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산업기사(2019. 3. 3.) 시험일자 : 2019년 3월 3일
1과목 : 조림학
1. 1.2ha의 임야에 4m×2m의 장방형으로 식재할 때 필요한 묘목 수는?
- ① 500본
- ② 1500본
- ③ 2000본
- ④ 2500본
Sam2025. 1. 28. 17:24삭제
1.2ha = 12,000m2
12,000/4*2
2. 간벌의 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산림관리 비용을 크게 줄인다.
- ② 임분의 수직구조 및 안정화를 도모한다.
- ③ 직경생장을 촉진하여 연륜폭이 넓어진다.
- ④ 우량한 개체를 남겨서 임분의 유전적 형질을 향상시킨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수목에서 카스페리안 대(casparian strip)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내피에서 양료의 자유 이동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 ② 무기염의 비선택적 흡수에 관여하는 조직이다.
- ③ 뿌리의 삼투암에 관여하여 뿌리의 수분흡수에 결정적으로 관여하는 조직이다.
- ④ 내피에서 자유공간을 없애 무기염이 더 이상 자유롭게 뿌리 속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막아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자웅이주에 해당하지 않는 수종은?
- ① Ginkgo biloba
- ② Taxus cuspidata
- ③ Ailanthus altissima
- ④ Cryptomeria japonica
Sam2025. 1. 31. 15:05삭제
은행나무
주목
가죽나무
삼나무
조2023. 7. 8. 06:46삭제
삼나무
5. 풀베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줄베기는 모두베기에 비하여 많은 인력이 소요된다.
- ② 보통 5~7월 중에 실시하며 연 2회 실시할 경우 8월에 추가로 실시한다.
- ③ 한해 및 풍해의 위험성이 있는 지역에서는 9월 이후에 풀베기를 실시한다.
- ④ 삼나무, 편백 등의 조림지에서는 묘목의 보호를 위하여 풀베기 작업을 실시하지 않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다음 중 그늘에서 가장 잘 견디는 수종은?
- ① 향나무
- ② 자작나무
- ③ 사철나무
- ④ 버드나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잎의 가공에서 이뤄지는 개폐기작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무기원소는?
- ① 인산
- ② 칼슘
- ③ 칼륨
- ④ 질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조림지 준비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산불 위험을 줄일 수 있다.
- ② 식재된 묘목과 경쟁식생의 경합을 완화시킬 수 있다.
- ③ 벌채 잔해물을 제거하여 식재 작업 조건을 개선할 수 있다.
- ④ 하층목의 밀도를 조절하여 식재된 묘목의 초기 활착과 생장을 개선할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주로 종자로 인하여 숲이 형성되어 주로 용재 생산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 ① 죽림
- ② 왜림
- ③ 교림
- ④ 중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우량 묘목의 조건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① T/R율의 값이 큰 것
- ② 줄기가 곧으며 도장된 것
- ③ 근계 중에 주근이 길고 곧고 세근이 적은 것
- ④ 묘목의 가지가 균형 있게 뻗고 정아가 완전한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갱신작업은?

- ① 산벌작업
- ② 중림작업
- ③ 택벌작업
- ④ 모수작업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구상개벌작업에서 한 벌채구역의 일반적인 크기는?
- ① 0.03~0.1ha
- ② 0.3~1.0ha
- ③ 1.0~3.0ha
- ④ 3.0~5.0ha
Sam2025. 1. 31. 15:13삭제
군상개벌법: 대상임지의 기복이 심하거나 임상이 불규칙할 경우 임분내 수개의 군상개벌면을 정하고 주위의 모수림으로부터 하종을 갱신하는 방법이다.
보통 군상지의 크기는 0.03~0.1ha가 적당하며 모양은 상관없다.
갱신기간은 보통 4~5년 간격을 두고 다음 갱신지를 확대해 나간다.
벌목 및 반출시 치수 손상을 입을 수 있다.
한오석2020. 8. 4. 21:06삭제
군상개벌작업
13. 종자가 일반적으로 11월경에 성숙하는 수종은?
- ① 버드나무
- ② 동백나무
- ③ 비술나무
- ④ 소사나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곰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잎은 두 개씩 모여서 난다.
- ② 바다의 바람을 이겨내는 힘이 강하다.
- ③ 소나무에 비해 실생묘의 양성이 어렵다.
- ④ 직사광선을 받는 곳에서 생장이 왕성하다.
Sam2025. 1. 31. 15:14삭제
곰솔 = 해송
15. 파종하기 1개월 전에 노천매장을 하면 발아에 유리한 수종으로만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 ① 삼나무, 소나무
- ② 피나무, 층층나무
- ③ 벚나무, 물푸레나무
- ④ 들메나무, 단풍나무
Sam2025. 1. 31. 15:17삭제
토양동결이 풀린 후 파종 1개월전(3월 중순) 매장
소나무, 해송, 낙엽송, 가문비나무, 전나무, 리기다소나무, 방크스소나무, 삼나무, 편백 등의 침엽수종
16. 질소 결핍으로 인한 주요 증상으로 옳은 것은?
- ① 잎에 검은 반점이 나타난다.
- ② 성숙한 잎에 황화현상이 나타난다.
- ③ 절간생장이 억제되고 잎이 작아진다.
- ④ 새로 생장한 부분의 발육이 매우 불량하고 백화현상이 나타난다.
Sam2025. 1. 31. 15:25삭제
3번도 맞는거 같은데 아닌가????
17. 종자를 탈각할 때 부숙 마찰법이 가장 적합한 수종은?
- ① 주목
- ② 옻나무
- ③ 오리나무
- ④ 아까시나무
Sam2025. 1. 31. 15:28삭제
부숙마찰법: 부숙시킨 이후 마찰을 하여 과피를 분리
대표 수종으로는 은행나무, 벚나무, 비자나무, 가래나무, 주목, 호두나무 등
18. 어린나무 가꾸기나 천연림 보육작업 등의 잡목 솎아내기 작업이 끝난 후부터 최종 수확때까지 숲을 가꾸는 작업은?
- ① 간벌
- ② 제벌
- ③ 덩굴제거
- ④ 가지치기
Sam2025. 1. 31. 15:32삭제
간벌(솎아베기)
*어린나무 가꾸기 종료 시점에서 5년이 지나고 최종수확 10년전까지의 산림에 적용한다.
*나무의 밀도가 너무 높고 병충해 및 산사태 등의 피해 발생이 우려되는 산림에 적용한다.
*대형 산불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산림에 적용한다.
*부적합한 나무를 제거하고 형질이 우수한 임분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임분의 수직구조를 개선하여 임분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19. 토양에서 탄질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토양 비옥도를 판정하는 기준이 된다.
- ② 낙엽층의 탄진률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진다.
- ③ 토양과 식물체 등에 포함된 유기탄소와 총 질소의 함유 비율이다.
- ④ 분해가 매우 잘된 산림토양 표토층의 탄진률은 12~13 정도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인공조림과 비교할 때 천연갱신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수종 선정의 잘못으로 인한 실패의 염려가 적다.
- ② 임지가 나출되는 일이 드물며 지력 유지에 적합하다.
- ③ 해당 임지의 기후와 토질에 가장 적합한 수종으로 갱신된다.
- ④ 전문적인 육림기술이 필요 없고 향후 벌목과 운재 작업이 용이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과목 : 산림보호학
21. 토양을 소독하면 방제 효과가 가장 높은 수목병은?
- ① 잎떨림병
- ② 빗자루병
- ③ 모잘록병
- ④ 줄기마름병
Sam2025. 1. 31. 15:44삭제
모잘록병: 병원균은 토양에서 월동하며 이후 토양에 의해 전반된다.묘상의 배수를 양호하게 한다.
질소비료는 과용하지 않는다. 병든 묘목은 소각
윤작하고 밀식을 피한다. 토양을 소독한다.
22. 고형 약제 중에서 입경의 크기가 가장 큰 것은?
- ① 분제
- ② 입제
- ③ 미립제
- ④ 세립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3. 모잘록병 예방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 ① 햇볕을 막아 그늘지게 한다.
- ② 질소질 비료를 충분하게 준다.
- ③ 파종량을 적게 하고 복토를 두껍게 한다.
- ④ 배수와 통풍이 잘 되고 과습하지 않도록 한다.
Sam2025. 1. 31. 17:07삭제
모잘록병: 병원균은 토양에서 월동하며 이후 토양에 의해 전반된다.묘상의 배수를 양호하게 한다.
질소비료는 과용하지 않는다. 병든 묘목은 소각
윤작하고 밀식을 피한다. 토양을 소독한다.
24. 소나무 재선충병 진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피해목은 수지(송진)의 분비가 감소한다.
- ② 묵은 잎과 새잎이 아래로 처지며 시든 현상이 나타난다.
- ③ 수지 분비 상태를 이용한 피해목 식별은 겨울철에 확인한다.
- ④ 목편에서 선충을 분리 후 분자생물학적 진단기술로 동정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솔잎혹파리 방제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나무주사 약제는?
- ① 메탐소듐
- ② 석회유황합제
- ③ 아세타미프리드
- ④ 옥시테트라사이클린
Sam2025. 1. 31. 17:11삭제
포스팜액제와 아세타미프리드 액제를 이용
26.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활엽수의 병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PAN:엽백 사이 조직의 황화현상 및 잎의 비대화
- ② 아황산가스:잎의 끝 부분과 엽맥 사이 조직의 괴사
- ③ 질소산화물:초기에 흩어진 회녹색 반점이 생가다가 잎의 가장자리 조직 괴사
- ④ 오존:잎 표면에 주근깨 같은 반점이 형성되고 반점이 합쳐져 표면의 백색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볕데기로 인한 피해가 가장 적은 수종은?
- ① 오동나무
- ② 호두나무
- ③ 상수리나무
- ④ 가문비나무
Sam2025. 1. 31. 19:05삭제
코르크층이 두꺼운 참나무 수종은 다른 나무에 비해
볕데기에 강하다
28. 생물적 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 선택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단식성이어야 한다.
- ② 소량으로 증식해야 한다.
- ③ 천적에 기생하는 곤충이 없어야 한다.
- ④ 해충의 출현과 천적의 생활사가 잘 일치해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9. 솔잎혹파리가 우화하는 최성기는?
- ① 4월 상순
- ② 6월 상순
- ③ 8월 상순
- ④ 10월 상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목질부를 가해하는 천공성 해충이 아닌 것은?
- ① 선녀벌레
- ② 소나무좀
- ③ 버들바구미
- ④ 촉백하늘소
Sam2025. 1. 31. 19:10삭제
~좀, ~하늘소, 바구미, 박쥐나방
31. 외국에서 유입된 해충이 아닌 것은?
- ① 솔나방
- ② 솔잎혹파리
- ③ 아까시잎혹파리
- ④ 버즘나무방패벌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제5령 충으로 월동을 하여 이듬해 4월경부터 잎을 갉아먹는 해충은?
- ① 솔나방
- ② 천막벌레나방
- ③ 어스렝이나방
- ④ 복숭아심식나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미국흰불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번데기로 월동한다.
- ② 1년에 2회 이상 발생한다.
- ③ 약 50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 ④ 1화기 성충 발생 기간은 5월~6월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수목병과 중간기주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 ① 소나무 혹병-황벽나무
- ② 잣나무 털녹병-송이풀
- ③ 포플러 잎녹병-일본잎갈나무
- ④ 배나무 붉은별무늬병-향나무
Sam2025. 2. 1. 16:16삭제
소나무혹병의 중간기주는 참나무
잣나무털녹병 - 송이풀, 까치밥나무
포플러잎녹병 - 낙엽송, 현호색, 줄꽃주머니
35. 곤충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겹눈과 홑눈이 있다.
- ② 다리는 보통 3쌍이고 5마디로 되어 있다.
- ③ 몸은 머리, 가슴, 배 3부분으로 구분된다.
- ④ 배에 마디가 없고 더듬이는 1쌍이 있다.
Sam2025. 2. 1. 16:18삭제
배에는 10개 내외의 마디가 있다.
36.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을 주입하여 방제하는 수목병은?
- ① 잣나무 털녹병
- ② 포플러 모자이크병
- ③ 밤나무 근두암종병
- ④ 오동나무 빗자루병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난균류에 의해 발생하는 수목병이 아닌 것은?
- ① 역병
- ② 탄저병
- ③ 모잘록병
- ④ 뿌리썩음병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오리나무 갈색무늬병 방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종자를 소독한다.
- ② 매개충을 구제한다.
- ③ 연작을 하지 않는다.
- ④ 떨어진 병든 잎을 모아 소각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대추나무 빗자루병의 전반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 ① 종자에 의한 전반
- ② 토양에 의한 전반
- ③ 공기에 의한 전반
- ④ 분주에 의한 전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산불이 토양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토양이 척박해진다.
- ②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을 악화시킨다.
- ③ 낙엽이 탄 결과로 토양의 투수성이 감소된다.
- ④ 지표의 보호물이 사라져 지표유하수가 감소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과목 : 임업경영학
41. 다음 ()안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 ① 생장
- ② 유동자본
- ③ 고정자본
- ④ 임목축척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임업순수익을 계산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 ① 조수익-임업경영비
- ② 임업소득-임업경영비
- ③ 조수익-임업경영비-가족임금추정액
- ④ 임업소득-임업경영비-가족임금추정액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3. 산림면적이 800ha이고, 윤벌기가 40년이며 1영급이 10개의 영계로 구성된 산림의 법정 영급면적은?
- ① 100ha
- ② 200ha
- ③ 300ha
- ④ 400ha
Sam2025. 2. 1. 16:45삭제
법정영급면적= (산림면적/벌기령) X 영계수
(800/40)X10 = 200
44. 법정상태의 요건이 아닌 것은?
- ① 법정생장량
- ② 법정벌기령
- ③ 법정영급분배
- ④ 법정임분배치
Sam2025. 2. 1. 16:47삭제
법정상태: 법정영급분배, 법정임분배치, 법정생장량, 법정축적
45. 재적 수확의 보속을 실현할 수 있는 내용과 조건을 구비한 산림은?
- ① 보호림
- ② 보안림
- ③ 법정림
- ④ 천연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6. 임업경영의 지도원칙 중에서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원칙은?
- ① 경제성 원칙
- ② 수익성의 원칙
- ③ 생산성의 원칙
- ④ 보속성의 원칙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7. 연이율이 16%일 때 매년 말에 200만원의 이자를 영구히 얻기 위한 자본가는 얼마인가?
- ① 32만원
- ② 320만원
- ③ 1150만원
- ④ 1250만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임분재적 측정방법인 표준목법의 종류 중 모든 임분을 1개의 급으로 취급하여 단 1개의 표준목을 선정하는 방법은?
- ① 단급법
- ② Urich법
- ③ Haetig법
- ④ Draudt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이령림의 어떤 임분에서 5년생이 60본이고, 10년생이 40본일 경우 본수령은?
- ① 5년
- ② 6년
- ③ 7년
- ④ 8년
Sam2025. 2. 1. 17:02삭제
(5X60 + 10X40)/(60 + 40)
50. 감가상각액의 계산법 중 직선법이라고도 하며 가장 간단하고 보편적인 방법은?
- ① 정액법
- ② 정률법
- ③ 연수합계법
- ④ 생산량비례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N=V*1.0Pn식에서 1.0Pn은 무엇인가? (단, N=합계액, V=원금, P=연이율, n=연수)
- ① 연금계수
- ② 현가계수
- ③ 전가계수
- ④ 후가계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산림경영계획을 위한 산림구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임밤의 면적은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100ha 내외로 구획한다.
- ② 동일한 임반 내에서 임종, 임상 및 영급이 상이할 경우에는 소반으로 구획한다.
- ③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소유하고 있는 공유림별로 산림경영계획을 10년 단위로 수립한다.
- ④ 소반은 필요에 의해 구획을 변경할 수 있으며, 소반번호는 가, 나, 다 등의 일련번호를 붙인다.
Sam2025. 2. 1. 17:18삭제
소반번호 부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임반 번호와 같은 방향으로 1-1-1, 1-1-2, 1-1-3 등 연속적으로 부여한다
보조소반의 경우에는 연접된 소반의 번호에 1-1-1-1, 1-1-1-2, 1-1-1-3 등으로 표기한다
53. 벌채목의 실적계수 크기에 관계없는 인자는?
- ① 수종
- ② 통나무의 형상
- ③ 통나무의 크기
- ④ 통나무의 임목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임업투자사업에서 감응도 분석 대상으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이 아닌 것은?
- ① 생산량
- ② 감가상각비
- ③ 사업기간의 지연
- ④ 생산물의 가격 및 노임 등의 가격요인
Sam2025. 2. 1. 17:41삭제
감응도 분석의 고려 대상은
생산량, 사업기간 지연, 생산물 가격, 노임, 자재비용(원료재 및 원자재)등이 있다.
55. 산림의 가격 평가방법이 아닌 것은?
- ① 지대가법
- ② 기망가법
- ③ 비용가법
- ④ 매매가법
Sam2025. 2. 1. 17:52삭제
생육하고 있는 임목(입목)의 가격을 평가하는 것으로 임목의 평가방법은 원가방식(원가법, 비용가법), 수익방식(기망가법, 수익환원법), 원가수익절충방식(임지기망가법응용법, Glaser법), 비교방식(매매가법, 시장가역산법)으로 나눌 수 있다.
56. 임업노동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단위 면적당 노동량이 다른 산업 노동에 비해 비교적 많다.
- ② 작업 장소가 넓고 험하기 때문에 감독과 자재 수송이 곤란하다.
- ③ 조림 및 육림, 벌채, 반출 노동은 작업자의 특수한 훈련이 필요하다.
- ④ 임업노동을 위한 이동 시간이 길기 때문에 실제 작업량은 많지 않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7. 수확을 위한 벌채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골라베기 비율은 재적기준 30% 이내로 한다.
- ② 모수 작업 시 모수는 1ha당 15~20본을 존치시킨다.
- ③ 왜림작업 시 벌채 절단면이 북향으로 약간 기울게 한다.
- ④ 골라베기 작업 시 표고 재배용 나무는 재적기준 50% 이내로 할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8. 임업원가관리에 있어 특수한 의사결정을 위한 원가 유형의 분류가 아닌 것은?
- ① 기회원가
- ② 직접원가
- ③ 한계원가
- ④ 현금지출원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9. 산림 평가방법인 임지기망가법과 수익환원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두 방법 모두 일제림을 전제로 하는 임지의 평가방법이다.
- ② 수익환원법은 택벌림과 같이 연년수입이 있는 경우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 ③ 임지기망가는 임지에서 장래에 기대되는 순수익의 미래가(후가) 합계로 정한 가격이다.
- ④ 임지기방가법에 의하여 산출된 지가는 임업경영을 위한 임지를 매입할 때 지분할 수 있는 최저 한도액을 의미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0. 임목재적 계산식 에서 d가 흉고직경일 경우 은 무엇인가?
- ① 임목재적
- ② 통나무재적
- ③ 흉고단면적
- ④ 흉고직경합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과목 : 산림공학
61. 임도에서 배향곡선지가 아닌 경우 유효너비 기준은?
- ① 1.7m
- ② 2.0m
- ③ 2.5m
- ④ 3.0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2. 가선집재와 비교한 트랙터집재의 특징이 아닌 것은?
- ① 기동성이 높다.
- ② 작업이 단순하다.
- ③ 운전이 용이하다.
- ④ 고속이므로 장거리 운반에 바람직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3. 비탈면 안정을 위한 침식방지제 사용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보온 효과
- ② 객토의 유출 방지
- ③ 토양 수분의 증발 촉진
- ④ 종자 및 비료 유실 방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4. 산지사방에서 녹화공사에 해당하는 것은?
- ① 골막이
- ② 누구막이
- ③ 산복수로공
- ④ 선떼붙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5. 임도의 옆도랑(측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물이 임도를 횡단하여야 할 개소에 시설한 수로
- ② 노면의 물을 집수정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시설한 수로
- ③ 차량을 돌릴 수 있도록 시설한 장소의 횡단상의 수로
- ④ 일정한 간격으로 차량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횡단상의 수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6. 사면붕괴의 전조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용수가 맑아짐
- ② 용출현상이 생김
- ③ 사면에 균열이 생김
- ④ 작은 돌이 사면에서 떨어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7. 적정임도간격이 1km인 경우의 적정임도밀도는? (단, 우회율을 고려하지 않음)
- ① 5m/ha
- ② 10m/ha
- ③ 15m/ha
- ④ 20m/ha
Sam2025. 2. 1. 18:19삭제
임도간격RS(m)= 10000/적정임도밀도ORD(m/ha)
1000=10000/ORD
ORD=10
68. 와이어로프 사용 금지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꼬임상태(킹크)인 것
- ② 와이어로프에 벌목된 나무의 껍질이 걸린 것
- ③ 와이어로프 소선이 10분의 1 이상 절단된 것
- ④ 마모에 의한 직경 감소가 공칭직경의 7%를 초과하는 것
Sam2025. 2. 1. 18:35삭제
추가
이음매가 있는것
심하게 변형되거나 부식된 것
열과 전기 충격에 의한 손상된 것
69. 엄격한 규격 치수가 아닌 대략적 수치에 의해 깨내어 만든 석재는?
- ① 막깬돌
- ② 마름돌
- ③ 견치돌
- ④ 호박돌
Sam2025. 2. 1. 18:40삭제
마름돌: 일정한 치수의 크기로 자른 돌
견치돌: 피라미드형의 석축용 돌을 말하며, 돌을 뜰 때 전면, 뒷면, 돌길이, 접촉부 사이의 치수를 특별한 규격을 두어 깬 석재를 말한다. 견치돌의 크기는 전면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뒷길이는 1.5배 이상, 접촉부의 나비는 1/5 이상, 뒷면은 1/3 정도의 크기로 해야 한다.
호박돌: 호박처럼 둥근 자연 석재로 강도가 요구되지 않는 비탈면에 사용된다.
70. 다음 그림은 흐르는 물의 단면을 그림 것이다. 흐르는 속도가 가장 빠른 부분은?

- ① 가
- ② 나
- ③ 다
- ④ 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1. 사방댐에서 일반적으로 방수로의 단면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형상은?
- ① 활꼴
- ② 직사각형
- ③ 정삼각형
- ④ 사다리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2. 임도의 기능이 아닌 것은?
- ① 이동기능
- ② 접근기능
- ③ 생산기능
- ④ 공간기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3. 임도 설계에서 단곡선을 설치할 때 교각이 90°, 외선장이 15m인 경우 곡선반지름은?
- ① 36.2m
- ② 44.1m
- ③ 46.2m
- ④ 54.1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4. 찰쌓기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뒷채움 없이 시공한다.
- ② 돌과 시멘트를 섞어서 쌓는다.
- ③ 돌을 쌓고 돌 이음 부분의 외부에만 시멘트를 바른다.
- ④ 돌을 쌓는 뒷부분에 콘크리트로 뒷채움을 하고 줄눈에 모르타르를 사용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5. 평균강우량을 계산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 ① 티센법
- ② 침투형법
- ③ 등우선법
- ④ 산출평균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6. 임도의 절토 경사면이 토사지역일 때 기울기 기준으로 옳은 것은?
- ① 1:0.3~0.8
- ② 1:0.5~1.2
- ③ 1:0.8~1.5
- ④ 1:1.2~2.0
Sam2025. 2. 1. 19:05삭제
토사지역은 무르기때문에 절토 경사면이 완만해야함
암석지는 경사가 조금 급함
1번은 경암 2번은 연암 3번은 토사
77. 머캐덤롤러에서 롤러는 몇 개로 구성되어 있는가?
- ① 1개
- ② 2개
- ③ 3개
- ④ 4개
Sam2025. 2. 1. 19:07삭제
머캐덤 롤러 (macadam roller)
3륜형의 롤러로, 큰 후륜하중이 있어 골재의 맞물림에 의한 다짐효과가 큰 장비입니다.
보통 1차 전압 시 사용되는 장비이지만 보조기층의 마무리전압 시에도 사용됩니다.
78. 아래 나열된 장비의 용도로 옳은 것은?

- ① 양묘용
- ② 조림용
- ③ 육림용
- ④ 산림보호용
Sam2025. 2. 1. 19:30삭제
양묘
씨앗을 뿌려 싹이 나게 하거나, 접목 또는 조직 배양을 하여 새로운 개체를 만든 뒤 그것을 크게 자라도록 기름.
조림은 나무나 다른 식생이 없는 나지에 나무를 심는 것을 말한다. 많은 정부와 비정부기구는 숲을 복원하고 이산화탄소의 포집과 제거를 위해 숲을 복원하는 데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육림:
1) 숲을 가꾸어 키우는 일로 무육이라 하기도 한다. 2) 넓은 의미로는 나무심기, 어린 나무 가꾸기, 움돋이 가꾸기, 풀베기, 가지치기, 제벌, 덩굴치기, 시비, 간벌, 병충해 방제 등 숲가꾸기를 위한 모든 작업을 뜻하고, 3) 좁은 의미로는 나무심기 등 조림작업을 제외한 순수한 임목보육을 위한 작업을 뜻한다.
79. 사리도의 유지보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횡단기울기는 5~6% 정도로 한다.
- ② 제초 작업은 1년에 1회 이상 실시한다.
- ③ 노면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정지작업을 실시한다.
- ④ 방진처리를 위해 물, 염화칼슘 및 타르 등이 사용된다.
Sam2025. 2. 1. 19:09삭제
사리도의 유지보수는 횡단물매를 조절하여 노면 배수를 양호하게 하고, 방진처리를 하는 등의 작업을 포함합니다.
사리도의 유지보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횡단물매를 10~15% 정도로 조절하여 노면 배수를 양호하게 합니다.
비가 온 후 습윤한 상태에서 노면의 정지작업을 실시합니다.
물, 염화칼슘, 폐유, 타르, 아스팔트 유제 등을 사용하여 방진처리를 합니다.
길어깨가 높아져 배수가 불량할 경우 그레이더로 정형하고 롤러로 다집니다.
사리도는 자갈길로 시공된 임도의 노면을 말합니다
80. 측점간격이 20m이고, 측점 0의 단면적이 2m2, 측점 1의 단면적이 4m2일 때 이 두 측점간의 토적량은?
- ① 60m3
- ② 80m3
- ③ 100m3
- ④ 120m3
Sam2025. 2. 1. 19:13삭제
양단면평균법
{(4+2)/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