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토목기능사(2007. 7. 15.) 시험일자 : 2007년 7월 15일
1과목 : 철도 및 궤도일반
1. 자갈치기에 사용되는 원형 손체의 치수 (내경× 깊이)는?
- ① 430mm × 70mm
- ② 430mm × 65mm
- ③ 400mm × 70mm
- ④ 400mm × 65m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인력 줄맞춤 정정작업에 사용되는 곡선 정정법에 해당 되는 것은?
- ① 사장법
- ② 횡거법
- ③ 가공법
- ④ 측점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일반철도에서 나사스파이크를 박기위하여 침목에 구멍 뚫기 작업을 할 때 드릴의 직경과 천공깊이는 각각 몇mm를 기준으로 하는가?
- ① 직경 : 5mm, 천공 깊이 : 100mm
- ② 직경 : 20mm, 천공 깊이 : 150mm
- ③ 직경 : 8mm, 천공 깊이 : 100mm
- ④ 직경 : 16mm, 천공 깊이 : 110m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레일밀림이 궤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맞지 않는 것은?
- ① 레일 장출의 원인이 된다.
- ② 이음매 유간 틀림을 유발한다.
- ③ 침목의 간격을 균일하게 넓게 한다.
- ④ 포인트부에서는 전철기의 전환을 지장하여 열차탈선의 원인이 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인력에 의한 도상다지기 작업 중 맞지 않는 것은?
- ① 다지기는 1개의 침목에 대하여 8개소 다지기를 기본으로 한다.
- ② 작업인원은 3인 이상 통상 5인 협동 작업을 표준으로 한다.
- ③ 다지기는 레일 밑 위치에서 시작하고 또한 레일 밑 위치에서 끝낸다.
- ④ 좌우레일 밑을 모두 다질 때, 한쪽 레일씩을 다질 때라도 양측 레일면을 정정하기 전에 다진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레일유간 정리 작업에서 정리한 유간의 측정 위치로 옳은 것은?
- ① 직선인 때는 궤간외측 이음매판 위
- ② 곡선인 때는 내외측 레일 모두 곡선 내방 이음매판 위
- ③ 곡선인 때는 내외측 레일 모두 궤간 밖의 이음매판 위
- ④ 곡선인 때는 내외측 레일 궤간내 이음매판 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레일교환작업(정척/인력)의 준비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 ① 목침목 구간일 때에는 궤간 외측 침목면이 고르지 못한 것은 삭정하고 주약제를 칠해 둔다.
- ② 레일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궤도내측 도상면의 자갈을 침목면보다 높게 골라 놓는다.
- ③ 스파이크는 일단 뽑아 올렸다가 다시 박아둔다.
- ④ 이음매볼트는 일단풀었다 주유(注油)를 한 후 다시 채워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콩자갈 깔아채우기 작업시 채움량은 침하 1mm에 대하여 몇 cm3을 표준으로 하는가?
- ① 100cm3
- ② 200cm3
- ③ 300cm3
- ④ 400cm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1종 기계작업단의 편성장비에 해당 되지 않는 장비는?
- ① 밸러스크 클리너
- ② 멀티플 타이탬퍼
- ③ 밸러스트 콤팩터 또는 밸러스트 스태비라이저
- ④ 밸러스트 레귤레이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2급선의 경우 레일끝처짐 또는 끝닳음이 몇 mm를 초과하면 정정 작업을 시행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가?
- ① 2mm
- ② 3mm
- ③ 4mm
- ④ 5m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교량침목 교환작업은 맹유간 구간에서 어떤 작업을 한 후에 시행하여야 하는가?
- ① 팩킹고정
- ② 스파이크 박기
- ③ 유간정리
- ④ 침목위치 정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인력으로 10#분기기 교환작업을 시행하는 경우 신분기기를 밀어 넣기 위한 미끄럼레일의 설치 개소 수는?
- ① 6개소
- ② 5개소
- ③ 4개소
- ④ 3개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다음 중 선로상에 건식하는 건식표의 종류가 아닌 것은?
- ① 거리표
- ② 기울기표
- ③ 곡선표
- ④ 교량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곡선부레일에 작용하는 횡압력에 의한 경좌현상 방지를 위하여 레일 지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궤도재료는?
- ① 스파이크
- ② 조절블럭
- ③ 레일버팀쇠
- ④ 게이지 스트러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분기기 중 가장 일반적인 기본형으로 직선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적당한 각도로 분기하는 분기기는?
- ① 편개 분기기
- ② 내방 분기기
- ③ 탈선 분기기
- ④ 삼지 분기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레일의 체결을 강화하기 위하여 레일과 침목 사이에 삽입하는 철판으로 목침목의 수명 연장책으로 사용되는 것은?
- ① 타이플레이트
- ② 타이패드
- ③ 팬드롤 클립
- ④ RN식 체결장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건널목 경보제어구간의 길이가 1.2km이다. 열차의 속도가 90km/h일 때 경보시간(sec)은?
- ① 40
- ② 48
- ③ 98
- ④ 108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철도선로에서 궤간의 크기에 따른 협궤 철도의 장점은?
- ① 고속도를 낼 수 있다.
- ② 주행안전도가 커진다.
- ③ 곡선저항이 적다.
- ④ 수송능률이 향상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일반철도에서 곡선반경 600m 이하인 곡선 구간에 사용하는 슬랙공식으로 옳은 것은?(단, S=슬랙(mm), R=곡선반경(m), S' =조정치(0~15mm))
- ①
- ②
- ③
-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그림과 같은 정거장을 무엇이라 하는가?

- ① 반환식 정거장
- ② 절선식 정거장
- ③ 관통식 정거장
- ④ 두단식 정거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과목 : 측량학
21. 도상자갈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견질로서 충격과 마찰에 강할 것
- ② 불순물이 없어야하고 가격이 저렴할것
- ③ 입자 간의 마찰력이 적고 입자의 모서리가 없을 것
- ④ 동상 풍화에 강하고 잡초 육성을 방지할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2. 선로이용률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여객열차와 화물열차 회수비
- ② 역간 거리 및 운전시간의 장단에 따른 열차지연 정도
- ③ 계획 선로유지보수시간
- ④ 레일의 장대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3. 궤도의 3대 취약부가 아닌 것은?
- ① 경사부
- ② 이음매부
- ③ 분기부
- ④ 곡선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4. 선로 순회원이 순회 확인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담당 전구간의 본선로 및 건조물 이상유무
- ② 레일및 부속품의 훼손,이완,탈락 여부
- ③ 레일의 장출, 궤도의 침하등 돌발적인 변형상태 발생 여부
- ④ 분기부 및 급곡선부의 궤도틀림 검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궤도의 구비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열차의 충격과 하중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야한다.
- ② 보수작업이 용이하고 구성된 재료의 갱환이 간편하여야 한다.
- ③ 열차 하중을 노반에 광법위하고 균등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 ④ 차량의 동요, 진동이나 승차감에 관계없이 강도가 커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다음 중 선로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① 궤도
- ② 노반
- ③ 노반구조물
- ④ 승강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다음 뮤 측선의 방위각이 27° 36′ 50″라면 BA측선의 방위각은?

- ① 152° 23′ 10″
- ② 207° 36′ 50″
- ③ 242° 23′ 10″
- ④ 62° 23′ 5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수평각 관측방법 중에서 가장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는 것은?
- ① 조합각 관측법(각관측법)
- ② 배각법
- ③ 방향각법
- ④ 단측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9. 측선의 위거가 15m, 경거가 20m 일 때 이 측선의 길이는?
- ① 28m
- ② 25m
- ③ 15m
- ④ 13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50m의 줄자로 200m를 잰 경우 줄자에 의한 우연오차를 50m마다 ± 1cm로 가정하면 전길이의 거리 측량에 생기는 우연오차는 얼마인가?
- ① ± 2cm
- ② ± 3cm
- ③ ± 4cm
- ④ ± 5c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평판측량의 오차 중 앨리데이드 구조상 시준하는 선과 도사으이 방향선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오차는?
- ① 외심오차
- ② 시준오차
- ③ 편심오차
- ④ 방향 맞추기 오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축적 1:1200 도면에서 도상거리 30mm에 대한 실제거리는?
- ① 0.36m
- ② 3.60m
- ③ 36.00m
- ④ 360.00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다음 중 평판측량의 방법과 관계가 없는 것은?
- ① 전진법
- ② 방사법
- ③ 교회법
- ④ 등고선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수준측량의 성과 중에서 No.3 측점의 지반고는? (단, B.M. 의 지반고 =50.000m 이고, 단위는 m)

- ① 50.270m
- ② 50.000m
- ③ 51.820m
- ④ 58.720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선이 만나 이루는 각을 무엇이라 하는가?
- ① 방향각
- ② 복각
- ③ 배각
- ④ 교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6. 삼각측량의 작업순서가 옳은 것은?
- ① 선점 - 조표 - 관측 - 계산
- ② 조표 - 선점 - 관측 - 계산
- ③ 관측 - 조표 - 선점 - 계산
- ④ 선점 - 관측 - 조표 - 계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본선에 있어서 인접한 두곡선 간에는 캔드 체감 후에 직선을 삽입하여야 한다. 2급선 에 있어서 삽입하여야 할 직선 길이는 얼마이상으로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가?
- ① 180m 이상
- ② 100m 이상
- ③ 80m 이상
- ④ 60m 이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정거장외 본선상의 분기기 설치와 취급방법에 있어서 키볼트의 쇄정을 담당하는 자는?
- ① 담당역장
- ② 담담 선임시설 관리장
- ③ 담담 현업시설 관리자(신호제어)
- ④ 담당 시설팀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여객취급에 필요한 설비인 승강장,대합실 화장실 등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여객을 취급하는 정거장은?
- ① 역
- ② 간이역
- ③ 조차장
- ④ 신호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거리표는 km와 m표로 나눌 때 m표는 200m마다 설치한다. km표는 몇 km 마다, 선로 어느쪽에 건식하는 것을 표준으로 하는가?
- ① 1km마다 선로좌측
- ② 1km마다 선로우측
- ③ 2km마다 선로좌측
- ④ 2km마다 선로 우측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과목 : 선로보수
41. 측선 중에 교량에 교량침목을 부설할 때 침목을 10m당 몇 정 부설해야 하는가?
- ① 16
- ② 17
- ③ 18
- ④ 2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슬랙(slack)을 체감할 때 옳지 않은 사항은?
- ① 완화곡선이 있을 때는 완화곡선 전체의 길이에 걸쳐 체감한다.
- ② 완화곡선도 없고 캔트가 없는 경우에는 원곡선에서 체감한다.
- ③ 복심곡선 안의 경우에는 반경이 큰 곡선에서 슬랙의 차이를 체감한다.
- ④ 복심곡선 안의 경우 캔트이 체감 거리와 같게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3. 다음 사항 중 장대레일 부설 조건에 적합하지 않는 것은?
- ① 구배변화점에는 반경 300m 이상의 종곡선을 삽입한다.
- ② 반경 1500m 미만의 반향곡선은 연속해서 1개의 장대레일로 하지 않는다.
- ③ 불량 노반 개소에는 피하여야 한다.
- ④ 전장 20m 이상의 교량은 피하여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장대레일의 궤도 구조로 틀린 것은?
- ① 곡선상에 부설할 때에는 양쪽 신축 이음매의 위치는 가능한 곡선 시종점 부근의 직선상에 둔다.
- ② 침목의 도상종저항력은 500kgf/m 이상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 ③ 레일은 35kg 또는 45kg의 신품을 사용한다.
- ④ 도상은 깬자갈로 하고 도상저항력이 500kgf/m 이 되도록 도상폭 및 두께를 확보해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5. 2종 기계 작업단 편성장비의 이동 중 장비간의 거리는 얼마 이상을 확보하여야 하는 가?
- ① 10m 이상
- ② 50m 이상
- ③ 100m 이상
- ④ 200m 이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6. 교상 가드레일의 후렌지 웨이 간격은?
- ① 65mm에 슬랙을 가한 치수
- ② 80mm에 슬랙을 가한 치수
- ③ 150mm ~ 200mm
- ④ 200mm ~ 250m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7. 2급선 직선 구간의 시공기면 폭은 최소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3m
- ② 4m
- ③ 8m
- ④ 12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S-22 하중의 두 륜측 하중 사이(바퀴와 바퀴 사이)의 거리는?
- ① 2.2m
- ② 2.0m
- ③ 2.4m
- ④ 1.5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선로점검 종류 중 신설 또는 개량선로에 대한 열차운행에 안정성을 점검하는 것은?
- ① 열차진입 점검
- ② 신설 또는 개량선로의 점검
- ③ 건축한계 측정점검
- ④ 궤도재료 점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선로일람 약도 기호 중 맞지 않는 것은?
- ① 완화곡선 있는 곡선
- ② 복선
- ③ 전차대
- ④ 육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궤도정비기준으로 줄맞춤은 본선의 경우에 레일길이 10m에 대하여 얼마까지 허용하는 가?
- ① 4mm
- ② 2mm
- ③ 7mm
- ④ 5m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중고품 보통 레일을 적치하는 경우 단면에 도색하는 색상은?
- ① 적색
- ② 녹색
- ③ 황색
- ④ 청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3. 일반철도의 선로점검작업을 궤도재료 점검과 궤도보수 점검으로 구분할 때 궤도보수 점검에 속하는 것은?
- ① 레일 점검
- ② 노반 점검
- ③ 도상 점검
- ④ 분기기 점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선로점검지침에 의한 일반철도 선로구조물의 점검 종류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 ① 정기점검
- ② 정밀점검
- ③ 일반점검
- ④ 특별점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5. 엔크로즈드 아크 용접법으로 레일 끝닳음 용접을 하였다. 후열처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① 600 ~ 700℃로 20분을 표준으로 후 열처리 한다.
- ② 후열처리의 법위는 용접부 끝에서 50mm 이하로 한다.
- ③ 후열처리를 한 후 급냉하여야 한다.
- ④ 예열작업이 충분하면 필요 없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6. 인력점검을 시행하는 경우 줄맞춤 점검에 쓰이는 실 길이는 직선부에서 얼마를 기준으로 하는가?
- ① 2mm
- ② 3mm
- ③ 10mm
- ④ 20m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7. 침목의 간격과 궤도에 대한 직각은 틀림이 없도록 유지하여야 한다. 1,2급선 본선에 있어서의 정정을 하지 않아도 될 간격틀림과 직각틀림의 보수한도는 각각 얼마인가?
- ① 간격틀림 40mm, 직각틀림 50mm
- ② 간격틀림 50mm, 직각틀림 40mm
- ③ 간격틀림 40mm, 직각틀림 40mm
- ④ 간격틀림 50mm, 직각틀림 50m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8. 선로작업표를 400m 밖에서 식별이 가능할 때 100km/h 미만의 선구에서는 몇 m 이상의 거리에 세워야 하는가?
- ① 열차에 대항으로 100m
- ② 열차에 배향으로 100m
- ③ 열차에 대향으로 200m
- ④ 열차에 배향으로 200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9. 다음 중 패킹의 종류가 아닌 것은?
- ① 세로패킹
- ② 가로패킹
- ③ 건너패킹
- ④ 경사패킹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0. 크로싱의 노스레일과 가드레일의 후렌지 웨이간의 간격을 말하며 노스레일 선단의 원호부와 답면의 접점에서 측정하는 것은?
- ① 분기거리
- ② 크로싱게이지
- ③ 노스게이지
- ④ 백게이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