 다음 중 모래가 우세한 퇴적물에서 가장 우점하는 종류는?
  • ① 쿠마류
  • ② 선충류
  • ③ 저서성 요각류
  • ④ 패충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다음 중 유독성 적조 생물은?
  • ① 규조류의 스켈레토네마(Skeletonema)
  • ② 편모조류의 짐노디늄(Gymnodinium)
  • ③ 남조류의 트리코데스뮴(Trichodesmium)
  • ④ 규조류의 키토세로스(Chaetoceros)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과목 : 해양계측학
41. 표면에서 취송류(Drift Current)의 크기는 바람의 속도에 어느 정도인가?
  • ① 3%
  • ② 15%
  • ③ 45%
  • ④ 5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LANDSAT 1~5호기에서 사용되는 탐사 장비로 가시광선 및 근 적외선 영역의 전자 에너지를 4~5개 채널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장비는?
  • ① ALT
  • ② MSS
  • ③ SASS
  • ④ AVHRR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3. 반일주조가 우세한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해면의 승강은 1일 2회 일어난다. 이때 고조에서 고조까지의 평균시간은?
  • ① 약 12시간
  • ② 약 12시간 25분
  • ③ 약 12시간 50분
  • ④ 약 25시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퇴적물의 입도 분석 자료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계산하는 왜도(skewness)란?
  • ① 분포 곡선의 표준 편차
  • ② 분포 곡선의 뾰족한 정도
  • ③ 평균입도값을 중심으로 한 대칭성
  • ④ 평균입도값을 중심으로 한 분산 정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5. 음파의 도플러 현상을 이용하여 해수의 유향과 유속을 각 층별로 연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장치는?
  • ① GEK
  • ② ADCP
  • ③ TS 유속계
  • ④ Ekman-Merz 유속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6. 원자흡광광도계로 분석이 불가능한 것은?
  • ① 납
  • ② 인
  • ③ 수은
  • ④ 아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7. NOAA 위성의 적외선 자료로 난류(turbulence)의 유축변동(流軸變動)을 조사하려 할 경우 연구대상 인자는?
  • ① 염분
  • ② 수압
  • ③ 수온
  • ④ 파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다음 우리나라 항구 중 조석차가 가장 큰 곳은?
  • ① 군산
  • ② 부산
  • ③ 제주
  • ④ 인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심해파(deep sea wave)의 파장과 주기와의 관계가 옳은 것은?
  • ① 파장은 주기와 무관하다.
  • ② 파장은 주기에 비례한다.
  • ③ 파장은 주기의 제곱에 비례한다.
  • ④ 파장은 주기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1개월 혹은 2개월 정도의 단기 관측으로 얻어진 평균 해면이나 조화상수는 주로 어떤 자료를 참조하여 연평균값으로 보정하여 사용하는가?
  • ① 인근 표준항 자료
  • ② 주변 해역 관측치 평균
  • ③ 주변 해역의 비조화 상수
  • ④ 과거 동일 지점의 관측 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원격탐사에 이용되는 인공위성에 관측 장비 이외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야 할 장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음향 송·수신 장치
  • ② 위성의 자세 제어 장치
  • ③ 가열을 방지하는 열 제어 장치
  • ④ 야간에도 작동할 수 있게 하는 전력 공급 장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북반구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해류의 유속이 1m/s이기 위하여 동서방향 수평거리 100km에 대한 동쪽해면의 상승 높이는 얼마인가? (단, 코리올리 인자는 10-4/sec, 중력가속도는 10m/s2)
  • ① 1m
  • ② 10m
  • ③ 15m
  • ④ 20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3. 음향 측심 시 사용되는 수심(D), 측정 시간차(T) 및 수중음속(V)사이의 관계식은?
  • ① D=TV
  • ② T=DV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전도온도계로써 얻을 수 있는 정확도는?
  • ① ±1°C
  • ② ±0.1°C
  • ③ ±0.01°C
  • ④ ±0.001°C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5. 다음 중 해양표층부근에서 수직 혼합속도를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사성 핵종은?
  • ① 234Th(반감기 : 24일)
  • ② 222Rn(반감기 : 3.8일)
  • ③ 226Ra(반감기 : 1622년)
  • ④ 238U(반감기 : 4.5×109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6. 다음 중 그랩 샘플러(grab sampler)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① Phleger
  • ② Petersen
  • ③ Van Veen
  • ④ Smith Mcintyre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7. 로젯 멀티 샘플러 (Rosette Multi-sampler)에 일반적으로 부착하지 않는 것은?
  • ① 수심 센서(Depth sensor)
  • ② 바닥 감지기(Bottom detector)
  • ③ 데이터 터미널(Data terminal)
  • ④ 전도도 센서(Conductivity sensor)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8. 해저 시료채취 방식에 따라 3가지로 구분할 때 각 방식에 해당하는 채취기의 대표적인 종류로 나열된 것은?
  • ① 드렛지, 그랩채취기, 코아채취기
  • ② 코아채취기, 해저시추기, 쉬펙코아채취기
  • ③ 드렛지, 중력코아 채취기, 피스톤코아채취기
  • ④ 그랩채취기, 박스코아채취기, 라이넥코아채취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9. 다음 중 라그랑지(Lagrange)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 ① GEK 관측
  • ② ADCP 관측
  • ③ Drift buoy 관측
  • ④ Current meter 관측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0. 해수의 연직 안정도가 중립이란? (단, K1 : 상층해수 밀도, K2 : 하층해수 밀도)
  • ① K1 = K2일 때
  • ② K1 < K2일 때
  • ③ K1 > K2일 때
  • ④ 밀도에 관계없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과목 : 해수의 수질분석
61. 알킬수은 분석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APDC/DDDC 처리후 MIBK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원자 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한다.
  • ② 염화제일주석으로 처리하여 금속수은으로, 환원시킨 후 냉증기-원자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한다.
  • ③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여 농축한 후 기체크로마토 그래프로 분리하고 NPD나 FPD로 분석한다.
  • ④ 벤젠으로 추출하여 L-시스테인 용액으로 선택적으로 역추출하고 다시 벤젠으로 추출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측정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2.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상 산 휘발성 황화물(Acid Volatile Sulfide)을 요오드 적정법으로 정량할 때 측정한계와 시험 표준편차율로 옳은 것은?
  • ① 측정한계 : 0.001 mg/g·dry, 표준편차율 : 5%
  • ② 측정한계 : 0.002 mg/g·dry, 표준편차율 : 10%
  • ③ 측정한계 : 0.01 mg/g·dry, 표준편차율 : 10%
  • ④ 측정한계 : 0.02 mg/g·dry, 표준편차율 : 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3. 흡광광도계를 이용하여 chlorophyll-a를 측정할 경우 탁도 바탕값(blank)으로 사용하는 파장은? (단, 유리섬유여과지를 사용할 경우임)
  • ① 480nm
  • ② 630nm
  • ③ 665nm
  • ④ 750n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4. 유출유 시료의 보관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시료의 산화방지를 위하여 차광하여 냉암소에 보관한다.
  • ② 시료중 휘발성 물질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개입구를 밀봉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 ③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또는 탄산기체를 주입하거나 드라이아이스 조각을 보관용기에 넣고 마개로 밀폐시킨다.
  • ④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유출유 분석시료는 생물에 의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15 ~ -5°C의 냉각 암소에 보관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5. 흡광광도법에 의한 시안 측정에 쓰이는 시약이 아닌 것은?
  • ① 클로라민 T용액
  • ② 페리시안화칼륨 용액
  • ③ 피리딘-피라졸론 혼합용액
  • ④ 페놀프탈레인 에틸알코올 용액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6. 원자흡광광도계(AAS)로 측정하지 않는 원소는?
  • ① 구리
  • ② 불소
  • ③ 크롬
  • ④ 카드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7. 해수의 염분 측정기기가 아닌 것은?
  • ① CTD
  • ② Thermistor
  • ③ Salinometer
  • ④ T-S bridge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8. 해양환경 공정시험방법에서 사용하는 온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표준온도는 0℃이다.
  • ② 상온은 15~25℃이다.
  • ③ 실온은 10~35℃이다.
  • ④ 찬 곳은 별도로 규정하지 않는 한 0~15℃인 장소이다.

s2021. 4. 2. 22:53삭제
실온은 20~30도이다
69. 기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한 알킬수은 분석에 사용되는 시약이 아닌 것은?
  • ① 염산
  • ② 벤젠
  • ③ 염화나트륨
  • ④ 중크롬산칼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0.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상 어떤 물질의 측정원리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 ① 망간(Mn)
  • ② 유기염소계 농약
  • ③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 ④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s)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1. 해양생물의 생체 내 중금속류를 측정할 때 분석오차를 줄이기 위해 생물시료를 탈장시켜야 한다. 이 때 일반적인 탈장 시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6시간
  • ② 12시간
  • ③ 24시간
  • ④ 48시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2. 해역에서 Winkler법으로 용존산소량을 측정할 때 NaN3를 첨가하는 것은 다음 중 어느 이온의 방해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것인가?
  • ① NO2-
  • ② NO3-
  • ③ PO43-
  • ④ NH4+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3. 해양환경 공정시험기준상 대장균군 시료의 보관 및 전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① 멸균된 용기에 넣어 1시간 내로 실험실에 운반하여 시험하여야 한다.
  • ② 운반 및 시험이 정해진 시간 내에 불가능할 경우에는 현장용 시험기구 세트를 준비하여 현장에서 시험하여야 한다.
  • ③ 1시간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경우에는 저온(10°C 이하) 냉장하여 운반하고 6시간 내에 실험실에 도착하여 2시간 이내에 시험을 완료하여야 한다.
  • ④ 시료의 균질화를 위해 액상시료인 경우에 약하게 진탕해야하고 고형인 시료는 멸균된 믹서를 사용하여 다량의 희석액과 혼합, 균질화한 후 시료로 사용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4. 해수 중 부유물질을 측정할 때 유리섬유 여과지로 여과 후 10mL 증류수로 3회 반복, 씻은 후 여과 조작을 하는 주된 이유는?
  • ① 염류를 씻어내기 위해
  • ② 유기 오염 물질을 씻어내기 위해
  • ③ 미세한 부유 물질을 씻어내기 위해
  • ④ 휘발성 부유 물질을 씻어내기 위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5. 질산성질소를 측정할 때 카드뮴-구리관의 역할은?
  • ① 금속이온을 제거시킨다.
  • ② 착화반응 방해 물질을 걸러 제거한다.
  • ③ 질산성질소를 아질산성질소로 환원시킨다.
  • ④ 아질산성질소를 질산성질소로 산화시킨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6. 해양의 표층퇴적물 시료채취기가 아닌 것은?
  • ① 반돈(Van Dorn)형 채취기
  • ② 반빈(Van Veen)형 채취기
  • ③ 라퐁드(La Fond)형 채취기
  • ④ 스미스-맥킨타이어(Smith-Mcintyre)형 채취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7. 다음 입자 구분 중 입도 등급이 아닌 것은?
  • ① 펄
  • ② 모래
  • ③ 바위
  • ④ 자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8. 해수중 규산염의 시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파랗게 발색된 용액의 흡광도는 810 nm에서 측정한다.
  • ② 현장에서 채취된 규산염 측정을 위한 해수시료는 폴리에틸렌 용기나 유리용기에 보관한다.
  • ③ 염분변화는 푸른색의 규소몰리브덴산 착화합물 형성을 저해하여 푸른색의 발색을 감소시킨다.
  • ④ 옥살산은 잉여 몰리브덴산의 환원을 방지하고 시료 중에 포함될 수도 있는 인산과 비소의 몰리브덴산 착화합물들을 분해하여 간섭효과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9. 해수의 용존산소 분석 시 시료 100mL를 취하여 적정하였을 때 역가가 1 (f=1)인 0.025N 티오황산나트륨용액 5mL는 산소 몇 mg/L에 해당하는가? (단, 검수에 첨가한 시약은 무시한다)
  • ① 0.5mg/L
  • ② 2mg/L
  • ③ 5mg/L
  • ④ 10mg/L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0. 해수의 대장균군 실험 방법이 아닌 것은?
  • ① 막여과법
  • ② 발색제법
  • ③ 최확수 시험법
  • ④ Microtox toxicity bioassay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과목 : 해양관련법규
81. 해양환경관리법상 선박소유자는 선박해양오염 비상계획서를 작성하여 누구의 검인을 받아 당해 선박에 비치하는가?
  • ① 대통령
  • ② 해양경찰청장
  • ③ 행정안전부장관
  • ④ 해양수산부장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2.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오염방지 검사증서의 유효기간은 몇 년인가?
  • ① 영구
  • ② 3년
  • ③ 5년
  • ④ 10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3.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역관리청이 오염 물질의 유입 확산 또는 퇴적 등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고 해양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에 취할 수 있는 해양환경개선조치가 아닌 것은?
  • ① 오염된 퇴적물의 수거
  • ② 오염된 퇴적물의 처리
  • ③ 오염물질 유입방지시설의 설치
  • ④ 오염물질 확산방지시설의 설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4. MARPOL 73/78 협약 부속서 V(선박으로부터의 폐기물에 의한 오염방지를 위한 규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부유성의 던니지(dunnage), 라이닝 및 포장물질은 육지로부터 12해리 이상 떨어진 곳에 버려야 한다.
  • ② 이 부속서상 특별해역은 지중해, 발틱해, 흑해, 홍해, 걸프, 북해, 남극 및 카리브해역을 말한다.
  • ③ 폐기물이 각각 다른 처분요건이나 배출요건의 적용을 받는 다른 배출물과 혼합되어 있는 때에는 보다 엄격한 쪽의 요건을 적용한다.
  • ④ 폐기물이라 함은 생선 및 그의 부분을 제외하고 선박의 통상의 운항 중에 발생하고 계속적, 주기적으로 처분되는 식생활상, 선내생활상 및 운항상 생기는 모든 종류의 폐물을 말한다. 다만, 이 협약의 다른 부속서에 정의되어 있거나 열거되어 있는 물질은 제외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5.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역이용사업자 등 또는 처분기관은 해양수산부장관으로부터 통보받은 의견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때에는 며칠 이내에 해양수산부장관에게 이의신청을 할 수 있는가?
  • ① 7일 이내
  • ② 30일 이내
  • ③ 90일 이내
  • ④ 1년 이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6. MARPOL 73/78 부속서 I에서 규정하고 있는 특별해역에 속하지 않은 해역은?
  • ① 홍해
  • ② 베링해
  • ③ 아덴만
  • ④ 지중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7. 해양환경관리법상 기름의 해양유출사고에 대비하여 방제선 또는 방제장비를 배치해야 하는 선박 기준으로 옳은 것은?
  • ① 총톤수 300톤 이상의 유조선
  • ② 총톤수 500톤 이상의 유조선
  • ③ 총톤수 3000톤 이상의 선박
  • ④ 총톤수 5000톤 이상의 선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8. 해양환경관리법상 유조선의 화물창과 선박의 연료유 탱크에는 선박평형수의 적재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별히 적재가 허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는?
  • ① 기관실 폐유를 배출할 경우
  • ② 항내에 입항하기 위한 경우
  • ③ 전쟁 해역을 통과하기 위한 경우
  • ④ 새로이 건조한 선박을 시운전하거나 선박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9. 해양환경관리법상 피예인선의 선박오염물질기록부는 누가 비치하고 기록하여야 하는가?
  • ① 선장
  • ② 기관장
  • ③ 통신장
  • ④ 선박소유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0. 해양환경관리법령상 해양시설의 소유자가 해양시설의 신고를 하려는 경우 첨부해야 할 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해양시설 신고증명서
  • ② 해양시설 오염 비상계획서
  • ③ 해양오염방지 관리인의 임명확인서
  • ④ 해양시설의 설치명세서와 그 도면 및 위치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1. 해양환경관리법의 적용 대상이 아닌 배출물질은?
  • ① 기름
  • ② 유해액체 물질
  • ③ 방사성 물질
  • ④ 포장유해물질

ㅅㄱ2023. 5. 7. 04:52삭제
3번이 맞음
92.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유조선 선박소유자의 책임제한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 ① 유조선 선박소유자가 책임을 제한한 경우에는 제한 채권액이 많은 제한 채권자의 순서로 변제를 받는다.
  • ② 유조선 선박소유자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권은 유류오염손해가 발생한 날부터 3년 이내에 재판상 청구가 없는 경우에 소멸한다.
  • ③ 책임협약에 따라 관할권이 있는 외국법원이 유조선에 의한 유류오염 손해배상청구 소송에 관하여 한 확정판결은 원칙적으로 그 효력이 있다.
  • ④ 유조선 선박소유자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권은 유류오염손해의 원인이 되었던 최초의 사고가 발생한 날부터 6년 이내에 재판상 청구가 없는 경우에 소멸한다.

김현민2025. 3. 25. 00:38삭제
1번이 정답 맞습니다.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 제10조(제한채권자가 받는 변제의 비율) "유조선 선박소유자가 제7조에 따라 책임을 제한한 경우에는 제한채권자는 그 제한채권액의 비율에 따라 변제를 받는다." 순서대로 변제받는게 아니라 비율에 따라 변제 받습니다. 나머지 보기는 찾아보니 맞는 얘기네요. 4번이 헷갈리면 "제11조(권리의 소멸) 제5조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유조선 선박소유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은 유류오염손해가 발생한 날부터 3년 이내 또는 유류오염손해의 원인이 되었던 최초의 사고가 발생한 날부터 6년 이내에 재판상 청구가 없는 경우에는 소멸한다."
이주호2024. 11. 19. 11:57삭제
4번이 정답임 6년=>3년
93.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유조선의 유류오염 손해배상책임과 관련한 내용 중 틀린 것은?
  • ① 유류오염손해배상 사고가 일련의 사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최후의 사건 당시의 유조선의 선박소유자를 사고 당시의 유조선의 선박소유자로 본다.
  • ② 선원이 아닌 자로서 도선사 등 그 선박에 역무를 제공하는 자에게는 구상권 행사요건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한 유류오염손해배상을 청구하지 못한다.
  • ③ 대한민국 국민이 선체용선한 외국 국적의 유조선에 의하여 유류오염손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유조선의 선박소유자와 선체용선자가 연대하여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 ④ 둘 이상의 유조선이 관련된 사고로 발생한 유류오염손해가 어느 유조선으로부터 유출 또는 배출된 유류에 의한 것인지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각 유조선의 선박소유자는 연대하여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4. 다음 ( )안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은?
  • ① 200
  • ② 500
  • ③ 1000
  • ④ 200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5. 해양오염 방지협약(MARPOL 73/78) 상 선상기름오염비상계획을 선내에 비치하여야 할 대상 선박의 기준은?
  • ① 총톤수 50톤 이상인 유조선 및 총톤수 150톤 이상인 유조선 이외의 모든 선박
  • ② 총톤수 100톤 이상인 유조선 및 총톤수 500톤 이상인 유조선 이외의 모든 선박
  • ③ 총톤수 150톤 이상인 유조선 및 총톤수 400톤 이상인 유조선 이외의 모든 선박
  • ④ 총톤수 200톤 이상인 유조선 및 총톤수 300톤 이상인 유조선 이외의 모든 선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6.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
  • ① "일반선박"이란 유조선과 유류저장부선을 제외한 모든 선박을 말한다.
  • ② "유류오염손해"란 유조선, 일반선박 및 유류저장부선에 의한 손해 또는 비용을 말한다.
  • ③ "연료유”란 선박에 화물로서 운송되거나 선용유(船用油)로서 사용되는 원유, 중유 및 윤활유 등 지속성 탄화수소광물성유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 ④ "방제 조치”란 사고가 발생한 후에 유류오염손해를 방지하거나 경감하기 위하여 당사자 또는 제3자가 취한 모든 합리적 조치를 말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7. OPRC 협약이란?
  • ① 기름에 의한 해양오염방지협약
  • ② 기름 및 유해물질 오염방지협약
  • ③ 유류오염 대비·대응 및 협력에 관한 국제협약
  • ④ 폐기물 및 그 밖의 물질의 투기에 관한 국제협약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8.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유류오염손해에 관한 제한 채권자가 제한 채권에 대하여 행사할 수 있는 선박우선특권의 목적물이 아닌 것은?
  • ① 적재유류
  • ② 사고 선박
  • ③ 사고 선박의 속구
  • ④ 사고 선박이 우선특권이 생긴 항해에서 수령하지 아니한 운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9. 1972년 LC 협약상 해상투기가 금지된 물질은?
  • ① 준설물질
  • ② 저준위 방사성 물질
  • ③ 천연기원의 비오염 유기물질
  • ④ 생선폐기물 또는 산업적 생선가공 과정에서 나오는 유기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0.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령상 해양보호구역에서의 행위 제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공유수면 또는 토지의 형질변경 행위
  • ② 공유수면에서의 바다모래·규사 및 토석의 채취 행위
  • ③ 공유수면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해수의 수위 또는 수량에 증감을 가져오게 하는 행위
  • ④ 해양보호구역의 해양생태계에 대한 정기적인 현황조사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관측시설 등의 설치 행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