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2003. 7. 20.) 시험일자 : 2003년 7월 20일
1과목 : 공조냉동안전관리
1. 냉동제조 시설에서 가스누설 검지 경보장치의 검출부 설치개수는 설비군의 바닥면 둘레 몇 m 마다 1개 이상의 비율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 ① 5
- ② 10
- ③ 15
- ④ 2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정 작업을 할 때 강하게 때려서는 안될 경우는 어느 때 인가?
- ① 전 작업에 걸쳐
- ② 작업 중간과 끝에
- ③ 작업 처음과 끝에
- ④ 작업 처음과 중간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다음 중 보호구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 ① 착용시 작업에 지장이 없을 것.
- ② 대상물에 대하여 방호가 충분할 것.
- ③ 보호구 재료의 품질이 우수할 것.
- ④ 성능보다는 외관이 좋을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카바이드와 물의 작용방식에 의한 가스 발생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 ① 주수식
- ② 침지식
- ③ 투입식
- ④ 주입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냉동기 운전 중 토출압력이 높아져 안전장치가 작동하거나 냉매가 유출되는 사고시 점검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 ① 계통내에 공기혼입 유무
- ② 응축기의 냉각수량, 풍량의 감소여부
- ③ 응축기와 수액기간, 균압관의 이상여부
- ④ 유분리기의 이상여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작업중에 갑자기 정전이 발생되었을때 조치중 틀린 것은?
- ① 즉시 전기 스위치를 차단한다.
- ② 비상 발전기가 있으면 가동 준비를 한다.
- ③ 퓨즈를 검사한다.
- ④ 공작물과 공구는 원상태로 놓아 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암모니아 누설검지방법이 아닌 것은?
- ① 유황초 사용
- ② 리트머스 시험지 사용
- ③ 네슬러 시약 사용
- ④ 헤라이드 토치 사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후레온 냉동장치를 능률적으로 운전하기 위한 대책이 아닌 것은?
- ① 이상고압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② 냉매부족이 없도록 한다.
- ③ 습압축이 되도록 한다.
- ④ 각부의 가스 누설이 없도록 유의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정전 작업시의 안전관리 사항 중 적합하지 못한 것은?
- ① 무전압 상태의 유지
- ② 잔류전하의 방전
- ③ 단락접지
- ④ 과열, 습기, 부식의 방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용접용 가스용기 운반시 안전한 방법은?
- ①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떨어 뜨린다
- ② 전자석을 이용한다
- ③ 로프로 묶어 이동시킨다
- ④ 용기를 트럭에서 내릴 때에는 레일을 이용하여 조용히 내린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보일러 운전 중 가장 주시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못한 것은?
- ① 연소상태
- ② 수면
- ③ 압력
- ④ 온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기준에서 제2종 보호 시설에 해당되는 곳은?
- ① 학교
- ② 병원
- ③ 도서관
- ④ 주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보일러 취급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고 원인은?
- ① 보일러 구조상의 결함
- ② 설계상의 결함
- ③ 재료 선택의 부적당
- ④ 증기발생 압력의 과다와 이상 감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재해 발생 빈도율을 구하는 공식은?
- ① (재해 발생 건수/연평균 근로자수) × 100
- ② (재해 발생 건수/연평균 근로자수) × 1,000
- ③ (재해 발생 건수/연평균 근로자수) × 1,000,000
- ④ (근로 손실일수/근로 총 시간수) × 1,00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다음 중 휘발성 유류의 취급시 지켜야 할 안전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실내의 공기가 외부와 차단 되도록 한다.
- ② 수시로 인화물질의 누설여부를 점검한다.
- ③ 소화기를 규정에 맞게 준비하고, 평상시에 조작방법을 익혀둔다.
- ④ 정전기가 발생하는 화학섬유 작업복의 착용을 금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냉동장치는 냉매의 어떤 열을 이용하여 냉동 효과를 얻는가?
- ① 승화열
- ② 기화열
- ③ 융해열
- ④ 응고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과목 : 냉동기계
17. 다음 용어중 단위가 필요한 것은?
- ① 단열 압축지수
- ② 건조도
- ③ 정압 비열
- ④ 압축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냉동의 뜻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 ① 인공적으로 주위의 온도보다 낮게 하는 것을 말한다.
- ② 열이 높은데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을 말한다.
- ③ 물체 자체의 열을 이용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 ④ 기체가 액체로 변화할 때의 기화열에 의한 것을 말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냉동용 장치에 사용되는 냉매로서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 ① 임계온도가 높아야 한다.
- ② 비열비가 적어야 한다.
- ③ 응고온도가 낮아야 한다.
- ④ 윤활유와 잘 작용해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압축후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실린더 헤드를 냉각할 필요가 있다. 다음 표를 참고하여 압축후 냉매의 온도가 가장 높은 냉매는? (단, 모든 냉매는 같은 조건으로 압축함)

- ① R-12
- ② R-22
- ③ NH3
- ④ CH3Cl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1. 응축 온도가 13℃이고, 증발온도가 -13℃인 카르노 사이클에서 냉동기의 성적 계수는 얼마인가?
- ① 0.5
- ② 2
- ③ 5
- ④ 1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2. 일반적으로 벽코일 동결실의 선반으로 많이 사용되는 증발기 형식은?
- ① 헤링 본식(herring - bone) 증발기
- ② 핀 튜우브식(finned tube type) 증발기
- ③ 평판식(plate type) 증발기
- ④ 카스캐이드식(cascade type) 증발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3. 다음 증발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① 증발기에 많은 성애가 끼는 것은 냉동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② 냉동부하에 대해 증발기의 전열면적이 적으면 냉동능력 당의 전력소비가 증대한다.
- ③ 냉동부하에 대해 냉매순환량이 작으면 증발기 출구에서 냉매가스의 과열도가 작아진다.
- ④ 액순환식의 증발기에서는 냉매액만이 흐르고 냉매증기는 일체없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4. 다음 중 열 통과율이 가장 좋은 응축기는?
- ① 증발식
- ② 입형 쉘 앤드 튜브식
- ③ 횡형 쉘 앤드 튜브식
- ④ 7 통로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대기중의 습도가 냉매의 응축온도에 관계있는 응축기는?
- ① 입형 쉘 앤드 튜브 응축기
- ② 공냉식 응축기
- ③ 횡형 쉘 앤드 튜브 응축기
- ④ 증발식 응축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수직형 셀 튜브 응축기의 설명이 잘못된 것은?
- ① 설치면적이 적어도 되며 옥외 설치가 가능하다.
- ② 유분리기와 응축기사이는 균압관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 ③ 대형 NH3냉동장치에 사용된다.
- ④ 응축열량은 증발기에서 흡수한 열량과 압축기 열량의 합과 같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다음 회전식(Rotary) 압축기의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흡입변이 없다.
- ② 압축이 연속적 이다.
- ③ 회전수가 매우 적다.
- ④ 왕복동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냉동용 압축기의 안전헤드(safety head)는?
- ① 액체 흡입으로 압축기가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 ② 워터자켓를 설치한 실린더 헤드(cylinder head)를 말한다.
- ③ 토출가스의 고압을 막아주므로 안전밸브를 따로 둘 필요가 없다.
- ④ 흡입압력의 저하를 방지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9. 스크루우 압축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 ① 흡입 및 토출밸브가 없다.
- ② 크랭크샤프트, 피스톤링 등의 마모부분이 없어 고장이 적다.
- ③ 냉매의 압력손실이 없어 체적효율이 향상된다.
- ④ 고속회전으로 인하여 소음이 적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2단 압축장치의 구성 기기가 아닌 것은?
- ① 고단 압축기
- ② 증발기
- ③ 팽창 밸브
- ④ 카스케이드 응축기(콘덴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냉동장치의 팽창밸브 용량을 결정 하는데 해당하는 것은?
- ① 밸브 시이트의 오리피스 직경
- ② 팽창밸브의 입구의 직경
- ③ 니이들 밸브의 크기
- ④ 팽창밸브의 출구의 직경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가스 배관 재료의 구비조건에 들지 않는 것은?
- ① 관내의 유통이 원활할 것.
- ② 토양이나 지하수에 대하여 충분히 부식성이 있을 것
- ③ 접합이 쉽고, 유체의 누설이 충분히 방지될 것
- ④ 절단 가공에 용이하고 가벼울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양털, 쇠털 등의 동물섬유로 만든 유기질 보온재는?
- ① 석면
- ② 펠트
- ③ 암면
- ④ 규조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냉매에 따른 배관 재료를 선택할 때 옳지 못한 것은?
- ① 염화메틸 - 이음매 없는 알루미늄관
- ② 후레온 - 배관용 스테인레스 강관
- ③ 암모니아 - 압력배관용 탄소강 강관
- ④ 암모니아 - 저온배관용 강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파이프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고무링은 더욱더 파이프 벽에 밀착되어 누설을 방지하는 접합 방법은?
- ① 기계적 접합
- ② 플랜지 접합
- ③ 빅토릭 접합
- ④ 소켓 접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6. 다음과 같이 25A× 25A× 25A의 티이에 20A관을 직접 A부에 연결하고자 할 때 필요한 이음쇠는 어느 것인가?

- ① 유니언
- ② 소켓
- ③ 부싱
- ④ 플러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공비 혼합냉매로서 R-12의 능력을 개선할 때 사용되는 냉매는?
- ① R-500
- ② R-501
- ③ R-502
- ④ R-50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다음과 같은 R-22 냉동장치의 P-h 선도에서의 이론 성적 계수는?

- ① 3.7
- ② 4
- ③ 4.7
- ④ 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전기량이 일정할 때 석출되는 물질의 양은 화학당량에 비례한다는 법칙은?
- ① 쥴의 법칙
- ② 패러데이의 법칙
- ③ 키르히호프의 법칙
- ④ 비오사바르의 법칙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정전용량 4[㎌]의 콘덴서에 2000[V]의 전압을 가할 때 축적되는 전하는 얼마인가?
- ① 8 × 10-1[C]
- ② 8 × 10-2[C]
- ③ 8 × 10-3[C]
- ④ 8 × 10-4[C]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1. 압축기 종류에 따른 정상적인 유압이 아닌 것은?
- ① 터보 = 정상저압 + 6㎏/cm2
- ② 입형저속 = 정상저압 + 0.5 ∼ 1.5㎏/cm2
- ③ 고속다기통 = 정상저압 + 1.5 ∼ 3㎏/cm2
- ④ 고속다기통 = 정상저압 + 6㎏/cm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전동기의 회전 방향과 관계있는 것은?
- ① 플레밍의 왼손 법칙
- ②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 ③ 헨쯔의 법칙
- ④ 페레데이의 법칙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3. 냉매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 ① R-12의 분자식은 CCl2F2 이다.
- ② NH3 냉매액(30℃)은 R-22 냉매액(30℃)보다 무겁다
- ③ 초저온 냉매로는 R-13이 적합하다.
- ④ 흡수식 냉동기의 냉매로는 물이 적합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30℃ 이하에서는 1단 압축할 경우 다음과 같은 좋지 않은 이유 때문에 2단 압축을 행한다. 이러한 좋지 않은 이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① 압축기 토출 증기의 온도 상승
- ② 압축비 상승
- ③ 압축기 체적효율 감소
- ④ 압축기 행정 체적의 증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5. 캐비테이션 방지책으로 잘못 서술하고 있는 것은?
- ① 단흡입을 양흡입으로 바꾼다.
- ② 손실 수두를 작게 한다.
- ③ 펌프의 설치 위치를 낮춘다.
- ④ 펌프 회전수를 빠르게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6. 공기가 노점온도보다 낮은 냉각코일을 통과 하였을 때의 상태를 기술한 것 중 틀린 것은?
- ① 상대습도 저하
- ② 절대습도 저하
- ③ 비체적 저하
- ④ 건구온도 저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과목 : 공기조화
47. 외기온도 -5℃일 때 공급공기를 18℃로 유지하는 히트펌프로 난방을 한다. 방의 총 열손실이 50000kcal/h 일 때의 외기로 부터 얻은 열량은 몇 kcal/h 인가?
- ① 43500
- ② 46047
- ③ 50000
- ④ 5325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공기조화 방식을 분류하면 중앙방식과 개별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중앙방식은 전공기방식, 공기- 수방식 및 수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공기-수방식이 아닌 것은?
- ① 각층 유닛방식
- ② 팬 코일 유닛방식(덕트병용)
- ③ 유인 유닛방식
- ④ 복사 냉난방 방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중앙 계기실에서 온수 또는 냉수를 파이프로 보내어 겨울에는 복사난방, 여름에는 복사냉방을 행하는 공기 조화방식은?
- ① 단일 덕트식
- ② 이중 덕트식
- ③ 판넬식
- ④ 이차 송풍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다음은 이중 닥트방식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 ① 중앙식 공조방식으로 운전 보수관리가 용이하다.
- ② 실내부하에 따라 각실 제어나 존(zone)별 제어가 가능하다.
- ③ 열매가 공기이므로 실온의 응답이 아주 빠르다.
- ④ 단일 닥트방식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이 적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온수난방과 비교한 증기난방의 장점 중 맞는 것은?
- ① 방열량의 제어가 쉽다
- ② 방열기의 배관의 칫수가 작다
- ③ 증기보일러의 취급이 용이하다
- ④ 스팀 햄머링의 문제가 없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상대습도 60%, 건구온도 25℃인 습공기의 수증기 분압은 얼마인가? (단, 25℃ 포화 수증기압력은 23.8mmHg이다)
- ① 14.28 mmHg
- ② 9.52 mmHg
- ③ 0.02kg/cm2
- ④ 0.013kg/cm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3. 덕트 취출의 최소 도달거리라는 것은 취출구에서 취출한 공기가 진행해서 취출기류의 중심선상의 풍속이 몇 m/s된 위치까지의 거리인가?
- ① 0.1
- ② 0.5
- ③ 1.0
- ④ 2.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공기 중의 냄새나 유해가스의 제거에 유효하게 사용되는 필터는?
- ① 초고성능 필터
- ② 자동식 로울 필터
- ③ 전기 집진기
- ④ 활성탄 필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5. 공기조화설비 중에서 열원장치의 구성 요소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
- ① 냉각탑
- ② 냉동기
- ③ 보일러
- ④ 덕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6. 보일러 안전장치의 하나인 연소안전장치는 자동보일러의 필수적인 부속기기이다. 그 사용목적이 아닌 것은?
- ① 버너점화시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 ② 연료가 미연소상태로 연소실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 ③ 보일러의 압력이나 온도가 일정치를 초과할 경우에 경보를 울린다.
- ④ 운전 중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보일러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경보를 발생시킨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7. 송풍기 상사법칙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① 압력은 회전수 변화의 3승에 비례한다.
- ② 동력은 회전수 변화의 5승에 비례한다.
- ③ 동력은 날개직경 변화의 2승에 비례한다.
- ④ 풍량은 날개직경 변화의 3승에 비례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8. 냉난방 부하 계산시 잠열을 계산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 ① 인체 발생열
- ② 커피포트 발생열
- ③ 태양 일사열
- ④ 틈새바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9. 혼합실(mixing chamber)을 이용하여 냉풍과 온풍을 자동 혼합하여 각 실내에 공급하는 공조방식은?
- ① 팬코일 유닛(fan coil unit) 방식
- ② 단일덕트(single duct) 방식
- ③ 재열(reheating) 방식
- ④ 2중덕트(double duct) 방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0. 다음 중 분지부분에 설치하여 분지덕트내의 풍량조정용으로 적당한 것은?
- ① 버터플라이 댐퍼
- ② 다익 댐퍼
- ③ 스플릿트 댐퍼
- ④ 방화 댐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