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2001. 4. 29.) 시험일자 : 2001년 4월 29일
1과목 : 공조냉동안전관리
1. 열 용량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① 어떤 물질 1㎏의 온도를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을 뜻한다.
- ② 어떤 물질의 온도를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을 뜻한다.
- ③ 물 1㎏의 온도를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을 뜻한다.
- ④ 물 1 1b의 온도를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을 뜻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보일러의 안전밸브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못한 것은?
- ① 안전밸브는 2개 이상 설치한다.
- ② 한 개는 최고 사용압력 이하에서 작동하게 한다.
- ③ 과열기용은 보일러용 나중에 작용하게 한다.
- ④ 과열기용은 설계온도 이상이 되지 않게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다음 전기 감전사고의 예방조치로서 적합하지 못한 것은?
- ① 전기설비의 점검철저
- ② 전기기기에 위험표시
- ③ 충전부와 수도관, 가스관 등과 이격
- ④ 설비의 필요 부분에는 보호접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다음 중 용량제어의 목적이 아닌 것은?
- ① 부하변동에 대응한 용량제어로 경제적인 운전을 한다.
- ② 경부하 가동으로 기동이 용이하게 기동시 전력을 크게 한다.
- ③ 고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다.
- ④ 압축기를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병원 건물의 공기조화시 가장 중요시 해야할 사항은?
- ① 공기의 청정도
- ② 공기 소음
- ③ 기류속도
- ④ 온도, 압력조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가스보일러의 점화시 주의사항 중 연소실 내의 용적 몇 배 이상의 공기로 충분한 사전 환기를 행해야 되는가?
- ① 2
- ② 4
- ③ 6
- ④ 8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공기조화 설비의 4대 구성요소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공기 조화기
- ② 열원장치
- ③ 자동제어장치
- ④ 공기 가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보호구를 선정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 중 틀린 것은?
- ① 작업에 적절한 보호구를 설정한다.
- ② 작업장에는 필요한 수량의 보호구를 비치한다.
- ③ 보호구는 방호 성능이 없어도 품질이 양호해야 한다.
- ④ 작업자에게 올바른 사용 방법을 빠짐없이 가르 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냉방시 공조기의 송풍량 계산과 관계있는 것은?
- ① 송풍기와 덕트로 부터 취득열량
- ② 외기부하
- ③ 펌프 및 배관부하
- ④ 재열부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2단 압축을 채용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 ① 냉동 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 ② 압축비가 2 이상일 때 채택
- ③ 압축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 ④ 체적 효율을 증가 시키기 위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다음 중 제빙용 냉동 장치의 증발기로서 적합한 것은?
- ① 탱크형 냉각기
- ② 암모니아 만액식 쉘 앤 튜브 냉각기
- ③ 건식 냉각기
- ④ 관 코일식 냉각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공정점이 -55℃이고 저온용 브라인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 ① 염화칼슘
- ② 염화나트륨
- ③ 염화마그네슘
- ④ 프로필렌글리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응축압력이 지나치게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틀린 것은?
- ① 송풍기를 on-off 시켜 풍량을 조절한다.
- ② 송풍기 출구에 댐퍼를 설치하여 풍량을 조절한다.
- ③ 수냉식일 경우 물의 공급을 증가시킨다.
- ④ 수냉식일 경우 물의 공급을 감소시킨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냉동용 압축기의 안전헤드(safety head)는?
- ① 액체 흡입으로 압축기가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 ② 워터자켓를 설치한 실린더 헤드(cylinder head)를 말한다.
- ③ 토출가스의 고압을 막아주므로 안전밸브를 따로 둘 필요가 없다.
- ④ 흡입압력의 저하를 방지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냉동기의 냉동능력이 24,000㎉/h, 압축일 5㎉/㎏, 응축열량이 35㎉/㎏일 경우 냉매 순환량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① 600㎏/h
- ② 800㎏/h
- ③ 700㎏/h
- ④ 4,000㎏/h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입형 암모니아 압축기의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 ① 탑 클리어런스가 1mm 정도이고 체적 효율이 좋다.
- ② 실린더를 일반적으로 물로 가열시켜 주기 위한 워터자켓을 설치한다.
- ③ 피스톤이 길어지게 되면 더블 드링크 타이프를 채용한다.
- ④ 회전수는 일반적으로 250∼400rpm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과목 : 냉동기계
17. 산소용기는 고압가스법에 어떤 색으로 표시하도록 되어있는가? (단, 일반용)
- ① 녹색
- ② 갈색
- ③ 청색
- ④ 황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다음 중 냉매의 물리적 조건이 아닌 것은?
- ① 상온에서 임계온도가 낮을 것(상온이하)
- ② 응고 온도가 낮을 것
- ③ 증발 잠열이 크고, 액체 비열이 작을 것
- ④ 누설 발견이 쉽고, 전열 작용이 양호할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암모니아 누설검지방법이 아닌 것은?
- ① 유황초 사용
- ② 리트머스 시험지 사용
- ③ 네슬러 시약 사용
- ④ 헤라이드 토치 사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추락이나 붕괴에 의한 재해방지를 위해 착용해야 할 보호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안전대
- ② 보안경
- ③ 안전모
- ④ 안전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1. 압축기의 압축비가 커지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겠는가?
- ① 압축비가 커지면 체적효율이 증가한다.
- ② 압축비가 커지면 체적효율이 저하한다.
- ③ 압축비가 커지면 소요동력이 작아진다.
- ④ 압축비와 체적효율은 아무런 관계가 없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2. 방열기의 입구온도 75℃, 출구온도 65℃, 실내(방)의 온도 20℃, 온수 순환량이 20ℓ/h일때 방열기의 방열량은 몇 Kcal/h인가?
- ① 200
- ② 400
- ③ 1400
- ④ 280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3. 만액식 냉각기에 있어서 냉매측의 열전달률을 좋게 하는 것이 아닌 것은?
- ① 관이 액 냉매에 접촉하거나 잠겨 있을 것
- ② 관 간격이 적을 것
- ③ 유가 존재하지 않을 것
- ④ 관경이 클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4. 1분간에 25℃ 의 순수한 물 40ℓ 를 5℃ 로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의 냉동능력은 몇 냉동톤 인가?
- ① 0.24[RT]
- ② 14.45[RT]
- ③ 241[RT]
- ④ 14458[RT]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다음 중 저속덕트 방식의 풍속은?
- ① 35 ∼ 43 ㎧
- ② 26 ∼ 30 ㎧
- ③ 16 ∼ 23 ㎧
- ④ 8 ∼ 12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냉동기의 이론 냉동사이클로 맞는 것은?
- ① 오토사이클
- ② 카르노사이클
- ③ 사바테사이클
- ④ 역카르노사이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다음 드릴 작업 중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 ① 작은 공작물 이라도 바이스나 크랩을 사용한다.
- ② 드릴이나 소켓을 척에서 해체시킬 때에는 해머를 사용한다.
- ③ 가공 중 드릴절삭 부분에 이상음이 들리면 드릴을 바꾼다.
- ④ 드릴의 착탈은 회전이 멈춘 후에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다음 방열기 도면 기호 중 상단 "25"는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

- ① 섹션수
- ② 높이
- ③ 형식
- ④ 유입관과 유출관의 관지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9. 오는 엘보우를 나사이음으로 표시한 것은?
- ①
- ②
- ③
-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덕트 내를 흐르는 풍량을 조절 또는 폐쇄하기 위해 쓰이는 댐퍼로써 특히 분기되는 곳에 설치하는 풍량 조절 댐퍼는?
- ① 루버댐퍼
- ② 볼륨댐퍼
- ③ 스플릿댐퍼
- ④ 방화댐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1초 동안에 75㎏·m 의 일을 할 경우 시간당 발생하는 열량은?
- ① 623 ㎉/hr
- ② 632 ㎉/hr
- ③ 643 ㎉/hr
- ④ 685 ㎉/hr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유로를 급속히 여닫이 할 때 쓰이는 밸브는?
- ① 글로우브 밸브
- ② 콕
- ③ 슬루우스 밸브
- ④ 체크 밸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다음 중 프로세스 제어에 속하는 것은?
- ① 전압
- ② 전류
- ③ 유량
- ④ 속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장시간 재실자에 대한 쾌감조건 중 가장 영향이 큰 것은?
- ① 실내건구온도
- ② 실내습구온도
- ③ 상대습도
- ④ 유효온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동관 굽힘가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굽힘부의 진원도가 다른 관에 비해 우수하다.
- ② 가열굽힘시 가열온도는 300 - 400℃로 한다.
- ③ 가공성이 다른 관에 비해 좋다.
- ④ 연질관은 핸드벤더를 사용하여 가공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6. 압축기 분해시, 다음 부품 중 제일 나중에 분해되는 것은?
- ① 실린더 커버
- ② 쎄프디 헤드 스프링
- ③ 피스톤
- ④ 토출 밸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냉동 장치 내의 불응축 가스가 체류하는 원인 중 틀린 것은?
- ① 냉동능력이 감소한다.
- ② 냉매 윤활유 등의 열분해에 의한 가스가 발생한다.
- ③ 장치를 분해, 조립하였을 때의 공기가 잔류한다.
- ④ 냉동 장치의 압력이 대기압 이하로 운전될 경우 저압부로부터 공기가 침입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보일러의 역화(back fire)의 원인이 아닌 것은?
- ① 점화시 착화를 빨리한 경우
- ② 점화시에 공기보다 연료를 먼저 노내에 공급하였을 경우
- ③ 노내의 미연소가스가 충만해 있을 때 점화하였을 경우
- ④ 연료 밸브를 급개하여 과다한 양을 노내에 공급하였을 경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우리나라 사람의 체감으로 약간 덥다고 느끼는 불쾌지수는?
- ① 65 이상
- ② 75 이상
- ③ 80 이상
- ④ 85 이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다음 보기와 같은 도시기호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 ① 슬로우스 밸브
- ② 글로우브 밸브
- ③ 다이어프램 밸브
- ④ 감압밸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1. 산소병 운반 취급상 가장 위험한 것은?
- ① 기름 묻은 손으로 운반한다.
- ② 산소병을 뉘어서 운반한다.
- ③ 캡을 씌어서 운반한다.
- ④ 손의 보호를 위해 장갑을 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보일러의 열 출력이 150000Kcal/h, 연료소비율이 20㎏/h이며 연료의 저위 발열량이 10000Kcal/㎏ 이라면 보일러의 효율은 얼마인가?
- ① 0.65
- ② 0.70
- ③ 0.75
- ④ 0.8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3. 냉매의 특성에 관한 다음 사항 중 옳은 것은?
- ① R - 12 는 암모니아에 비하여 유분리가 용이 하다.
- ② R - 12 는 암모니아 보다 냉동력(㎉/㎏)이 크다.
- ③ R - 22 는 R-12에 비하여 저온용에 부적당하다.
- ④ R - 22는 암모니아 가스 보다 무거우므로 가스의 유동 저항이 크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다음의 도표는 2단압축 냉동사이클을 모리엘 선도로서 표시한 것이다.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 ① 중간냉각기의 냉동효과 : ③ - ⑦
- ② 증발기의 냉동효과 : ② - ⑨
- ③ 팽창변 통과직후의 냉매위치 : ⑦ - ⑨
- ④ 응축기의 방출열량 : ⑧ - ②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5. 다음 냉동장치의 안전장치 중 전기적인 접점을 차단하는 것은?
- ① 안전변
- ② 파열판
- ③ 유압보호 스위치
- ④ 가용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6. 냉동장치의 계통도에서 팽창 밸브에 대하여 옳은 것은?
- ① 압축 증대장치로 압력을 높이고 냉각시킨다.
- ② 액봉이 쉽게 일어나고 있는 곳이다.
- ③ 고온도의 액이 저온도의 증발기로 흘러들어 가서 냉각시키려는 교축작용이다.
- ④ 플래쉬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곳이며 일명 냉각 장치라 부른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과목 : 공기조화
47. 다음 중 L(코일)만의 회로의 전압, 전류 벡터는?
- ①
- ②
- ③
-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습공기 선도에 없는 선은?
- ① 건구온도
- ② 엔탈피
- ③ 수증기 포화압력
- ④ 상대습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사고발생이 많이 일어나는 것부터 순서가 맞는 것은?
- ① 불안전한 상태→불안전한 행위→불가항력
- ② 불안전한 행위→ 불안전한 상태→ 불가항력
- ③ 불안전한 상태→ 불가항력→ 불안전한 행위
- ④ 불안전한 행위→ 불가항력→ 불안전한 상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개별 공조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 ① 국소적인 운전이 자유롭다.
- ② 성에너지가 된다.
- ③ 외기 냉방을 할 수 있다.
- ④ 취급이 간단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다음 중 팬코일 유닛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 ① 외기 송풍량을 크게 할 수 없다.
- ② 각실에 수배관을 해야한다.
- ③ 유닛별로 단독운전이 불가능하므로 개별 제어도 곤란하다.
- ④ 부분적인 팬코일 유닛만의 운전으로 에너지 소비가 적은 운전이 가능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다음 중 증발기에 대한 제상방식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① 전열제상
- ② 핫가스제상
- ③ 온수살포제상
- ④ 피복제 제거제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3. 가정용 백열전등의 점등 스위치는 어떤 스위치인가?
- ① 복귀형 스위치
- ② 검출 스위치
- ③ 리미트 스위치
- ④ 유지형 스위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다음 중 공구별 역할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 ① 펀치 : 목재나 금속을 자르거나 다듬는다.
- ② 니퍼 : 금속편을 물려서 잡고 구부리고 당긴다.
- ③ 스패너 : 볼트나 너트를 조이고 푸는데 사용한다.
- ④ 소켓렌치 : 금속이나 가스켓류 등에 구멍을 뚫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5. 팽창밸브 선정시 고려할 사항 중 관계 없는 것은?
- ① 응축기, 증발기 종류
- ② 냉동능력
- ③ 사용냉매 종류
- ④ 고저압의 압력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6. 냉방부하의 취득열량에는 현열부하와 잠열부하가 있다. 잠열부하를 포함하는 것은?
- ① 덕트로부터의 취득열량
- ② 인체로부터의 취득열량
- ③ 벽체의 전도에 의해 침입하는 열량
- ④ 일사에 의한 취득열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7. 다음 중 절수변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는?
- ① 냉각수 펌프로서 왕복동 펌프를 사용할 때
- ② 수압이 낮을 때
- ③ 부하변동에 대응하여 냉각수량을 제어할 때
- ④ 일반적인 대형 에어 컨디셔너에 사용할 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8. 수-공기방식인 팬코일유닛(Fan Coil Unit)방식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개별제어가 가능하다.
- ② 증설이 비교적 간단하다.
- ③ 전공기방식에 비해 반송동력이나 열의 반송을 위한 공간이 작아도 된다.
- ④ 팬코일유닛의 송풍기 압력이 높기 때문에 성능이 좋은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9. 다음은 동관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 ① 전기 및 열전도율이 좋다.
- ② 가볍고 가공이 용이하며 동파되지 않는다.
- ③ 산성에는 내식성이 강하고 알칼리성에는 심하게 침식된다.
- ④ 전연성이 풍부하고 마찰저항이 적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0. 압력 자동 급수 밸브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① 냉각수량을 감소시켜 토출가스의 온도 상승을 방지한다.
- ② 압축기 흡입압력의 증감에 따라 밸브 출구의 압력에 의해 작동된다.
- ③ 응축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 ④ 증발기의 과열도를 일정하게 해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