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2018. 6. 23.) 시험일자 : 2018년 6월 23일
1. 표준어끼리 묶인 것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등물, 남사스럽다, 쌉싸름하다, 복숭아뼈
- ② 까탈스럽다, 걸판지다, 주책이다, 겉울음
- ③ 찰지다, 잎새, 꼬리연, 푸르르다
- ④ 개발새발, 이쁘다, 덩쿨, 마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문장쓰기 어법이 가장 옳은 것은?
- ① 한국 정부는 독도 영유권 문제에 대하여 일본에 강력히 항의하였다.
- ② 경쟁력 강화와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경영 혁신이 요구 되어지고 있다.
- ③ 이것은 아직도 한국 사회가 무사안일주의를 벗어나지 못 했다는 생각이 든다.
- ④ 냉정하게 전력을 평가해 봐도 한국이 자력으로 16강 티켓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6 ㆍ 25전쟁과 가장 거리가 먼 소설은?
- ① 손창섭, 『비오는 날』
- ② 박경리, 『토지』
- ③ 장용학, 『요한시집』
- ④ 박완서, 『엄마의 말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권력의 무상함’을 나타내는 속담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달도 차면 기운다.
- ② 열흘 붉은 꽃이 없다.
- ③ 물도 가다 구비를 친다.
- ④ 꽃이 시들면 오던 나비도 안 온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유럽은 신세계였고, 아메리카는 구세계였다.
- ② 인디언들은 구세계의 병원균에 대한 면역성이 없었다.
- ③ 만단족 인디언들의 인구 감소는 백인들의 무기 때문이었다.
- ④ 콜럼버스 이전에 북아메리카에는 100만 명가량의 인디언이 있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보기>의 괄호에 알맞은 한자성어는?
- ① 개과불린(改過不吝)
- ② 경거망동(輕擧妄動)
- ③ 교각살우(矯角殺牛)
- ④ 부화뇌동(附和雷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보기>의 단어에 공통으로 적용된 음운 변동은?
- ① 중화
- ② 첨가
- ③ 비음화
- ④ 유음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밑줄 친 단어의 품사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나도 참을 만큼 참았다. <의존명사>나도 그 사람만큼 할 수 있다. <조사>
- ② 오늘은 바람이 아니 분다. <부사>아니, 이럴 수가 있단 말인가? <감탄사>
- ③ 그 아이는 열을 배우면 백을 안다. <명사>열 사람이 백 말을 한다. <관형사>
- ④ 그는 이지적이다. <명사>그는 이지적 인간이다. <관형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1960년대 한국 문학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전후 문학의 한계에 대한 극복이 주요한 과제로 제기되었다.
- ② 4 ㆍ 19혁명의 영향으로 현실비판문학이 가능하게 되었다.
- ③ 참여문학과 순수문학 진영 간의 논쟁이 발생하였다.
- ④ 민족문학과 민중문학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보기>에서 밑줄 친 부분의 발음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 :[바슬]
- ② ㉡ :[반만]
- ③ ㉢ :[받]
- ④ ㉣ :[바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보기>의 비판대상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채식주의자
- ② 식육 생산의 실상
- ③ 동물을 먹는 행위
- ④ 폭력적 이데올로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나이와 한자어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 ① 62세 - 화갑(華甲)
- ② 77세 - 희수(喜壽)
- ③ 88세 - 백수(白壽)
- ④ 99세 - 미수(米壽)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맞춤법 표기가 가장 옳은 것은?
- ① 이렇게 하면 되?
- ② 이번에는 꼭 합격할께요.
- ③ 서로 도우고 사는 게 좋다.
- ④ 그 사람은 제가 잘 압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밑줄 친 단어의 품사가 다른 하나는?
- ① 그곳에서 갖은 고생을 다 겪었다.
- ② 우리가 찾던 것이 바로 이것이구나.
- ③ 인천으로 갔다. 그리고 배를 탔다.
- ④ 아기가 방글방글 웃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띄어쓰기가 가장 옳은 것은?
- ① 창조적 독해가 현실적인 문제 해결 방안으로 활용될 수 밖에 없다.
- ② 사소한 오해로 철수가 나하고 사이가 멀어졌다.
- ③ 아는 체하는 걸 보니 공부 깨나 했나 보다.
- ④ 동해로 가는김에 평창에도 들렀다 가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보기>에 나타난 작품 감상의 관점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반영론적 관점
- ② 효용론적 관점
- ③ 표현론적 관점
- ④ 객관론적 관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본용언 + 보조 용언’ 구성이 아닌 것은?
- ① 영수는 쓰레기를 주워서 버렸다.
- ② 모르는 사람이 나를 아는 척한다.
- ③ 요리 맛이 어떤지 일단 먹어는 본다.
- ④ 우리는 공부를 할수록 더 많은 것을 알아 간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용어 정의를 통해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 ② 자신의 체험담을 제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 ③ 반론을 위한 전제를 제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 ④ 통계적 사실이나 사례 제시를 통해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보기>의 시조를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의 다른 명칭은 ‘인왕산’이다.
- ② ㉡은 여전히 사용하는 명칭이다.
- ③ ㉢의 당시 국호는 ‘조선’이다.
- ④ ㉣은 병자호란 직후의 상황을 뜻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보기>는 어떤 소설의 마지막 부분이다. 괄호 안에 들어 갈 소설 속 지명은?
- ① 삼포
- ② 서울
- ③ 거제
- ④ 무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