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경학(2015. 6. 13.) 시험일자 : 2015년 6월 13일

1. 버컨헤드 공원(Birkenhead Park)이 갖는 조경사적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해당되는 내용은 무엇인가?
  • ① 공원의 설계는 프레드릭 로우 옴스테드에 의해 설계되었다.
  • ② 일반대중의 사용을 위해 시민의 힘으로 조성되었다.
  • ③ 왕실 수렵원으로 존 나시에 의하여 공공공원으로 개발되었다.
  • ④ 영국 자연풍경식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비2024. 3. 6. 20:47삭제
왕실 수렵원으로 존 나시에 의하여 공공공원 주거용택지로 개발되었다 리젠트파크
2023. 12. 21. 01:03삭제
조셉 팩스턴
2. 다음 중 음지에서 잘 자라는 수종끼리 묶인 것은?
  • ① 느티나무, 붉나무, 구상나무
  • ② 낙엽송, 비자나무, 자작나무
  • ③ 자귀나무, 플라타너스, 능소화
  • ④ 주목, 사철나무, 식나무

바비2024. 3. 6. 20:56삭제
음수:너도밤나무, 가시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비자나무, 솔송, 주목, 동백, 회양목, 서어나무, 녹나무, 편백
3. 자연환경조사분석 과정 중 우점도를 파악하기 위한 적합한 방형구 크기를 교목, 관목, 초본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 ① 5m×5m - 2m×2m - 1m×1m
  • ② 10m×10m - 5m×5m - 1m×1m
  • ③ 15m×15m - 10m×10m - 2m×2m
  • ④ 20m×20m - 10m×10m - 2m×2m

바비2024. 5. 27. 19:26삭제
교목림 : 20~100m2 ( 5*5~ 10*10) 관목림: 5~20m2( 3*3 ~ 4*4) 건생초지: 5~10m2 습생초지 2~5m2 선태지의류: 0.1~4m2(0.5*0.5 ~ 2*2)
4. 다음 중 지형 표시법인 점고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빛이 지표에 비치면 지표기복의 형상에 따라 명암이 생기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 ② 지표면의 표고나 수심을 도상에 숫자로 기입하는 방법이다.
  • ③ 토지의 수직적인 지형 변화를 나타내는 그림으로 잘려진 면을 옆에서 보는 것처럼 표현하는 방법이다.
  • ④ 지표의 같은 높이의 점을 연결하는 곡선을 이용하여 높이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바비2024. 5. 27. 19:30삭제
spot height system- 사각분할, 삼각분할 문제 지표상 어느 점의 표고 또는 수심을 직접 수치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산정의 높이하천연안 항만 등의 수심을 나타내는데 이용된다. 해도는 점고법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5. 다음 중 서울 지역의 공원에서 봄에 가장 먼저 꽃이 피는 수목은?
  • ① 때죽나무
  • ② 산딸나무
  • ③ 산수유
  • ④ 황매화

바비2024. 4. 19. 00:38삭제
Styrax japonicus 때죽나무 꽃 흰색 56월 Cornus kousa 산딸나무 꽃56월 흰색 한국원산 Kerria japonica 황매화 꽃 45월 노란색
6. 일반적인 수목 규격은 수목의 형태, 수종에 따라 표기하는 방식이 다르다. 다음 중 해당 수목의 규격 표기방식이 옳은 것은?
  • ① 철쭉(H0.5×W0.5)
  • ② 단풍나무(H2.0×B3)
  • ③ 은행나무(H3.0×R6)
  • ④ 소나무(H5.0×W2.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아 정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전원에 거주하려는 사람들을 위해 빌라와 함께 정원을 만들었다.
  • ② 이교도적 경관인 이슬람 정원의 영향에서 벗어났다.
  • ③ 중세 기독교 개념이 중심이 된 수도원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 ④ 비트루비우스(Vitruvius)의 기하학적 비례 원리를 기초로 계획하였다.

바비2024. 5. 27. 19:31삭제
비트루비우스적 인간(Vitruvian Man) 또는 인체 비례도(Canon of Proportions)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소묘 작품이다. 고대 로마의 건축가 비트루비우스가 쓴 ‘건축 10서(De architectura)' 3장 신전 건축 편에서 ‘인체의 건축에 적용되는 비례의 규칙을 신전 건축에 사용해야 한다’고 쓴 대목을 읽고 그렸다고 전해진다. 원문을 옮기면서 고대의 인체 비례론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실제로 사람을 데려다 눈금자를 들이대면서 측정한 결과를 글로 적어두었다. “자연이 낸 인체의 중심은 배꼽이다. 등을 대고 누워서 팔 다리를 뻗은 다음 컴퍼스 중심을 배꼽에 맞추고 원을 돌리면 두 팔의 손가락 끝과 두 발의 발가락 끝이 원에 붙는다… 정사각형으로도 된다. 사람 키를 발바닥에서 정수리까지 잰 길이는 두 팔을 가로 벌린 너비와 같기 때문이다.” 라고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말하였다.
8. 우수유출량을 산정하는 합리식에서 적용되는 항목들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 ① 평균유속 - 배수면적 - 강우강도
  • ② 평균유속 - 유출계수 - 강우면적
  • ③ 배수면적 - 평균유속 - 유출계수
  • ④ 강우강도 - 유출계수 - 배수면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인공지반에 식재하는 수목은 바람에 직접 노출되어 전도되기 쉽다. 다음 중 내풍성만을 고려할 때 바람에 강한 옥상녹화 도입 식물로 가장 적합한 수종은?
  • ① 미루나무
  • ② 아까시나무
  • ③ 느티나무
  • ④ 양버들

바비2024. 4. 19. 00:44삭제
지하고율이 클수록 방풍효과 업 ㅡ 지엽이 치밀한 친근한 수종이 좋다 참고 바람 위쪽 6~10배 바람 아래쪽 25배 거리까지 방풍림 효과 가장 효과 좋은 지점 바람 아래쪽 수고의 3~5배 지점
10. 우리나라의 전통조경양식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① 포석정은 다듬은 돌로 축조된 정자이다.
  • ② 가산(假山)은 산악을 본뜬 축경형의 조산(造山)을 말한다.
  • ③ 별서의 시작은 고려시대의 임천(林泉)정원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 ④ 우리나라의 누(樓)⋅정(亭)은 중국, 일본과 달리 내부지향적이다.

바비2024. 5. 27. 19:35삭제
포석정의 석구는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을 즐기기 위한 용도이다. 유상곡수연은 4세기 위진남북조시대의 서예가 왕희지에서 비롯됐다.[6] 물이 흐르는 수로의 첫 부분에 술이 담긴 술잔을 띄우면 술잔이 수로를 타고 다른 사람에게 건너가는 구조인데, 수로를 기가 막히게 설계하여 술잔이 떠내려가는 중에도 기울어지거나 부딪히지 않았다 한다. 술잔이 떠내려가는 동안 시를 짓고 만약 못 지으면 벌주 3잔을 마시는 식으로 노는 것이 유상곡수연이었다. 크기를 다양하게 다듬은 돌 63개가 사용됐고 크기는 길이 10.3 m, 폭 7 m 정도이고, 물길 길이는 약 22m이다. 물길의 폭은 최소 24 cm에서 최대 40 cm로 다양하지만, 평균적으로 30 cm 정도이다. 깊이도 평균적으로 22 cm 정도이며 물길의 입구와 출구의 낙차는 40 cm 정도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각 위치마다 속도가 천차만별이다.
11. 2015년 1월 20일 자로 공포되고, 2015년 7월 21일 시행하게 되는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정원이 수행하는 사업이 아닌 것은?
  • ① 정원에 이용되는 식물 및 재료 등의 조사⋅수집⋅보급 및 관리
  • ② 정원에 관한 간행물 발간
  • ③ 정원의 디자인과 시공
  • ④ 정원의 유지관리 및 전시

바비2024. 5. 27. 19:48삭제
정원제외공간 1.문화재 2.자연유산 3.자연공원. 4.도시공원 5.건축법 대지조경
바비2024. 5. 27. 19:47삭제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산림청장이 5년마다 수립, 시행
바비2024. 5. 27. 19:36삭제
② 정원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수행한다. <신설 2015. 1. 20.> 1. 정원에 이용되는 식물 및 재료 등의 조사ㆍ수집ㆍ보급 및 관리 2. 정원의 유지관리 및 전시 3. 정원에 관한 기술지도 및 교육 4. 국내외 정원 간의 식물 등에 관한 정보교류 및 협력 5. 정원에 관한 자연학습 및 행사개최 6. 정원에 관한 간행물 발간 7. 그 밖에 정원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사업 ③ 제1항제11호에 따른 수목유전자원 목록의 작성에 관한 기준ㆍ절차ㆍ방법 및 관리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12. 중국의 전통조경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① 왕희지의 「난정기」는 곡수(曲水)를 돌리는 수법 창출에 영향을 미쳤다.
  • ② 원야는 계성에 의해 만들어진 정원이다.
  • ③ 명대 대표 원림은 졸정원, 원명원이다.
  • ④ 「작정기」는 청대 황가원림의 정원 구축법을 기록해 놓은 것이다.

바비2024. 5. 27. 19:51삭제
중국 4대명원 창랑정, 사자림, 졸정원, 유원: 창사졸유 원야 - 계성이 쓴 책 『작정기作庭記』는 일본어 발음대로 표기한 ‘사쿠테이키sakuteiki’로 서양의 정원 관련 서적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영어와 불어 같은 서양의 주류 언어로 이미 많이 번역되어 보급되었다. 그 이유는 동서양을 통틀어 정원 만들기에 관한 가장 오래된 책이고 일본의 정원 문화가 서구에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작정기』는 저작 연도와 저자 이름, 그리고 책 제목도 없는 두루마리 형태의 비전서로 전해진 책이다.
13. 어떤 공원의 연간 이용객이 300,000명, 최대일률은 1/60, 회전율은 0.5, 서비스율은 0.8이라고 할 때 최대시이용자수는 몇 명인가?
  • ① 150,000명
  • ② 5,000명
  • ③ 2,500명
  • ④ 2,000명

바비2024. 5. 27. 19:57삭제
최대일률 =집중률 = 일간 이용자수/ 연간이용자수 1(최대일 이용자수)/100(연간이용자수): 4계절형 1(최대일 이용자수)/60(연간이용자수): 3계절형 1(최대일 이용자수)/40(연간이용자수): 2계절형 1(최대일 이용자수)/30(연간이용자수): 1계절형 최대일이용자수: 연간이용객 수 * 최대일률 최대시이용자수: 연간 이용객수 * 최대일률 * 회전율 ---------------------------------------------------- 동시수용력 m = 최대시 이용자수*서비스율(최대일 이용자수의 60~80%)
14. 다음 중 자전거 도로의 규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특별한 기준이 없는 경우 마주 오는 두 대가 방해받지 않고 교차할 수 있는 폭으로 설치한다.
  • ② 설계속도에 맞는 곡선반경을 고려하여 최소곡선반경은 15m 이상으로 한다.
  • ③ 자전거 도로의 종단경사는 2.5~3%를 표준으로 하고, 최대 5%를 넘지 않아야 한다.
  • ④ 종단경사가 4%보다 급한 오르막에서는 제한 길이(90~220m)를 두어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다음 빛의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 중에서 단위면에 수직으로 투하된 광속밀도를 말하는 것은?
  • ① 광속
  • ② 광도
  • ③ 휘도
  • ④ 조도

바비2024. 5. 27. 20:16삭제
광속 1lm(루멘)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가시광선의 총량 광도 cd칸델라 설정된 방향에서의 빛의 양
바비2024. 5. 27. 20:14삭제
휘도 눈부심의 정도. 어느방향으로 보았을때 얼마나 밝게 보이는지 공간의 전체적인 인상. 가로등이 도로에서부터 반사되어 사람에게 보임
바비2024. 5. 27. 20:12삭제
조도 촛불 1개의 조도가 1lx는 1제곱미터 면적위에 1lm의 광속이 균일하게 수직으로 투하되는 광속밀도
16. 표준품셈 적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소량의 토량인 경우 표준품셈의 토량환산계수표에 따를 수도 있다.
  • ② 공사 특성상 부득이 야간작업을 하여야 할 경우에는 품을 10%까지 가산한다.
  • ③ 사용고재 및 발생재 처리는 표준품셈에 의하여 그 대금을 공사 후에 공제한다.
  • ④ 특수한 수종과 수형이라도 조달청 가격을 따라야 한다.

바비2024. 5. 27. 20:20삭제
5. 발생재의 처리 사용고재 등 발생재의 처리는 다음 표에 의하여 그 대금을 설계 당시 미리 공제한다. 품 명 공 제 율 사 용 고 재 ( 시 멘 트 공 대 및 공 드 람 제 외 ) 90% 강 재 스 크 랩 ( S c r a p ) 70% 기 타 발 생 재 발 생 량 [주] ① 공제금액 계산 : 발생량×공제율×고재단가 ② 기존시설물의 철거, 해체, 이설 등으로 인한 발생재는 ‘예정가격 작성기준 제17조’를 따른다.
바비2024. 5. 27. 20:18삭제
야 간 - 정상작업시간에 추가하여 야간공사 수행(돌관공사) 25% - 공사성격에 따라 야간작업으로 계획 [주] 공정계획에 의해 정상작업(정상공기)에 의한 작업이 불가능한 경우 또는 공사성격 상 야간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바비2024. 5. 27. 20:17삭제
3. 체적환산계수 가. 토공에 있어 토질 시험하여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소량의 토량인 경우에는 표준품셈의 체적환산계수표에 따를 수도 있다.
17. 조경재료 중 목재데크가 땅과 물이 접하는 곳이나 바닷물이 접하는 곳 등 특수한 환경에서 고도의 내구성을 요구하는 곳에 위치하게 될 때 적합한 방부법은?
  • ① 침지법
  • ② 도포법
  • ③ 분무법
  • ④ 가압법

바비2024. 4. 19. 00:31삭제
1.도포법;방부제나 페인트를 칠하는 방법 .2.침지법;방부액에 담가두는 방법. 3.주입법:방부제를 상압이나 가압하여 깊숙히 주입하는 방법 https://archi.inup.co.kr/post/read.jsp?id=17944&s_module=02&layout=&page=527 14. "가압식 처리방법"이라 함은 KS F 2219(목재의 가압식 방부처리 방법)에 의거하여 목재를 밀폐형 주약관(注藥罐)내에 넣고 펌프를 통한 감압과 가압을 실시하여 목재에 목재보존제를 주입하는 방법을 말한다.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092691
18.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상 생활권공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체육공원
  • ② 어린이공원
  • ③ 소공원
  • ④ 근린공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다음 중 케빈 린치(K. Lynch)의 도시의 이미지 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이미지성이란 관찰자에게 강한 이미지를 줄 수 있는 물리적 사물이 지닌 성질이다.
  • ② 도시의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는 물리적 요소로 통로, 모서리, 지역, 결절점, 랜드마크를 제시했다.
  • ③ 린치의 연구는 표본 수가 많아서 일반화하는 데 무리가 없다.
  • ④ 린치는 훈련된 조사자와 일반 도시인을 대상으로 도시 이미지를 조사하고 이를 종합하였다.

바비2024. 5. 27. 20:24삭제
메세츄세츠공과대학(MIT)의 도시계획 전공교수인 케빈린취는 1966년 '도시의 이미지(The Image of City)'라는 독특한 도시론을 발표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도시란 사람들의 마음에 그려지는 이미지라고 말하고, 마음에 그려 넣는 능력을 이미지능력(Image abillity)라고 이름지으면서 이것을 높이는 일이야 말로 아름답고 즐거운 환경을 위한 요건이라고 말했다. 또한 도시적 스케일을 갖는 시각적 형태를 해석해서 도시설계에 설득력있는 원칙을 만들어 적용하고자 하였다. 린취는 환경의 이미지 성분으로 동질성(identity), 구조(structure), 의미(meaning)의 세가지를 들고,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로는 소로(path), 지구(district), 가장자리(edge), 상징물(landmark), 결절점(node)로 다섯가지를 들고 있다. [출처] 도시이미지|작성자 sonkwangshik
20. 다음 중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상 공원녹지 기본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수립권자는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의 시장이다.
  • ② 5년을 단위로 하여 관할구역의 도시지역에 대하여 공원녹지의 확충⋅관리⋅이용 방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 ③ 지역 여건상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인접한 지방자치단체의 관할구역의 일부를 포함하여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④ 공원녹지기본계획에는 공원녹지의 종합적 배치, 축과 망, 수요 및 공급에 관한 사항 등을 포함한다.

바비2024. 5. 27. 20:28삭제
② 공원녹지기본계획은 도시ㆍ군기본계획에 부합되어야 하며, 공원녹지기본계획의 내용이 도시ㆍ군기본계획의 내용과 다른 경우에는 도시ㆍ군기본계획의 내용이 우선한다. <개정 2011. 4. 14.> ③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수립기준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다. <개정 2013. 3. 23.> 제6조(공원녹지기본계획의 내용 등) ① 공원녹지기본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지역적 특성 및 계획의 방향ㆍ목표에 관한 사항 2. 인구, 산업, 경제, 공간구조, 토지이용 등의 변화에 따른 공원녹지의 여건 변화에 관한 사항 3. 공원녹지의 종합적 배치에 관한 사항 4. 공원녹지의 축(軸)과 망(網)에 관한 사항 5. 공원녹지의 수요 및 공급에 관한 사항 6. 공원녹지의 보전ㆍ관리ㆍ이용에 관한 사항 7. 도시녹화에 관한 사항 8. 그 밖에 공원녹지의 확충ㆍ관리ㆍ이용에 필요한 사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바비2024. 5. 27. 20:27삭제
제2장 공원녹지기본계획 조문체계도버튼연혁 제5조(공원녹지기본계획의 수립권자 등) ①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의 시장(이하 “공원녹지기본계획 수립권자”라 한다)은 10년을 단위로 하여 관할구역의 도시지역에 대하여 공원녹지의 확충ㆍ관리ㆍ이용 방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기본계획(이하 “공원녹지기본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야 한다. 1. 제6조제1항 각 호의 사항이 도시ㆍ군기본계획(「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호에 따른 도시ㆍ군기본계획을 말한다. 이하 같다)에 포함되어 있어 별도의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없다고 인정하는 경우 2.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4조제4항의 훼손지 복구계획에 따라 도시공원을 설치하는 경우 3. 10만제곱미터 이하 규모의 도시공원을 새로 조성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