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경학(2017. 6. 24.) 시험일자 : 2017년 6월 24일

1.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다음 원소 중 다량원소가 아닌 것은?
  • ① 황(S)
  • ② 철(Fe)
  • ③ 인(P)
  • ④ 마그네슘(M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시인 및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며, 1712년 토피어리(topiary)를 비판하는 글을 가디안(Gardian)지에 기고한 사람은?
  • ① 알렉산더 포프(Alexander Pope)
  • ② 윌리엄 챔버(William Chamber)
  • ③ 험프리 랩턴(Humphry Repton)
  • ④ 란셀롯 브라운(Lancelot Brown)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한양도성과 경복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한양은 외곽이 도성으로 둘러싸이고 내부는 풍수지리적 명당지에 세운 궁궐을 중심으로 건설되었다.
  • ② 흥인문과 돈화문을 연결하는 동서도로는 숭례문에서 주작대로와 연결되어 정(丁)자 형태의 대로를 이루었다.
  • ③ 좌묘우사의 원칙에 따라 종묘와 사직단을 배치했다.
  • ④ 경복궁의 주요 원유에는 경회루지원과 향원정지원 등이 있다.

바비나라바비공주2024. 6. 10. 23:38삭제
② 흥인문과 돈의문을 연결하는 동서도로는 숭례문에서 주작대로와 연결되어 정(丁)자 형태의 대로를 이루었다. 돈화문은 창덕궁의 입구다.
4. 다음 내용과 관련 있는 조선시대 전통주택은?
  • ① 달성 박황 댁 삼가헌
  • ② 구례 운조루
  • ③ 함양 정여창 고택
  • ④ 남원 몽심재

바비2024. 5. 28. 20:51삭제
달성군 하빈면 묘동은 사육신 중 하나인 충정공 박팽년(1417∼1456) 후손이 모여 사는 순천 박씨 집성촌이다. 삼가헌은 박씨 집성촌과는 낮은 산을 경계로 하고 있다. 삼가헌은 박팽년의 11대 손인 성수聖洙가 1769년에 이곳에 초가를 짓고 자기의 호를 따라 삼가헌이라 한 것에서 시작한다. 그 뒤 그의 아들 광석光錫이 1783년 이웃 묘골에서 현재 위치로 분가한 다음 1826년 초가를 헐고 안채와 사랑채를 지었다. 별당인 하엽정(荷葉亭)은 연꽃잎의 정자라는 뜻으로 1826년 집을 지을 당시 많은 흙을 파낸 자리에 박광석의 손자 규현이 1874년에 연못으로 꾸며 연을 심고 파산서당을 앞으로 옮겨 지으면서 하엽정이라 당호를 붙였다. 삼가헌三可軒이라는 이름은 중용에서 나왔다. 중용 제 9장에는 子曰 天下國家可均也, 爵祿可辭也, 白刃可蹈也, 中庸不可能也(자왈 천하국가가균야, 작록가사야, 백도가답야, 중요불가능야) 라는 문구가 있다. 이 글은 "천하와 국가는 다스릴 수 있고, 관직과 녹봉도 사양할 수 있고, 날카로운 칼날 위를 밟을 수도 있지만 중용은 불가능하다."라는 뜻이다. 이는 천하를 다스림은 知이고, 작록을 거부하는 것은 仁이며. 칼날을 밟을 수 있다는 것은 勇에 해당한고 한다. 즉 선비로서 갖추어야 할 덕목을 모두 갖추었다는 것이다. 하엽정은 원래 4칸 규모의 1자형 건물이었는데 앞에 누마루를 한 칸을 늘여 붙였다고 한다. 연못은 앞쪽으로 길게 뻗은 직사각형이고 가운데 원형 섬이 있고 섬까지는 외나무다리가 있어다. 이 별당은 원래 서당으로 쓰던 곳으로 앞에는 <하엽정>이라는 당호와 함께 <파산서당巴山書堂>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안채는 전면 6칸 전퇴집으로 3평주 삼량집으로 2009년 4월 화재로 소실되어 다시 지었다. 전체적으로 볼때, 조선 중기에 건축된 지방 양반가의 특징을 잘 남긴 대표적인 주택이다.
5. 우리나라 삼보사찰의 하나로, 산지형 사찰이면서도 평지형 사찰의 구조를 갖고 있는 대표적인 곳은?
  • ① 청평사
  • ② 봉선사
  • ③ 선암사
  • ④ 송광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사회⋅행태적 분석에서 이용하고 있는 개인적 공간(personal spac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친밀한 거리는 0~45cm의 거리로 아주 가까운 사람들 사이에 유지되는 거리이다.
  • ② 개인적 거리는 친한 친구 혹은 잘 아는 사람들 간의 일상적 대화에서 유지되는 거리이다.
  • ③ 사회적 거리는 3.6m 이상의 거리이다.
  • ④ 공적 거리는 배우, 연사 등의 개인과 청중 사이에 유지되는 거리이다.

바비2024. 5. 28. 20:52삭제
120~360cm 사회적 거리
7. 방화식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수림대에는 수고 10m 이상의 교목을 식재한다.
  • ② 수림대는 교목을 교호로 하여 배식밀도 4m2에 1주 정도로 식재한다.
  • ③ 내화수종으로는 은행나무, 사철나무 등이 있다.
  • ④ 잎이 좁고 밀생되어 있지 않은 수종이 방화에 유리하다.

바비2024. 5. 28. 20:55삭제
② 수림대는 교목을 교호로 하여 배식밀도 4m2에 1주 정도로 식재한다. ③ 내화수종으로는 은행나무, 사철나무 등이 있다. 76. 다음 중 방화용(防火用)수종으로 내화력(耐火力)이 가장 강한 것은?     ❶ 아왜나무     ① 방화식재는 잎이 두텁고, 함수량이 많은 수종이어야 한다. 동백 굴거리 사철  ① Camellia japonica L.     ②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③ Euonymus japonicus Thumb. 은행
8.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20만m2 규모의 도시지역권 근린공원에 설치할 수 없는 것은?
  • ① 동물놀이터
  • ② 골프장
  • ③ 휴게음식점
  • ④ 순환회전차

바비나라바비공주2024. 6. 10. 23:44삭제
골프장은 30만m2이다.
바비2024. 5. 28. 21:02삭제
편익시설 중 유스호스텔 : 100만제곱미터 이상의 도시공원(묘지공원을 제외한다) 4. 다음 각 목의 편익시설 등: 국제경기대회 개최를 목적으로 경기장이 설치된 100만 제곱미터 이상의 체육공원 가. 선수 전용숙소 및 운동시설 관련 사무실 나. 「유통산업발전법」 별표에 따른 대형마트 또는 쇼핑센터로서 매장면적(대형마트와 쇼핑센터를 함께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를 합산한 면적을 말한다) 및 부대시설(기계실 및 창고를 포함한다)의 연면적이 각각 1만6천500제곱미터 이하인 시설 다. 별표 1 제9호바목의 시설 5. 운동시설 중 승마장 : 100만제곱미터 이상의 근린공원 및 100만제곱미터 이상의 체육공원
바비2024. 5. 28. 21:00삭제
<<<10만제곱미터 이상의 근린공원 -휴양시설 중 수목원 - 유희시설 중 순환회전차 그 밖의 이와 유사한 유희시설(전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에 한한다)로서 해당시설의 이용에 있어 사용료를 징수하는 시설 -편익시설 중 휴게음식점 (10만제곱미터 미만인 도시공원(소공원 및 어린이공원을 제외한다)의 경우 공원관리청이 도시공원 이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공원시설 안에 설치할 수 있다.) -편익시설 중 일반음식점(「관광진흥법」 제70조에 따른 관광특구 안의 5만제곱미터 이상인 도시공원으로서 공원관리청이 관할 도시공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공원시설 안에 설치할 수 있다.) -운동시설 중 골프연습장 10만제곱미터 이상의 근린공원 및 10만제곱미터 이상의 체육공원.(실내골프연습장”이라 한다)은 그 면적이 부대시설의 면적을포함하여 330제곱미터 이하이고 해당건축물 연면적의 2분의 1을 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해당공원면적이 10만제곱미터 미만인 경우에도 이를 설치할 수 있다. )
9. 잔디 식재공법의 종류 가운데 떼붙이기 유형 중 어긋나기식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식재지 전 면적에 걸쳐 뗏장을 맞붙이는 방법으로서 단시일 내에 완전한 잔디밭을 조성할 수 있다.
  • ② 잔디를 뗏장 너비 또는 그 이하로 떼어 뗏장을 이어 붙이는 방법으로서 경사지에 1~2년의 시간을 두고 잔디밭을 조성한다.
  • ③ 사각형 뗏장을 바둑판 모양으로 한 장씩 띄어서 식재하는 방법으로서 평지에 1~2년의 시간을 두고 잔디밭을 조성한다.
  • ④ 두루마리 형태의 카펫 크기 뗏장을 식재지 전면에 까는 방법으로서 단시일 내에 완전한 잔디밭을 조성할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조경석의 평균 규격(높이×폭×길이)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4목도석: 50×60×70(cm)
  • ② 8목도석: 50×60×75(cm)
  • ③ 12목도석: 60×70×85(cm)
  • ④ 16목도석: 60×80×90(c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다음 소나무속의 수종 중 잎이 5개 속생하는 수종이 아닌 것은?
  • ① Pinus bungeana Zucc. ex Endl.
  • ②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 ③ Pinus pumila (Pall.) Regel
  • ④ Pinus strobus L.

바비2024. 5. 28. 21:04삭제
Pinus pumila (Pall.) Regel 눈잣나무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잣나무
12. 소나무 병충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소나무좀은 소나무, 곰솔, 잣나무 등 소나무류에만 기생하며, 수세가 약한 조경수에 피해를 준다.
  • ② 솔수염하늘소는 소나무, 곰솔, 전나무 등을 가해하여 소나무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 ③ 재선충의 병징은 잔가지나 줄기가 말라 아래로 처지고, 분리된 가지 사이로 송진이 나오는 것이다.
  • ④ 피목가지마름병은 자낭균에 의한 병으로, 지름 5cm 이내의 잔가지가 고사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조경식물의 번식방법 중 모체의 뿌리가 그대로 붙어있는 상태에서 부정근 발생에 의한 방법은?
  • ① 분주(分株)
  • ② 삽목(揷木)
  • ③ 접목(接木)
  • ④ 취목(取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식물은?
  • ① Lindera obtusiloba Blume
  • ② Cornus controversa Hem sl.
  • ③ Cornus kousa F.Buerger ex Hance
  • ④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다음 비탈면 녹화공법 중 종자분사파종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기계화시공법으로 주로 토사가 있는 성토지역에 적용된다.
  • ② 암반비탈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③ 종자, 비료, 파이버(fiber), 침식방지제 등을 물과 교반하여 살포한다.
  • ④ 시공 후 표층부 고결을 위해 아스팔트유제나 합성수지계를 사용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공정계획 시 공정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횡선식 공정표는 막대형 진도관리로 간단한 공사, 개략공정표에 사용한다.
  • ② PERT/CPM 네트워크 공정표는 복잡한 공사, 대형 공사에 사용한다.
  • ③ 한계경로란 개시결합점에서 완료결합점까지의 최단경로를 말한다.
  • ④ 자유여유시간이란 최초개시시각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안에서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말한다.

바비2024. 5. 28. 21:43삭제
라면끓이기 물끓이기 3분 라면봉지까기 10초 라면끓이기 3분 물끓이기 빠른시작 0분, 빠른 종료 0분 물끓기이 늦은시작 0분, 늦은 종료 0분 물끓이기 전체여유 0초, 자유 여유 0초 라면봉지까기 빠른시작 0분 빠른종료 10초 라면봉지까기 늦은시작 2분 50초 빠른 종료 3분 라면봉지까기 전체여유 2분 50초 자유 여유 2분 50초 라면끓이기 빠른시작 3분 빠른종료 6분 라면끓이기 늦은시작3분 늦은종료 6분 라면끓이기 전체여유 0초 자유여유 0초 라면끓이기 총 소요시간 6분 https://www.youtube.com/watch?v=nOcy7MhGW7w
바비2024. 5. 28. 21:30삭제
pdm 노드( 화살표 사이에 사용되는 도형) 빠른시작(es), 작업명(activity), 빠른완료(ef), 늦은시작(ls), 소요시간(duration), 늦은완료(lf) 사각형안에 adm 애로우(화살표 위에 기록) - 기사시험에 나오는 그림 두개 그리는 방법만 다르다. adm에서 더미 나옴. 더미, 소요시간은0이고 이는 노드(동그라미)를 하나 더 그려서 점선으로 연결한다.
바비2024. 5. 28. 21:20삭제
1. 공정표의 종류 (1) 간트식 공정표 가. 횡선식 공정표 막대형 진도관리로 간단한 공사, 개략공정표에 사용한다. 나. 사선식 공정표(바나나곡선) 작업간 관련성은 표현 못함. 공사 기성고 표현에 좋음 (2)network식 공정표 가.pert 무경험, 공기단축 나.cpm 유경험. 돈아끼기 다. pdm 반복적이고 많이 하면 효율적 라.overlapping 공정간 겹치는 부분 간단표기
17. 단위놀이시설의 설계기준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단, 「조경설계기준(2013)」에 따른다.)
  • ① 미끄럼판의 기울기는 30~35°로 하며, 1인용 폭은 40~50cm를 기준으로 한다.
  • ② 회전시설은 동적 놀이시설로 답면의 끝에서 3m 이상의 이용공간을 확보한다.
  • ③ 모래밭의 깊이는 안전을 고려하여 30cm 이상으로 하고, 모래막이의 마감면은 모래면보다 5cm 이상 높게 한다.
  • ④ 그네보호책의 높이는 60cm를 기준으로 하고, 그네 길이 보다 최소 80cm 이상 멀리 배치한다.

바비2024. 5. 28. 21:17삭제
그네보호책의 높이는 60cm를 기준으로 하고, 그네 길이 보다 최소 1m 이상 멀리 배치한다.
18. 용도에 따른 적산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개산견적
  • ② 설계견적
  • ③ 실행견적
  • ④ 입찰견적

바비2024. 5. 28. 21:16삭제
개산견적: 설계도서가 완성되지 않은 단계에서 부족한 정보를 최대한 활용하여 공사비를 예측하는 것 요소견적, 파라미터 견적 단위면적, 단위체적, 단위설비
19. 건축물 옥상에 4주의 교목을 식재한 경우 몇 주를 식재한 것으로 산정되는가? (단, 국토교통부 「조경기준」상 옥상조경 면적의 산정에 따른다.)
  • ① 2주
  • ② 4주
  • ③ 6주
  • ④ 8주

바비2024. 5. 28. 21:13삭제
4.2.4 배수 (1) 배수층은 재료군 및 재료의 종류에 따라 골재형, 패널형, 저수형, 매트형으로 구분한다. (2) 옥상의 면적과 layout을 고려하여 배수공을 설치한다. 식수대 벽체 길이 30 m 당 1개소 이상 설치하며, 플랜터, 데크 등 구조물로 인하여 배수가 원활하지 않을 때는 추가 반영한다. (3) 옥상면의 배수구배는 최저 1.3% 이상으로 하고 배수구 부분의 배수구배는 최저 2% 이상으로 설치한다. (4) 배수드레인은 드레인 캡이 지붕 슬래브 면보다 융기해 있는 것을 사용한다. (5) 배수는 스테인리스판 등의 소재에 구멍을 뚫은 타공판을 통한 배수와 화단 벽체 하부 배수구를 통한 배수로 구분·선정한다. (6) 타공판배수로를 통한 배수 ① 녹지 내로 스며드는 물은 배수층 → 배수로 → 루프드레인(점검구) → (선홈통)을 통해서 건물 외부로 유출되도록 한다. ② 스테인리스 타공판(위가 뚫린 □자형, 폭20~30cm)내에 자갈을 채워 빗물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하며, 녹화 가장자리에 배치한다. ③ 배수로와 루프드레인의 연결부에는 점검구를 설치하여 인공토양, 낙엽, 쓰레기 등의 유입으로 인한 배수관의 막힘을 방지한다. (7) 화단 벽체 하부 배수구를 통한 배수 ① 녹지 내로 스며드는 물은 배수층 → 벽체하부 배수구 → 루프드레인(점검구) → (선홈통)을 통해서 건물 외부로 유출되도록 한다. ② 화단 벽체 하부에 배수구(각관, 아래가 뚫린 □자형 강판)를 설치하여 화단 하부의 배수판을 통과한 물을 루프드레인으로 유도한다.
바비2024. 5. 28. 21:11삭제
옥상교목 1.5배할증.
바비2024. 5. 28. 21:10삭제
4.2.2 보호층 (1) 방수층 및 방근층을 보호하는 방법은 크게 다음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사용하는 옥상녹화의 유형, 방수재 및 방근재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설계에 적용한다. (부직포형 보호층 / 패널형 보호층 / 배수층형 보호층 / 방근층형 보호층) (2) 기존 옥상녹화 조성 방법에서는 보편적으로 방수층 상부에 타설하는 누름 콘크리트 층을 보호층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누름 콘크리트 층만으로는 방근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방근층을 두어야 한다. (3) 부직포형 보호층으로는 300 g/㎡ 이상의 섬유를 사용하고, 콘크리트나 시멘트 방수로 보호층을 조성할 때는 추가로 발생하는 하중 및 균열 발생에 유의한다.
바비2024. 5. 28. 21:09삭제
② 중량형 녹화 가. 최소 20 ㎝ 이상의 토양층 조성이 필요하며 기타 수반되는 하부 시스템 구성 요소를 포함하면 단위면적당 300 ㎏f/㎡ 이상의 고정하중이 요구된다. 나. 중량형 녹화 유형은 이용형 녹화유형으로도 불리며 주기적인 관수, 시비, 전정, 예초 등 집중적 관리를 통하여 지속해서 유지해야 한다. ③ 혼합형 녹화 가. 토양층 조성 등 하부 시스템의 설치에 따라 건물에 미치는 하중 부하는 단위면적당 200 ㎏f/㎡ 내외이다. 나. 토양층 조성뿐만 아니라 관수 및 영양 공급 면에서 요구 조건이 비교적 낮은 편이다. 다양성은 중량형 녹화에 비해 제한적이다. ④ 경량형 녹화 가. 토양층 조성과 하부 시스템의 설치가 건물에 미치는 하중 부하는 단위면적당 120 ㎏f/㎡ 내외이다. 나. 일반적으로 이용 목적을 배제하고 최소의 자원과 비용으로 생태적 건물외피 조성을 추구한다.
20. ‘공원녹지관리 이용지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이용지도의 지도원은 관련부서의 행정담당자이며, 주민단체나 전문가에게 위탁할 수는 없다.
  • ② 이용지도의 종류에는 놀이지도, 식물원예지도, 해설교육 등이 있다.
  • ③ 우리나라에서는 국립공원, 환경부, 산림청, 문화재청 등에서 이용지도 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다.
  • ④ 공원자원봉사자의 유형에는 에코가이드, 지질공원해설사, 자연환경해설사, 숲해설사, 문화관광해설사 등이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