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학개론(2020. 6. 13.) 시험일자 : 2020년 6월 13일

1. <보기>가 설명하는 분석 방법은?
  • ① 브레인스토밍
  • ② 델파이
  • ③ 회귀분석
  • ④ 분석적 계층화 과정(AHP)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민츠버그(Mintzberg)의 정부관리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기계모형-정부는 각종 법령과 규칙, 기준에 의해 중앙통제를 받는다.
  • ② 네트워크모형-정부는 사업 단위들의 협동적 연계망으로 구성된다.
  • ③ 성과통제모형-정부는 계획 및 통제의 역할을 담당하고 모든 집행 역할은 민영화한다.
  • ④ 규범적 통제모형-정부는 규범적 가치와 신념에 의해 통제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개념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고객만족도
  • ② 행정서비스헌장
  • ③ 민원서비스
  • ④ 행정의 투명성 강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국가재정법」상 국가재정 운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정부는 필요한 경우 회계ㆍ 기금 간 여유재원의 전입ㆍ전출을 할 수 있는데, 국민연금기금과 공무원연금기금은 제외하고 있다.
  • ② 외국차관을 도입하여 전대(轉貸)하는 경우는 예산총계주의 원칙의 예외에 해당한다.
  • ③ 공무원 보수 인상을 위한 인건비 충당을 위해서는 예비비의 사용목적을 지정할 수 없다.
  • ④ 정부는 대통령의 승인을 얻은 예산안을 회계연도 개시 150일 전까지 국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베버(Max Weber)가 관료제의 특징으로 제시한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문서화된 규정-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필요한 절차와 방법이 기록된 규정이 존재함
  • ② 계층제-피라미드 모양의 계층구조를 가지며, 명령과 통제가 위로부터 아래로 전달됨
  • ③ 전문성-업무에 대한 지식을 가진 전문적인 관료가 업무를 담당하며, 직무에의 전념을 요구함
  • ④ 협력적 행동-원활한 계층 체계 작동을 위해 구성원은 서로 협력하며, 이를 통해 높은 효율과 성과를 거둘 수 있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지방교부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국고보조금과 함께 지방재정조정제도로 운영되고 있다.
  • ② 대표적 지방세로, 내국세 총액의 19.24%와 종합부동산세 총액으로만 구성된다.
  • ③ 보통교부세는 용도를 특정하지 않은 일반재원이다.
  • ④ 소방안전교부세 중 「개별소비세법」에 따라 담배에 부과하는 개별소비세 총액의 20%를 초과하는 부분은 소방 인력의 인건비로 우선 충당하여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리플리(Ripley)와 프랭클린(Franklin)의 정책유형 중 <보기>의 사례에 해당하는 것은?
  • ① 윤리정책
  • ② 경쟁적 규제정책
  • ③ 보호적 규제정책
  • ④ 사회적 규제정책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가외성(redundanc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동등잠재성(equipotentiality)은 동일한 기능을 여러 기관들이 독자적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 ② 란다우(Martin Landau)는 권력분립, 계선과 참모, 양원제와 위원회제도를 가외성 현상이 반영된 제도로 본다.
  • ③ 창조성 제고, 적응성 증진 등에 효용이 있다.
  • ④ 한계로는 비용상의 문제와 조직 내 갈등 유발 등이 지적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행정학의 접근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행태론적 접근방법은 과학적 방법의 적용을 강조한다.
  • ② 체제론적 접근방법은 환경의 영향을 중시한다.
  • ③ 사회학적 제도주의는 신제도주의에서 제도의 개념을 가장 좁게 해석한다.
  • ④ 논변적 접근방법은 결정에 대한 주장을 정당화할 수 있도록 논거를 전개할 수 있는 모형을 제공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국가공무원법」상 중앙인사관장기관이 아닌 것은?
  • ① 감사원사무총장
  • ② 법원행정처장
  • ③ 헌법재판소사무처장
  • ④ 국회사무총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전자정부법」상 전자정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행정기관등은 전자정부의 구현을 위해 중복투자의 방지 및 상호운용성 증진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 ② 행정기관등의 장은 5년마다 해당 기관의 전자정부의 구현ㆍ 운영 및 발전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중앙사무관장기관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 ③ 행정기관등의 장은 해당 기관의 전자정부서비스에 대한 이용실태 등을 주기적으로 조사하여야 한다.
  • ④ 행정기관등의 장이 행정안전부장관에게 데이터 활용을 신청한 경우 행정안전부장관은 비공개대상정보라도 반드시 제공하여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정책결정의 장(또는 정책하위시스템)에 대한 이론과 주장하는 내용을 짝지은 것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다원주의-정부는 조정자 역할에 머물거나 게임의 법칙을 진행하는 심판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② 조합주의-정부는 이익집단 간 이익의 중재에 머물지 않고 국가이익이나 사회의 공공선을 달성하기 위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③ 엘리트주의-엘리트들은 사회의 다원화된 이익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한다.
  • ④ 철의 삼각-입법부, 사법부 그리고 행정부 3자가 강철과 같은 장기적이고 안정적이며 우호적인 삼각관계의 역할을 형성하면서 정책결정을 지배하는 것으로 본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보기>에서 리더십에 대한 이론과 설명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① ㄱ
  • ② ㄴ
  • ③ ㄷ
  • ④ ㄴ, ㄷ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머스그레이브(Musgrave)가 제시한 재정의 기본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자원 배분 기능
  • ② 소득 분배의 공평화 기능
  • ③ 경제 안정 기능
  • ④ 행정관리적 기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보기>에 해당하는 행정이론을 옳게 짝지은 것은?
  • ① ㄱ 사회자본론, ㄴ 신공공서비스론
  • ② ㄱ 사회자본론, ㄴ 신공공관리론
  • ③ ㄱ 뉴거버넌스론, ㄴ 신공공서비스론
  • ④ ㄱ 뉴거버넌스론, ㄴ 신공공관리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행정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과학적 관리론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경제 상황의 산물로 절약과 능률을 행정의 가장 중요한 가치로 삼는다.
  • ② 행태주의는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연구에서 가치와 사실을 명백히 구분하고, 가치중립성을 지킨다.
  • ③ 체제이론은 체제의 부분적인 특성이나 구체적인 행태 측면에 관심을 갖는 미시적 접근방법을 사용한다.
  • ④ 신행정론은 규범성, 문제지향성, 처방성을 강조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리더십 이론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피들러(Fiedler)는 상황 요소로 리더의 자질, 과업구조, 부하의 특성을 들었다.
  • ② 블레이크(Blake)와 머튼(Mouton)의 리더십 격자모형은 리더의 행태를 사람과 과업(생산)의 두 차원으로 나눈다.
  • ③ 허쉬(Hersey)와 블랜차드(Blanchard)는 리더십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 요소로 부하의 성숙도를 들었다.
  • ④ 아이오와(Iowa)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에서는 리더의 행태를 민주형, 권위형, 방임형으로 분류하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정부조직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관장 사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교육부장관은 인적자원개발정책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 ②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창업ㆍ벤처기업의 지원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 ③ 법무부장관은 출입국관리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 ④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우편ㆍ우편환 및 우편대체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예산제도 중 다음 <보기>의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 ① 성과 예산제도
  • ② 계획 예산제도
  • ③ 목표관리 예산제도
  • ④ 영기준 예산제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단체위임사무와 기관위임사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단체위임사무는 법령에 의하여 국가 또는 상급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지방자치단체에 위임된 사무이고, 기관위임사무는 법령 등에 의하여 국가 또는 상급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위임된 사무이다.
  • ② 단체위임사무의 경비는 지방자치단체와 위임기관이 공동으로 부담하며, 기관위임사무의 경비는 그 전액을 위임기관이 부담하는 것이 원칙이다.
  • ③ 단체위임사무는 지방의회가 관여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기관위임사무는 지방의회가 관여할 수 있다.
  • ④ 단체위임사무의 예로는 예방접종, 보건소의 운영 등이 있고, 기관위임사무의 예로는 국민투표 사무, 선거 사무 등이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