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기사(2021. 3. 7.) 시험일자 : 2021년 3월 7일

1과목 : 연소공학
1. 고체연료의 연소방법이 아닌 것은?
  • ① 미분탄 연소
  • ② 유동층 연소
  • ③ 화격자 연소
  • ④ 액중 연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다음 연료 중 저위발열량이 가장 높은 것은?
  • ① 가솔린
  • ② 등유
  • ③ 경유
  • ④ 중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어떤 열기관의 출력이 3000kW 이고 연료소비율이 1400 kg/h 일 때 이 열기관의 열효율은 약 몇 % 인가? (단, 이 고체연료의 저위발열량은 28 MJ/kg 이다.)
  • ① 28
  • ② 38
  • ③ 48
  • ④ 58

2025. 1. 20. 20:59삭제
출력 1KW는 3,600KJ/h 이므로 3.6MJ/h 열기관의 열효율=(유효하게 사용된 열량/공급열량)*100 =[(3000*3.6)/(1400*28)]*100 =27.66
12024. 4. 6. 10:08삭제
열기관의 열효율=W/Gf*Hl*100%=3000kW*3.6MJ/h/1400* 28 MJ/kg*100%=27.55%
강수2023. 8. 19. 12:58삭제
=3000*3600/(1400000*28)=27.55
4. 연소가스 분석결과가 CO2 13%, O2 8%, CO 0% 일 때 공기비는 약 얼마인가? (단, (CO2)max는 21% 이다.)
  • ① 1.22
  • ② 1.42
  • ③ 1.62
  • ④ 1.82

하밀뭉씌2022. 2. 6. 11:05삭제
CO가 0일때, 공기비 m=CO2amx/CO2 = 21/(21-O2) =21/13=1.615 또는 21/(21-8)=1.615
5. 연소가스 중의 질소산화물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 ① 2단 연소
  • ② 고온 연소
  • ③ 농담 연소
  • ④ 배기가스 재순환 연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C8H18 1mol을 공기비 2로 연소시킬 때 연소가스 중 산소의 몰분율은?
  • ① 0.065
  • ② 0.073
  • ③ 0.086
  • ④ 0.101

12024. 4. 6. 10:21삭제
산소의 몰분율=O2/Gw=(m-1)*Ao*0.21/Gw=(2-1)*(12.5/0.21)*0.21/123.548 =0.10117525≒0.101 Gw=(m-1)*Ao+CO+H2O=(2-1)*12.5/0.21+17(8+9)=123.548 C8H18+12.5O2 → 8CO2+9H2O
강수2023. 8. 19. 14:49삭제
산소필요량 12.5몰, 연소생성물 8+9=17몰, 질소47몰, 공기비 2->산소 12.5몰, 연소생성물 17몰, 질소94몰->전체몰수 12.5+17+94=123.5몰 12.5/123.5=0.101
7. 메탄(CH4)가스를 공기 중에 연소시키려 한다. CH4의 저위발열량이 50000 kJ/kg 이라면 고위발열량은 약 몇 kJ/kg 인가? (단, 물의 증발잠열은 2450 kJ/kg 으로 한다.)
  • ① 51700
  • ② 55500
  • ③ 58600
  • ④ 64200

12024. 4. 6. 10:33삭제
고위발열량=저위발열량+(증발잠열*수증기량) =50000+(2450*2.25)=55512.5 kJ/kg 메탄의 연소시 발생 수증기량 계산 CH4+2O2 → CO2+2H2O 16 kg : 2*18 kg 1kg → x= 2*18/16= 2.25KG
도땃쥐2023. 2. 17. 11:58삭제
고위발열량=저위발열량 + 물의 증발잠열 = 50000 + (2*18/1*16)*2450=55513
8. 연돌의 실제 통풍압이 35mmH2O 송풍기의 효율은 70%, 연소가스량이 200m3/min 일 때 송풍기의 소요 동력은 약 몇 kW 인가?
  • ① 0.84
  • ② 1.15
  • ③ 1.63
  • ④ 2.21

2025. 1. 22. 09:29삭제
송풍기의 통풍압 35[mmH2O는 35[kgf/m^2]과 같늠 소용동력(KW)=PQ/(102η) [kW], (연소가스량이 m^3/min)이므로 60) =35*200/(102*0.7*60)=1.633
12024. 4. 6. 10:50삭제
P=9.8QH/η=9.8*200/60*35^E-3/0.7=1.633
강수2023. 8. 20. 05:56삭제
L=PQ/(102η*60) [kW] =35*200/(102*0.7*60)=1.633
김철새2021. 9. 11. 17:43삭제
수은인줄 알았는데 물기둥이였넹...
9. 기체 연료의 장점이 아닌 것은?
  • ① 연소조절이 용이하다.
  • ② 운반과 저장이 용이하다.
  • ③ 회분이나 매연이 적어 청결하다.
  • ④ 적은 공기로 완전연소가 가능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질량비로 프로판 45%, 공기 55%인 혼합가스가 있다. 프로판 가스의 발열량이 100MJ/Nm3 일 때 혼합가스의 발열량은 약 몇 MJ/Nm3인가? (단, 공기의 발열량은 무시한다.)
  • ① 29
  • ② 31
  • ③ 33
  • ④ 35

12024. 4. 6. 11:03삭제
혼합가스의 발열량(Q)=프로판 발열량*부피비 = 프로판 발열량*C3H8만의 부피/전체부피 = 프로판 발열량*C3H8만의 부피/C3H8부피+공기부피 = 100*{(22.4/44*0.45)/(22.4/44*0.45)+(22.4/29*0.55)} ≒ 35 MJ/Nm3
강수2023. 8. 19. 15:36삭제
프로판 질량 45, 공기55 ->부피변환 프로판 22.9Nm3, 공기 42.48Nm3 전체체적 65.38 : 프로판 22.9 =1Nm3:X ->X=0.35Nm3프로판 ->*100MJ/Nm3=35MJ
양SP2023. 2. 26. 13:29삭제
프로판44 공기29 합 73 혼합가스 프로판 73×0.45 = 32.85kg 혼합가스 프로판체적 44:22.4 =32.85:x X=16.72Nm3 같은 방식으로 공기는 40.15kg,31Nm3 프로판체적 +공기체적 =47.7 16.72/47.7 = 0.35 0.35×100 = 35
김철새2021. 9. 11. 17:55삭제
프로판의 분자량: 44 공기의 평균 분자량: 29 1mx1mx1m 상자 안에 문제와 같은 질량비의 프로판과 공기가 들어있다면 프로판 부피: 공기 부피 = 29x0.45 : 44x0.55 비율로 들어있을테니 (프로판 부피)/(프로판+공기 부피) (29x0.45)/(29x0.45+44x0.55) 에다가 100MJ 곱해주면 되네용..
기계공학도2021. 5. 10. 16:02삭제
이건 어떻게 푸는건가요ㅜㅜ...?
11. 다음 중 중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점도에 따라 1, 2, 3급 중유로 구분한다.
  • ② 원소 조성은 H가 가장 많다.
  • ③ 비중은 약 0.72 ~ 0.76 정도이다.
  • ④ 인화점은 약 60 ~ 150℃ 정도이다.

열강2025. 2. 18. 01:24삭제
정답 4번 ① 점도에 따라 A/B/C 중유로 구분한다. ② 원소 조성은 C가 가장 많다. ③ 비중은 약 0.82 ~ 0.97 정도이다.
2024. 2. 6. 20:19삭제
해설이 틀렷네요 답4번
이이잉2024. 1. 9. 08:56삭제
정답이 3번이고 문제가 틀린것은 인거죠?
12. 연소에서 고온부식의 발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연료 중 황분의 산화에 의해서 일어난다.
  • ② 연료 중 바나듐의 산화에 의해서 일어난다.
  • ③ 연료 중 수소의 산화에 의해서 일어난다.
  • ④ 연료의 연소 후 생기는 수분이 응축해서 일어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다음 연료 중 이론공기량(Nm3/Nm3)이 가장 큰 것은?
  • ① 오일가스
  • ② 석탄가스
  • ③ 액화석유가스
  • ④ 천연가스

12024. 4. 6. 11:41삭제
1.오일가스 : C2H4+3O2 → 2CO2+2H2O Ao=3/0.21=14.29 3.액화석유가스 : C3H8+5O2 → 3CO2+4H2O Ao=5/0.21=23.8 4.천연가스 : CH4+2O2 → CO2+2H2O Ao=2/0.21=9.52
김길동2022. 3. 17. 22:36삭제
발열량=산소
김결백2021. 9. 11. 18:00삭제
석탄이 아니라 석탄"가스" 였구나..
14. 연소 시 점화 전에 연소실가스를 몰아내는 환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 ① 프리퍼지
  • ② 가압퍼지
  • ③ 불착화퍼지
  • ④ 포스트퍼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다음 반응식을 가지고 CH4의 생성엔탈피를 구하면 몇 kJ 인가?
  • ① -66
  • ② -70
  • ③ -74
  • ④ -78

12024. 4. 6. 11:48삭제
CH4+2O2 → CO2+2H2O 802 394 + 2*241 CH4의 생성엔탈피=802-(394+2*241)=-74kJ
강수2023. 8. 20. 06:17삭제
=802-394-2*241=-74
16. 다음 중 매연의 발생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연소실 온도가 높을 때
  • ② 연소장치가 불량한 때
  • ③ 연료의 질이 나쁠 때
  • ④ 통풍력이 부족할 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가연성 액체에서 발생한 증기의 공기 중 농도가 연소범위 내에 있을 경우 불꽃을 접근시키면 불이 붙는데 이때 필요한 최저온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① 기화온도
  • ② 인화온도
  • ③ 착화온도
  • ④ 임계온도

hell2023. 1. 29. 12:21삭제
착화온도(발화온도) - 점화원이 없어도 스스로 불이붙는온도 인화온도: 인화성증기가 발생하는 온도.
김철새2021. 9. 11. 18:04삭제
액체 연료는 "인화"라고 하넹...
18. 다음 기체 중 폭발범위가 가장 넓은 것은?
  • ① 수소
  • ② 메탄
  • ③ 벤젠
  • ④ 프로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로터리 버너로 벙커 C유를 연소시킬 때 분무가 잘 되게 하기 위한 조치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중유를 예열한다.
  • ② 중유 중의 수분을 분리, 제거한다.
  • ③ 버너 입구 배관부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한다.
  • ④ 버너 입구의 오일 압력을 100kPa 이상으로 한다.

2025. 1. 20. 22:19삭제
로터리버너(회전식 버너)의 사용유압은 30~50[kpa)정도 이다
2024. 1. 21. 13:32삭제
오일압력이 높으면 분무노즐이 손상될수있다
20. 분자식이 CmHn 인 탄화수소가스 1Nm3을 완전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약 몇 Nm3인가? (단, CmHn의 m, n은 상수이다.)
  • ① m + 0.25n
  • ② 1.19m + 4.76n
  • ③ 4m + 0.5n
  • ④ 4.76m + 1.19n

하밀뭉씌2022. 2. 6. 11:24삭제
CmHn + (m+n/4)O2 -> mCO2 + (n/2)H2O 이론산소량 O_0=(m+n/4) 이론공기량 A_0=O_0/0.21 =(1/0.21)m + {(1/4)/0.21}n
김철새2021. 9. 11. 18:11삭제
이론산소량(x) 이론공기량(o)
2과목 : 열역학
21. 원통형 용기에 기체상수 0.529 kJ/kg·K의 가스가 온도 15℃에서 압력 10MPa로 충전되어 있다. 이 가스를 대부분 사용한 후에 온도가 10℃로, 압력이 1MPa로 떨어졌다. 소비된 가스는 약 몇 kg인가? (단, 용기의 체적은 일정하며 가스는 이상기체로 가정하고, 초기상태에서 용기내의 가스 질량은 20kg이다.)
  • ① 12.5
  • ② 18.0
  • ③ 23.7
  • ④ 29.0

강수2023. 8. 20. 07:44삭제
PV=mRT, V=mRT/P=20*0.529*(273+15)/10000kPa=0.3047m3 m2=P2V2/RT2=1000kPa*0.3047/(0.529*(273+10))=2.03531kg m1-m2=20-2=18kg
22. 0℃의 물 1000kg을 24시간 동안에 0℃의 얼음으로 냉각하는 냉동 능력은 약 몇 kW 인가? (단, 얼음의 융해열은 335 kJ/kg이다.)
  • ① 2.15
  • ② 3.88
  • ③ 14
  • ④ 14000

2025. 1. 21. 09:16삭제
냉동능력(kw)=Q2/1kW당 KJ = (1000*335)/(24*3600) =3.877[KW]
강수2023. 8. 20. 07:58삭제
=1000kg*335kJ/kg/(24*3600)=3.87731
23. 부피 500L 인 탱크 내에 건도 0.95의 수증기가 압력 1600kPa로 들어있다. 이 수증기의 질량은 약 몇 kg 인가? (단, 이 압력에서 건포화증기의 비체적은 vg = 0.1237 m3/kg, 포화수의 비체적은 vf= 0.001 m3/kg 이다.)
  • ① 4.83
  • ② 4.55
  • ③ 4.25
  • ④ 3.26

2025. 1. 22. 09:51삭제
비체적 v=vf + x(vg-vf) = 0.001+0.95(0.1237-0.001) =0.117565 습포화증기의 질량 m = V/v = 500*10^-3 / 0.117565 (1m^3=1000L=1ton, 500L=500*10^-3) = 4.253
김철새2021. 9. 11. 18:27삭제
0.05는 포화수라고 생각해고 푸니까 안풀리넹... 비체적 중간점 잡은 다음에 계산해야하는구낭..
기계공학도2021. 5. 10. 20:20삭제
v=(1-x)vf + x vg, v=0.117565, m = V/v = 4.2529
24. 단열변화에서 압력, 부피, 온도를 각각 P, V, T로 나타낼 때, 항상 일정한 식은? (단, k는 비열비이다.)

2025. 1. 21. 09:26삭제
단열변화과정은 등엔트로피 과정이므로 PV^k=const TV^k-1=const TP^[(1-k)/k]=const
25. 오존층 파괴와 지구 온난화 문제로 인해 냉동장치에 사용하는 냉매의 선택에 있어서 주의를 요한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 중 오존 파괴 지수가 가장 큰 냉매는?
  • ① R-134a
  • ② R-123
  • ③ 암모니아
  • ④ R-11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다음 그림은 Rankine 사이클의 h-s선도이다. 등엔트포리 팽창과정을 나타내는 것은?
  • ① 1 → 2
  • ② 2 → 3
  • ③ 3 → 4
  • ④ 4 → 1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이상기체의 내부 에너지 변화 du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CP는 정압비열, CV는 정적비열, T는 온도 이다.)
  • ① CPdT
  • ② CVdT
  • ④ CVCPdT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그림은 Carnot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것이다. 이 냉동기의 성능계수를 옳게 표현한 것은?

2025. 1. 22. 16:33삭제
COPR=Q2/W=Q2/(Q1-Q2)=T2/(T1-T2)
양sp2023. 2. 26. 13:53삭제
그냥 카르노라면 답은 1번 그러나 답은 3번이다.....문제를 잘 보면 1. 카르노 냉동이라 하고 그래프의 화살표는 역카르노다 즉 역카르노의 성능계수가 답이다.
29. 교축과정에서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것은?
  • ① 압력
  • ② 엔탈피
  • ③ 비체적
  • ④ 엔트로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분자량이 16, 28, 32 및 44인 이상기체를 각각 같은 용적으로 혼합하였다. 이 혼합 가스의 평균 분자량은?
  • ① 30
  • ② 33
  • ③ 35
  • ④ 40

2025. 1. 22. 16:37삭제
4가지 이상기체가 같은용적으로 혼합하였으므로 체적비는각각 25%임 혼합가스분자량은 고유분자량에 체적비를 곱한값을 합산한다 M=16*0.25+28*0.25+32*0.25+44*0.25 = 30
강수2023. 8. 21. 00:15삭제
(16*0.25+28*0.25+32*0.25+44*0.25)/1=(16+28+32+44)/4=30
31. 초기조건이 100kPa, 60℃인 공기를 정적과정을 통해 가열한 후 정압에서 냉각과정을 통하여 500kPa, 60℃로 냉각할 때 이 과정에서 전체 열량의 변화는 약 몇 kJ/kmol인가? (단, 정적비열은 20kJ/kmol·K, 정압비열은 28kJ/kmol·K 이며, 이상기체는 가정한다.)
  • ① -964
  • ② -1964
  • ③ -10656
  • ④ -20656

강수2023. 8. 21. 01:00삭제
PV=RT, V=RT/P=(Cp-Cv)T/P=(28-20)*(273+60)/100=26.64 dq=dh(dT=0)-VdP=-VdP=-26.64*(500-100)=-10656
32. 피스톤이 장치된 실린더 안의 기체가 체적 V1에서 V2로 팽창할 때 피스톤에 해준 일은 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기체는 이 과정을 통하여 PV2 = C(상수)의 관계를 만족시켜 준다면 W를 옳게 나타낸 것은?
  • ① P1V1 - P2V2
  • ② P2V2 - P1V1
  • ③ P1V12 - P2V22
  • ④ P2V22 - P1V1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다음 설명과 가장 관계되는 열역학적 법칙은?
  • ① 열역학 제 0법칙
  • ② 열역학 제 1법칙
  • ③ 열역학 제 2법칙
  • ④ 열역학 제 3법칙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이상기체가 A상태(TA, PA)에서 B상태(TB, PB)로 변화하였다. 정압비열 CP가 일정할 경우 비엔트로피의 변화 △s를 옳게 나타낸 것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보일러에서 송풍기 입구의 공기가 15℃, 100kPa 상태에서 공기예열기로 500m3/min가 들어가 일정한 압력하에서 140℃까지 온도가 올라갔을 때 출구에서의 공기유량은 약 몇 m3/min인가? (단, 이상기체로 가정한다.)
  • ① 617
  • ② 717
  • ③ 817
  • ④ 917

2025. 1. 22. 16:46삭제
P1V1/T1 = P2V2/T2 에서 압력 일정(P1=P2) V2=T2*V1 / T1= (273+140)*500/(273+35) =717.013
강수2023. 8. 21. 05:04삭제
이상기체 PV=RT, V1=RT/P=0.287*(273+15)/100=0.82656 V2=0.287*(273+140)/100=1.18531, V2/V1=1.434 500m3/min*1.434=717m3/min
36. 다음 그림은 물의 상평형도를 나타내고 있다. a~d에 대한 용어로 옳은 것은?
  • ① a : 승화 곡선
  • ② b : 용융 곡선
  • ③ c : 증발 곡선
  • ④ d : 임계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스로틀링(throttling) 밸브를 이용하여 Joule-Thomson 효과를 보고자 한다.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온도가 반드시 감소하게 되는 Joule-Thomson 계수 μ의 값으로 옳은 것은?
  • ① μ = 0
  • ② μ > 0
  • ③ μ < 0
  • ④ μ ≠ 0

2025. 1. 22. 16:54삭제
줄-톰슨계수 (μ) μ>0 온도가 감소 μ<0 온도가 증가 μ=0 온도가 변화가 없다
38. 터빈 입구에서의 내부에너지 및 엔탈피가 각각 3000kJ/kg, 3300kJ/kg인 수증기가 압력이 100kPa, 건도 0.9인 습증기로 터빈을 나간다. 이 때 터빈의 출력은 약 몇 kW 인가? (단, 발생되는 수증기의 질량 유량은 0.2 kg/s 이고, 입출구의 속도차와 위치에너지는 무시한다. 100kPa 에서의 상태량은 아래 표와 같다.)
  • ① 46.2
  • ② 93.6
  • ③ 124.2
  • ④ 169.2

양sp2023. 2. 26. 14:23삭제
엔탈피 변화 만큼 일 H2 = 420 + 0.9(2680-420)=2454 dH =3300-2454 = 846 kj/kg W = 846kj/kg × 0.2kg/s = 169.2 kj/s
39. 오토사이클의 열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만 모은 것은?
  • ① 압축비, 비열비
  • ② 압축비, 차단비
  • ③ 차단비, 비열비
  • ④ 압축비, 차단비, 비열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Rankine 사이클의 4개 과정으로 옳은 것은?
  • ① 가역단열팽창 → 정압방열 → 가역단열압축 → 정압가열
  • ② 가역단열팽창 → 가역단열압축 → 정압가열 → 정압방열
  • ③ 정압가열 → 정압방열 → 가역단열압축 → 가역단열팽창
  • ④ 정압방열 → 정압가열 → 가역단열압축 → 가역단열팽창

2025. 1. 22. 16:59삭제
랭킹사이클은 2개의 정압변화와 2개의 단열변화로 구성된 증기원원동소의 이상 사이클로 단열팽창-정압냉각(방열)-단열압축-정압가열 과정으로 작동
3과목 : 계측방법
41. 레이놀즈수를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단, D는 관의 내경, μ는 유체의 점도, ρ는 유체의 밀도, U는 유체의 속도이다.)

강수2023. 8. 21. 10:17삭제
관성력/점성력
42. 복사온도계에서 전복사에너지는 절대온도의 몇 승에 비례하는가?
  • ① 2
  • ② 3
  • ③ 4
  • ④ 5

2024. 2. 13. 15:39삭제
전복은4승
43. 물리량과 SI 기본단위의 기호가 틀린 것은?
  • ① 질량 : kg
  • ② 온도 : ℃
  • ③ 물질량 : mol
  • ④ 광도 : cd

2024. 1. 19. 12:40삭제
온도는 기본단위가 아닙니다
44. 단열식 열량계로 석탄 1.5g을 연소시켰더니 온도가 4℃상승하였다. 통내 물의 질량이 2000g, 열량계의 물당량이 500g일 때 이 석탄의 발열량은 약 몇 J/g 인가? (단, 물의 비열은 4.19 J/g·K 이다.)
  • ① 2.23×104
  • ② 2.79×104
  • ③ 4.19×104
  • ④ 6.98×104

강수2023. 8. 21. 11:26삭제
Qw=mCdT=2000*4.19*4=33520J 열량계 =물당량*물의비열*온도변화=500g*4.19J/gK*4=8380J (합계)41900J/석탄1.5g=27933J/g=2.7*10^4J/g
45. 다음 중 유도단위 대상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① 비열
  • ② 압력
  • ③ 습도
  • ④ 열량

2025. 1. 22. 17:35삭제
습도는 특수단위에 해당됨
46. 피드백 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폐회로로 구성된다.
  • ② 제어량과 대한 수정동작을 한다.
  • ③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한다.
  • ④ 반드시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7. 다음 그림과 같이 수은을 넣은 차압계를 이용하는 액면계에 있어 수은면의 높이차(h)가 50.0mm일 때 상부의 압력 취출구에서 탱크 내 액면까지의 높이(H)는 약 몇 mm 인가? (단, 액의 밀도(ρ)는 999 kg/m3이고, 수은의 밀도(ρ0)는 13550 kg/m3 이다.)
  • ① 578
  • ② 628
  • ③ 678
  • ④ 728

꼬꼬쪼꼬2022. 9. 18. 04:39삭제
H+h = (Po/P) × h H = ((13,550/999) × 50) - 50 = 628.18
김철새2021. 9. 11. 21:14삭제
수은이 0.05미터 차이나니까, 액만 있었으면 0.05x (수은의 밀도/액의 밀도) 만큼 H가 차이났을 테고 수은이 0.05m 만큼 가깝게 해줬으니까 그 차이를 뺴면 답이 나오네용
48. 열전대 온도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흡습 등으로 열화된다.
  • ② 밀도차를 이용한 것이다.
  • ③ 자기가열에 주의해야 한다.
  • ④ 온도에 대한 열기전력이 크며 내구성이 좋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아래 열교환기의 제어에 해당하는 제어의 종류로 옳은 것은?
  • ① 추종제어
  • ② 프로그램제어
  • ③ 정치제어
  • ④ 캐스케이드제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다음 중 수분 흡수법에 의해 습도를 측정할 때 흡수제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오산화인
  • ② 피크린산
  • ③ 실리카겔
  • ④ 황산

황실오염2023. 9. 5. 02:05삭제
황실오염
51. 저항 온도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구리는 –200~500℃에서 사용한다.
  • ② 시간지연이 적어 응답이 빠르다.
  • ③ 저항선의 재료로는 저항온도계수가 크며, 화학적으로나 물리적으로 안정한 백금, 니켈 등을 쓴다.
  • ④ 저항 온도계는 금속의 가는 선을 절연물에 감아서 만든 측온저항체의 저항치를 재어서 온도를 측정한다.

2025. 1. 22. 17:48삭제
백금저항온도계(Pt) -200 ~ 500 ℃ 니켈저항온도계(NI) -50 ~ 150 ℃ 동저항온도계(Cu) 0 ~ 120 ℃ 서미스터 -100 ~ 300 ℃
2024. 1. 21. 13:53삭제
구리는 사용하지 않는다
52. 가스크로마토그래피는 다음 중 어떤 원리를 응용한 것인가?
  • ① 증발
  • ② 증류
  • ③ 건조
  • ④ 흡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3. 직각으로 굽힌 유리관의 한쪽을 수면 바로 밑에 넣고 다른 쪽은 연직으로 세워 수평방향으로 0.5m/s 의 속도로 움직이면 물은 관속에서 약 몇 m 상승하는가?
  • ① 0.01
  • ② 0.02
  • ③ 0.03
  • ④ 0.04

하밀뭉씌2022. 2. 24. 19:33삭제
v=√2gh h=v^2/2g =0.5^2/(2*9.8) =0.012
54. 관로에 설치한 오리피스 전·후의 차압이 1.936 mmH2O 일 때 유량이 22m3/h 이다. 차압이 1.024 mmH2O 이면 유량은 몇 m3/h 인가?
  • ① 15
  • ② 16
  • ③ 17
  • ④ 18

하밀뭉씌2022. 2. 24. 19:36삭제
Q ∝ √P 22 : Q2 = √1.936 : √1.024 Q2=22*√1.024/√1.936 =16
55. 다음 중 탄성 압력계에 속하는 것은?
  • ① 침종 압력계
  • ② 피스톤 압력계
  • ③ U자관 압력계
  • ④ 부르동간 압력계

도땃쥐2023. 2. 18. 20:28삭제
탄성압력계 : 부르동관, 벨로스, 다이어프램
56. 액주식 압력계에 사용되는 액체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 ① 온도변화에 의한 밀도 변화가 커야 한다.
  • ② 액면은 항상 수평이 되어야 한다.
  • ③ 점도와 팽창계수가 작아야 한다.
  • ④ 모세관 현상이 적어야 한다.

도땃쥐2023. 2. 18. 20:29삭제
액주식 압력계에 사용되는 액체의 구비조건: 온도변화에 의한 밀도 변화가 작아야 한다.
57. 다음 중 가스분석 측정법이 아닌 것은?
  • ① 오르사트법
  • ② 적외선 흡수법
  • ③ 플로우 노즐법
  • ④ 열전도율법

2025. 1. 22. 17:52삭제
플로우노즐법은 차압식 유량계에 해당됨
도땃쥐2023. 2. 18. 20:29삭제
플로 노즐법은 유량 측정법의 한 종류이다
58. 액체의 팽창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 ① 수은 온도계
  • ② 저항 온도계
  • ③ 서미스터 온도계
  • ④ 백금-로듐 열전대 온도계

r2024. 1. 23. 15:44삭제
수은 온도계는 액체의 팽창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59. 전자 유량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응답이 매우 빠르다.
  • ② 제작 및 설치비용이 비싸다.
  • ③ 고점도 액체는 측정이 어렵다.
  • ④ 액체의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땃쥐2023. 2. 18. 20:30삭제
전자유량계는 고점도 액체 측정이 가능하다
60. 비례동작만 사용할 경우와 비교할 때 적분동작을 같이 사용하면 제거할 수 있는 문제로 옳은 것은?
  • ① 오프셋
  • ② 외란
  • ③ 안정성
  • ④ 빠른 응답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과목 : 열설비재료 및 관계법규
61. 용광로의 원료 중 코크스의 역할로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 답안 발표시 2,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 ① 탈황작용
  • ② 흡탄작용
  • ③ 매용제(煤熔劑)
  • ④ 탈산작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2. 단조용 가열로에서 재료에 산화스케일이 가장 많이 생기는 가열방식은?
  • ① 반간접식
  • ② 직화식
  • ③ 무산화 가열방식
  • ④ 급속 가열방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3.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상 에너지사용계획을 수립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공공사업주관자가 설치하려는 시설기준으로 옳은 것은?
  • ① 연간 1천 티오이 이상의 연료 및 열을 사용하는 시설
  • ② 연간 2천 티오이 이상의 연료 및 열을 사용하는 시설
  • ③ 연간 2천5백 티오이 이상의 연료 및 열을 사용하는 시설
  • ④ 연간 1만 티오이 이상의 연료 및 열을 사용하는 시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4. 고온용 무기질 보온재로서 석영을 녹여 만들며, 내약품성이 뛰어나고, 최고사용온도가 1100℃ 정도인 것은?
  • ① 유리섬유(glass wool)
  • ② 석면(asbestos)
  • ③ 펄라이트(pearlite)
  • ④ 세라믹 파이버(ceramicfiber)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5. 다음 중 전기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① 푸셔로
  • ② 아크로
  • ③ 저항로
  • ④ 유도로

도땃쥐2023. 2. 18. 20:31삭제
전기로: 아크로, 저항로, 유도로
66. 내화물의 분류방법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 ① 원료에 의한 분류
  • ② 형상에 의한 분류
  • ③ 내화도에 의한 분류
  • ④ 열전도율에 의한 분류

도땃쥐2023. 2. 18. 20:31삭제
내화물의 분류방법: 원료, 형상, 내화도
67.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밸블 리프트식과 스윙식으로 대별되는 것은?
  • ① 회전밸브
  • ② 게이트밸브
  • ③ 체크밸브
  • ④ 앵글밸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8.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에 따라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의 등록이 취소된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은 원칙적으로 등록 취소일로부터 최소 얼마의 기간이 지나면 다시 등록을 할 수 있는가?
  • ① 1년
  • ② 2년
  • ③ 3년
  • ④ 5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9. 신재생에너지법령상 신·재생에너지 중 의무공급량이 지정되어 있는 에너지 종류는?
  • ① 해양에너지
  • ② 지열에너지
  • ③ 태양에너지
  • ④ 바이오에너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0.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에 따라 에너지다소비사업자에게 에너지손실요인의 개선명령을 할 수 있는 자는?
  • ①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② 시·도지사
  • ③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 ④ 에너지관리진단기관협회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1. 연소가스(화염)의 진행방향에 따라 요로를 분류할 때 종류로 옳은 것은?
  • ① 연속식 가마
  • ② 도염식 가마
  • ③ 직화식 가마
  • ④ 셔틀 가마

도땃쥐2023. 2. 18. 20:32삭제
불꽃이 올라가서 가마 천장에 부딪쳐 가마 바닥의 흡입 구멍으로 빠지는 구조의 가마: 도염식 가마
72.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상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에너지저장의무를 부과할 수 있는 대상자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 ① 연간 1만 석유환산톤 이상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자
  • ② 「전기사업법」에 따른 전기사업자
  • ③ 「석탄산업법」에 따른 석탄가공업자
  • ④ 「집단에너지사업법」에 따른 집단에너지사업자

도땃쥐2023. 2. 18. 20:33삭제
연간 2만 석유환산톤 이상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자
73.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상 검사대상기기의 검사유효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설치 후 3년이 지난 보일러로서 설치장소 변경검사 또는 재사용검사를 받은 보일러는 검사 후 1개월 이내에 운전성능검사를 받아야 한다.
  • ② 보일러의 계속사용검사 중 운전성능검사에 대한 검사유효기간은 해당 보일러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적합한 경우에는 3년으로 한다.
  • ③ 개조검사 중 연료 또는 연소방법의 변경에 따른 개조검사의 경우에는 검사유효기간을 1년으로 한다.
  • ④ 철금속가열로의 재사용검사의 검사유효기간은 1년으로 한다.

도땃쥐2023. 2. 18. 20:33삭제
2: 2년으로 한다 3: 검사유효기간을 적용하지 않는다 4: 2년으로 한다
74.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광고매체를 이용하여 효율관리기자재의 광고를 하는 경우에는 그 광고내용에 동법에 따른 에너지소비효율 등급 또는 에너지소비효율을 포함하여야 한다. 이 때 효율관리기자재 관련업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제조업자
  • ② 수입업자
  • ③ 판매업자
  • ④ 수리업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5. 고압 배관용 탄소 강관(KS D 3564)의 호칭지름의 기준이 되는 것은?
  • ① 배관의 안지름
  • ② 배관의 바깥지름
  • ③ 배관의
  • ④ 배관나사의 바깥지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6. 배관의 신축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슬리브형은 단식과 복식의 2종류가 있으며, 고온, 고압에 사용한다.
  • ② 루프형은 고압에 잘 견디며, 주로 고압증기의 옥외 배관에 사용한다.
  • ③ 벨로즈형은 신축으로 인한 응력을 받지 않는다.
  • ④ 스위블형은 온수 또는 저압증기의 배관에 사용하며, 큰 신축에 대하여는 누설의 염려가 있다.

2024. 1. 19. 12:16삭제
슬리브형은 저압에 사용합니다
77. 고알루미나(high alumina)질 내화물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내마모성이 적다.
  • ② 하중 연화온도가 높다.
  • ③ 고온에서 부피변화가 크다.
  • ④ 급열, 급냉에 대한 저항성이 적다.

도땃쥐2023. 2. 18. 20:34삭제
고알루미나질 내화물 특성 -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 하중 연화온도가 높다 - 고온에서 부피변화가 작다 - 급랭,급열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78.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에 따라 에너지사용량이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량 이상이 되는 에너지다소비사업자는 전년도의 분기별 에너지사용량·제품생산량 등의 사항을 언제까지 신고하여야 하는가?
  • ① 매년 1월 31일
  • ② 매년 3월 31일
  • ③ 매년 6월 30일
  • ④ 매년 12월 31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9. 신재생에너지법령상 바이오에너지가 아닌 것은?
  • ① 식물의 유지를 변환시킨 바이오디젤
  • ② 생물유기체를 변환시켜 얻어지는 연료
  • ③ 폐기물의 소각열을 변환시킨 고체의 연료
  • ④ 쓰레기매립장의 유기성폐기물을 변환시킨 매립지가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0. 보온이 안 된 어떤 물체의 단위면적당 손실열량이 1600kJ/m2이었는데, 보온한 후에 단위면적당 손실열량이 1200kJ/m2이라면 보온효율은 얼마인가?
  • ① 1.33
  • ② 0.75
  • ③ 0.33
  • ④ 0.25

도땃쥐2023. 2. 18. 20:35삭제
보온효율 = 1 - Q2/Q1 = 1 - 1200/1600 = 0.25
5과목 : 열설비설계
81. 노통보일러에서 브레이징 스페이스란 무엇을 말하는가?
  • ① 노통과 가셋트 스테이와의 거리
  • ② 관군과 가셋트 스테이와의 거리
  • ③ 동체와 노통 사이의 최소거리
  • ④ 가셋트 스테이간의 거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2. 연관의 바깥지름이 75mm인 연관보일러 관판의 최소두께는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8.5
  • ② 9.5
  • ③ 12.5
  • ④ 13.5

2025. 1. 22. 21:03삭제
연관보일러 관판의 최소 두께 관판의 바깥 지름 최소두꼐(mm) 1340이하 10 1350초과 1850이하 12 1850 초과 14 바깥 지름리 75mm 이므로 t= 5+d/10 = 5+75/10 = 12.5mm
도땃쥐2023. 2. 18. 20:37삭제
연관의 바깥지름 75인 연관보일러 관판의 최소 두께 t = D/10 +5mm = 75/10 + 5 =12.5
12022. 4. 14. 23:32삭제
75/10 + 5
83. 보일러 부하의 급변으로 인하여 동 수면에서 작은 입자의 물방울이 증기와 혼입하여 튀어오르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① 캐리오버
  • ② 포밍
  • ③ 프라이밍
  • ④ 피팅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4. 맞대기 용접이음에서 질량 120kg, 용접부의 길이가 3cm, 판의 두께가 2mm 라 할 때 용접부의 인장응력은 약 몇 MPa 인가?
  • ① 4.9
  • ② 19.6
  • ③ 196
  • ④ 490

도땃쥐2023. 2. 18. 20:39삭제
인장응력 = W/A = W/hl = 120kg/2mm*30mm = 2kg/mm2 => 약 19.6Mpa [ 1kg/mm2 = 약 9.8 MPa ]
12022. 4. 14. 23:33삭제
120/(0.2*3)=200 200/10.197 = 19.6
85. 보일러에 스케일이 1mm 두께로 부착되었을 때 연료의 손실은 몇 % 인가?
  • ① 0.5
  • ② 1.1
  • ③ 2.2
  • ④ 4.7

김철새2021. 9. 12. 00:29삭제
암기 문젠가... 0.5mm -> 1.1% 손실 1.0mm -> 2.2% 손실 2.0mm -> 4.0% 손실 3.0mm -> 4.7% 손실 ...
86. 다음 중 용해 경도성분 제거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침전법
  • ② 소다법
  • ③ 석회법
  • ④ 이온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7. 급수펌프인 인젝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에 사용된다.
  • ② 별도의 소요동력이 필요하지 않다.
  • ③ 송수량의 조절이 용이하다.
  • ④ 소량의 고압증기로 다량의 급수가 가능하다.

도땃쥐2023. 2. 18. 20:40삭제
인젝터 - 증기의 열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키고 다시 이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급수하는 비동력 급수장치 - 구조가 간단하고 별도의 소요동력이 필요하지 않다 - 소량의 고압증기로 다량 급수 가능 - 소형 저압용 보일러에 사용 - 송수량의 조절이 불편함 - 급수온도가 높으면 작동 불가능
88. 보일러 사고의 원인 중 제작상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재료불량
  • ② 구조 및 설계불량
  • ③ 용접불량
  • ④ 급수처리불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9. 육용강제 보일러에서 오목면에 압력을 받는 스테이가 없는 접시형 경판으로 노통을 설치할 경우, 경판의 최소 두께(mm)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P : 최고 사용압력(MPa), R : 접시모양 경판의 중앙부에서의 내면반지름(mm), σa : 재료의 허용인장응력(MPa), η : 경판자체의 이음효율, A : 부식여유(mm)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0. 노통보일러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다.
  • ② 노통에는 파형과 평형이 있다.
  • ③ 내분식 보일러의 대표적인 보일러이다.
  • ④ 코르니쉬 보일러와 랭카셔 보일러의 노통은 모두 1개이다.

도땃쥐2023. 2. 18. 20:42삭제
코니시 보일러의 노통은 1개, 랭커셔 보일러의 노통은 2개이다.
91. 연관의 안지름이 140mm이고, 두께가 5mm일 때 연관의 최고사용압력은 약 몇 MPa 인가?
  • ① 1.12
  • ② 1.63
  • ③ 2.25
  • ④ 2.83

임주성2022. 8. 20. 21:42삭제
t=PD/70 + 1.5mm 에서 t=5, D=(140+5*2) ...... P=1.63[Mpa]
92. 최고사용압력 1.5MPa, 파형 형상에 따른 정수(C)를 1100, 노통의 평균 안지름이 1100mm일 때, 파형노통 판의 최소 두께는 몇 mm 인가?
  • ① 12
  • ② 15
  • ③ 24
  • ④ 30

임주성2022. 8. 20. 21:46삭제
t=10PD/C=(10×1.5×1100)/1100=15mm
93. 다음 그림과 같이 길이가 L인 원통 벽에서 전도에 의한 열전달률 q[W]을 아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아래 식 중 R을 그림에 주어진 ro, ri, L로 표시하면? (단, k는 원통 벽의 열전도율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4. 급수에서 ppm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물 1mL중에 함유한 시료의 양을 g으로 표시한 것
  • ② 물 100mL중에 함유한 시료의 양을 mg으로 표시한 것
  • ③ 물 1000mL중에 함유한 시료의 양을 g으로 표시한 것
  • ④ 물 1000mL중에 함유한 시료의 양을 mg으로 표시한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5. 횡연관식 보일러에서 연관의 배열을 바둑판 모양으로 하는 주된 이유는?
  • ① 보일러 강도 증가
  • ② 증기발생 억제
  • ③ 물의 원활한 순환
  • ④ 연소가스의 원활한 흐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6. 상당증발량이 5.5t/h, 연료소비량이 350kg/h인 보일러의 효율은 약 몇 % 인가? (단, 효율 산정 시 연료의 저위발열량 기준으로 하며, 값은 40000 kJ/kg 이다.)
  • ① 38
  • ② 52
  • ③ 65
  • ④ 89

2022. 3. 31. 23:28삭제
(2256kj.kg * 5500kg) / 350*40000 = 0.886
97. 보일러 안전사고의 종류가 아닌 것은?
  • ① 노통, 수관, 연관 등의 파열 및 균열
  • ② 보일러 내의 스케일 부착
  • ③ 동체, 노통, 화실의 압궤 및 수관, 연관 등 전열면의 팽출
  • ④ 연도나 노 내의 가스폭발, 역화 그 외의 이상연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8. 실제증발량이 1800kg/h인 보일러에서 상당증발량은 약 몇 kg/h 인가? (단, 증기엔탈피와 급수엔탈피는 각각 2780 kJ/kg, 80 kJ/kg 이다.)
  • ① 1210
  • ② 1480
  • ③ 2020
  • ④ 2150

도땃쥐2023. 2. 18. 20:48삭제
상당증발량 Ge = Ga(h2-h1)/2,257 ( h2: 증기엔탈피, h1: 급수엔탈피 ) Ge = 1800*(2780-80) / 2257 = 약 2150kg/h
2022. 3. 31. 23:22삭제
수증기 증발잠열 2257kj/kg 1800*(2780-80)=4860000kj/h 4860000 / 2257 = 2254
99. 노벽의 두께가 200mm이고, 그 외측은 75mm의 보온재로 보온되고 있다. 노벽의 내부온도가 400℃이고, 외측온도가 38℃일 경우 노벽의 면적이 10m2 라면 열손실은 약 몇 W인가? (단, 노벽과 보온재의 평균 열전도율은 각각 3.3 W/m·℃, 0.13 W/m·℃ 이다.)
  • ① 4678
  • ② 5678
  • ③ 6678
  • ④ 7678

강수2023. 8. 22. 13:39삭제
1/K=0.2/3.3+0.075/0.13=0.637529, K=1.568556 Q=KAdT=1.568556*10*(400-38)=5678.172W
도땃쥐2023. 2. 18. 20:49삭제
그냥 외우자 숫자가 이어져있다 우와 5678
100. 보일러 내처리를 위한 pH 조정제가 아닌 것은?
  • ① 수산화나트륨
  • ② 암모니아
  • ③ 제1인산나트륨
  • ④ 아황산나트륨

2024. 1. 23. 16:15삭제
아황산나트륨은 탈산 소제 입니다
hell2023. 1. 29. 12:33삭제
ph조정제:가성소다(수산화나트륨), 제1,제3인산소다, 탄산소다,인산,암모니아 등
하밀뭉씌2022. 3. 3. 21:47삭제
아황산나트륨:탈산소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