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산업기사(2018. 3. 4.) 시험일자 : 2018년 3월 4일
1과목 : 조림학
1. 묘목간 거리를 4m×4m로 2ha 조림하려 할 때 필요한 묘목수량은?
- ① 약 1,250본
- ② 약 2,500본
- ③ 약 12,500본
- ④ 약 25,000본
Sam2025. 2. 11. 11:32삭제
2ha = 20,000m^2
20,000 / 16 = 1,250
2. 한 임분을 구성하고 있는 임목 중 성숙한 임목만을 선별·벌채하는 갱신 방법은?
- ① 택벌작업
- ② 산벌작업
- ③ 모수작업
- ④ 중림작업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잣나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뿌리는 심근성이다.
- ② 잎은 5개가 모여난다.
- ③ 천연갱신이 대체로 잘되는 편이다.
- ④ 고산지대 및 한랭한 기후에서 잘 자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수목의 가지치기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늦은 겨울이나 이른 봄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 ② 가지의 지피융기선을 다치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 ③ 죽은 가지도 잘라주어 유합조직의 형성을 도와준다.
- ④ 절단면이 마르면 줄기 쪽으로 다시 한 번 잘라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도태간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간벌양식으로 볼 때 하층간벌에 해당된다.
- ② 현재의 가장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여 남기는 것이다.
- ③ 미래목 생장에 방해되지 않는 중층목과 하층목의 대부분은 존치힌다.
- ④ 하층식생에 일시적으로 큰 수광량을 주어 복층구조를 유도하는 데는 좋다.
Sam2025. 2. 11. 12:01삭제
도태간벌
상층간벌에 속함, 우수한 나무를 선발하여 생장을 촉진 시킨다.
미래목 선정후 미래목을 기준으로 간벌 시행
미래목의 생장에 방해되는 피해목, 불량목, 폭목등을 간벌한다
하층임관을 보호하는 보호목들은 벌목하지 않는다.
6. 수목이 필요로 하는 무기양분 중에서 미량원소에 속하는 무기양분은?
- ① 인
- ② 철
- ③ 황
- ④ 칼슘
Sam2025. 2. 11. 12:04삭제
다량 - 질소, 탄소 산소, 수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인, 황
미량 - 염소, 철, 망간, 구리, 붕소, 아연, 몰리브덴
7. 겉씨식물에 해당되지 않은 수종은?
- ① 소철
- ② 편백
- ③ 나한송
- ④ 협죽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왜림작업에 사용되는 수종으로 묘목의 맹아력이 가장 강한 것은?
- ① 밤나무
- ② 서어나무
- ③ 단풍나무
- ④ 물푸레나무
한오석2020. 8. 14. 21:50삭제
맹아력이 가장 약한수종은? 밤나무
맹아력이 강한수종-단풍나무,물푸레,서어나무,참나무류,아까시나무,오리나무,싸리나무류,버드나무,포플러류,리기다소나무등
9. 우량 묘목의 조건이 아닌 것은?
- ① T/R 값이 3 정도인 것
- ② 측아가 정아보다 우세한 것
- ③ 발육이 왕성하고 조직이 충실한 것
- ④ 가지와 잎이 골고루 분포하고 줄기가 굵은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내음성이 가장 강한 수종은?
- ① Ginkgo biloba
- ② Thuja orientalis
- ③ Abies holophylla
- ④ Juniperus chinensis
Sam2025. 2. 11. 12:13삭제
은행
측백
전나무
향나무
11. 우리나라 산림대의 일반적 구분으로 옳은 것은?
- ① 한대림, 난대림, 열대림
- ② 한대림, 난대림, 아열대림
- ③ 아한대림, 온대림, 난대림
- ④ 한대림, 온대림, 난대림, 열대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숲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소음 방지
- ② 토사유출 방지
- ③ 야생생물 보호
- ④ 목재 생산성 향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자유생장을 하는 수종은?
- ① 잣나무
- ② 은행나무
- ③ 신갈나무
- ④ 가문비나무
Sam2025. 2. 11. 12:18삭제
자작나무, 포플러, 버드나무, 사과나무, 은행나무, 낙엽송 등은 동아 속에 지난해에 만들어진 엽원기가 봄에 자라서 춘엽(early leaves)을 만들고, 그 후에 정단분열조직에서 새로운 엽원기를 만들어 당년 여름 내내 하엽(late leaves)을 만들어 줄기생장을 한다.
14. 종자의 활력을 검사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 ① 절단법
- ② 환원법
- ③ 부숙마찰법
- ④ X선 분석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발아 촉진을 위해 침수처리를 하는 수종이 아닌 것은?
- ① 편백
- ② 피나무
- ③ 삼나무
- ④ 일본잎갈나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우리나라 산림에서 적용하는 지위지수의 정의로 옳은 것은?
- ① 일정한 수령을 기준으로 하여 그 때의 재적으로 결정한다.
- ② 일정한 수령을 기준으로 하여 그 때의 흉고직경으로 결정한다.
- ③ 일정한 수령을 기준으로 하여 그 때의 흉고직경의 평균치로 결정한다.
- ④ 일정한 수령을 기준으로 하여 그 때의 수고로 결정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상온의 건조한 실내에 종자를 저장할 때 발아력에 가장 심한 손상을 입는 수종은?
- ① 편백
- ② 소나무
- ③ 신갈나무
- ④ 일본잎갈나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파종상에 해가림을 해주어야 하는 수종으로만 나열한 것은?
- ① 잣나무, 전나무
- ② 곰솔, 포플러류
- ③ 소나무, 가문비나무
- ④ 아까시나무, 일본잎갈나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제벌작업을 통해 나무의 고사상태를 알고 맹아력을 감소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시기는?
- ① 봄
- ② 여름
- ③ 가을
- ④ 겨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개발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음수 수종의 갱신에 적당하다.
- ② 임지가 보호되어 지력이 증진될 수 있다.
- ③ 작업이 복잡하여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 ④ 동일한 규격의 목재를 생산하여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ㅇㅇㅇ2021. 3. 8. 04:59삭제
개벌작업 입니다.
2과목 : 산림보호학
21. 미국흰불나방의 월동 형태는?
- ① 알
- ② 유충
- ③ 성충
- ④ 번데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2. 묘목에 발생하는 수목병으로 병원체가 토양 중에서 월동하지 않는 것은?
- ① 뿌리혹병
- ② 모잘록병
- ③ 바이러스병
- ④ 자주빛날개무늬병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3. 솔잎혹파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번데기로 월동한다.
- ② 주요 천적으로 기생벌류가 있다.
- ③ 암컷 성충은 소나무의 침엽사이에 알을 낳는다.
- ④ 산란 및 부화최성기에 아세타미프리드 액제를 이용한 나무주사를 실시하여 방제한다.
Sam2025. 2. 11. 13:29삭제
1년에 1회 발생하고 유충형태로 지피물 아래 혹은 땅속에서 월동한다.
24. 리지나뿌리썩음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주로 활엽수에 발생한다.
- ② 담자포자에 의해 전염된다.
- ③ 자실체는 파상땅해파리버섯이다.
- ④ 우리나라에서만 발생하는 병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해충 발생량의 변동을 조사할 때 한 지역 내의 개체군 밀도 결정에 관여하지 않는 요인은?
- ① 출생률
- ② 사망률
- ③ 변이율
- ④ 이입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잣나무 털녹병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벌기령을 단축한다.
- ② 가지치기를 실시한다.
- ③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 ④ 병든 나무를 제거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충영을 형성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
- ① 외줄면충
- ② 밤나무혹벌
- ③ 솔잎혹파리
- ④ 소나무솜벌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산불을 인위적으로 적당히 활용하는 처방화입의 효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병충해를 방제할 수 있다.
- ② 야생 목초의 질과 양을 개량시킨다.
- ③ 임지의 조부식층을 보존할 수 있다.
- ④ 일부 수종의 천연하종을 가능하게 한다.
Sam2025. 2. 11. 13:47삭제
조부식층을 제거하여 천연하종에 의한 갱신을 돕는다.
관목을 제거하고 초지를 형성하여 야생동물에게 먹이화 활동공간을 제공한다.
29. 기주식물체의 표면을 덮고 광합성 작용을 방해하여 동화작용이 저해되어 수세가 약해지는 병으로, 주로 진딧물이나 깍지벌레가 기생했던 곳에서 발생하는 수목병은?
- ① 잎녹병
- ② 털녹병
- ③ 그을음병
- ④ 줄기마름병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밤바구미 방제에 사용하는 약제가 아닌 것은?
- ① 테부코나졸 유제
- ② 펜토에이트 분제
- ③ 카보설판 수화제
- ④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노거 수목의 지상부 외과 수술에서 공동부의 충진법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은?
- ① 목재 충진법
- ② 수지 충진법
- ③ 시멘트 충진법
- ④ 흙에 의한 충진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수목병 방제를 위한 외과적 요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바이러스나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병에는 효과가 없다.
- ② 외과적 처리시기는 생장이 멈춘 늦가을에 하는 것이 좋다.
- ③ 수술방법은 피해부위에 따라 다르며 병환부는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 ④ 절제부위는 살균 및 방부처리를 하여 상처부위를 통한 병원체의 2차 감염을 예방한다.
Sam2025. 2. 11. 14:23삭제
외과수술 시행 적기는 이른 봄
33. 소나무 혹병의 병원균이 중간기주의 잎으로 날아갈 때의 포자 형태는?
- ① 소생자
- ② 녹포자
- ③ 여름포자
- ④ 녹병정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바람으로 인한 피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수목의 형태 변형
- ② 토양의 양분 용탈
- ③ 수목의 동화 작용 방해
- ④ 수목의 과도한 증산 작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오리나무잎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양성생식을 한다.
- ② 1년에 1회 발생한다.
- ③ 유충과 성충이 모두 잎을 갉아 먹는다.
- ④ 성충은 오리나무의 줄기에 알을 낳는다.
Sam2025. 2. 11. 14:39삭제
잎에 산란한다
36. 흡즙성 해충이 아닌 것은?
- ① 소나무좀
- ② 솔껍질깍지벌레
- ③ 버즘나무방패벌레
- ④ 느티나무벼룩바구미
Sam2025. 2. 11. 14:40삭제
소나무좀은 천공성 해충
37. 솔나방의 발생 예찰을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① 번데기의 수를 조사한다.
- ② 성충의 산란수를 조사한다.
- ③ 산란기의 기상 상태를 조사한다.
- ④ 월동 전 유충의 밀도를 조사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수목병에 대한 임업적 방제법으로 옳은 것은?
- ① 저항성 수종을 심는다.
- ② 피해 임지에 약제를 살포한다.
- ③ 항생제를 병든 나무에 주사한다.
- ④ 항구, 공항, 국제우편국에서 식물 검역을 실시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빗자루병에 걸린 대추나무에 나무 주사를 실시하여 치료하는 약제는?
- ① 베노밀
- ② NCS제
- ③ 사이클로핵사마이드
- ④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아황산가스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약한 수종은?
- ① 향나무
- ② 벚나무
- ③ 사철나무
- ④ 회화나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과목 : 임업경영학
41. 25년생 소나무의 재적이 2.5m3일 때 평균생장량은?
- ① 0.010m3
- ② 0.025m3
- ③ 0.100m3
- ④ 0.250m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산림수확조절을 위한 방법으로 아래 Austrian 공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a : 갱정기
- ② I : 총생장량
- ③ Gr : 법정축적
- ④ Ga : 현실임분의 축적
Sam2025. 2. 11. 15:40삭제
I 는 연년생장량
43. 임업경영 규모나 자산을 전년도와 비교하여 얼마나 변화하였는지 분석하는 방법은?
- ① 손익 분석
- ② 부채 분석
- ③ 성장성 분석
- ④ 감가상각비 분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산림평가 방법 중 수익방식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과학적이고 논리적이다.
- ② 일반 경제원칙에서 대체의 원칙과 부합한다.
- ③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비교적 적다.
- ④ 안정된 시장에서는 데이터만 정확하면 대체로 가격이 정확하게 평가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5. 우리나라의 경우 대경목으로 분류하는 흉고직경의 크기는?
- ① 18cm 이상
- ② 28cm 이상
- ③ 30cm 이상
- ④ 52cm 이상
Sam2025. 2. 11. 15:53삭제
임목을 흉고직경의 크기에 따라 나눈 것을 경급 또는 직경급이라 한다.
경급은 임황조사의 한 항목으로 흉고직경을 일정한 범위로 나누고 현재 임분을 구성하고 있는 임목들의 직경분포를 표시한다.
우리나라 영림계획 요강에 의하면, 경급은 임분 내의 흉고직경을 측정하여 직경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범위를 분모로 하고 평균직경을 분자로 표시한다.
이러한 측정자료에 의한 경급의 구분은 다음 4가지로 한다.
치수는 흉고직경 6cm미만의 임목이 50%이상 생육하는 임분이고, 소경목은 흉고직경 6~16cm의 임목이 50%이상 생육하는 임분이다.
중경목은 흉고직경 18~28cm의 임목이 50%이상 생육하는 임분이며,
대경목은 흉고직경 30cm이상의 임목이 생육하는 임분이다.
46. n년 전의 재적을 v, 현재의 재적을 V라고 할 때, m년 동안의 정기평균생장량은 V와 v의 평균재적에 대하여 몇 %에 해당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식은?
- ① Meyer
- ② Denzin
- ③ Pressler
- ④ Schneider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7. 임가소득 중에서 임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은?
- ① 임업소득률
- ② 임업의존도
- ③ 임업조수익
- ④ 임업소득가계충족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원구단면적이 0.35m2이고 말구단면적이 0.25m2인 통나무의 길이가 6m라고 할 때 스말리안식에 의한 통나무의 재적은?
- ① 0.8m3
- ② 1.5m3
- ③ 1.8m3
- ④ 2.1m3
Sam2025. 2. 11. 16:07삭제
ㅌ스말리안식
재적 = {(원구단면적 + 말구단면적) / 2 } X L
재적 = {(0.35 + 0.25) / 2 } X 6
49. 시장가역산법에 의해 임목의 가치를 평가하려고 할 때 계산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① 임목 육성에 투입된 비용
- ② 벌출된 원목의 예측되는 시장가격
- ③ 벌출 운반에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는 비용
- ④ 벌출·운반 및 매각사업에서 얻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정상이윤
Sam2025. 2. 11. 16:13삭제
시장가역산법
- 임목평가법 중 하나로 원목시장의 원목매매가를 조사한 후, 여기에서 원목이 시장에 출하될 때까지 소요되는 비용을 뺀 값으로 임목가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50. 측고기를 사용하여 수고를 측정할 때 주의 사항으로 옳은 것은?
- ① 수고 정도의 거리에서 측정한다.
- ② 수고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측정한다.
- ③ 나무가 서 있는 등고선보다 높은 위치에서만 측정한다.
- ④ 나무가 서 있는 등고선보다 낮은 위치에서만 측정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수종별 벌기령이 옳지 않은 것은? (단, 공·사유림의 일반기준 벌기령을 적용)
- ① 소나무 : 40년
- ② 잣나무 : 50년
- ③ 참나무류 : 25년
- ④ 포플러류 : 10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임목생산에 들어간 비용의 원리합계는?
- ① 지대
- ② 육림비
- ③ 노동비
- ④ 감가상각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3. 손익분기점 분석에 필요한 가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제품을 생산하는 능률은 변함이 없다.
- ② 고정비는 생산량의 증감에 따라 변한다.
- ③ 생산량과 판매량은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 ④ 제품 한 단위당 변동비는 제품 생산이 늘어남에 따라 함께 증가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산림평가에 사용되는 임업이율의 성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대부이자가 아니고 자본이자이다.
- ② 현실이율이 아니고 평정이율이다.
- ③ 단기이율이 아니고 장기이율이다.
- ④ 명목적 이율이 아니고 실질적 이율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5. 벌구식 택벌작업급에 있어서 택벌구가 일순 택벌된 다음 최초의 택벌구로 벌채가 되돌아오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 ① 갱신기
- ② 윤벌기
- ③ 개량기
- ④ 회귀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6. 임업 및 산촌진흥 축진에 관한 법률에 의한 ‘임업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1년 중 30일 이상 임업에 종사하는 자
- ② 3ha 이상 산림에서 임업을 경영하는 자
- ③ 산림조합법 제 18조에 따른 조합원으로 임업을 경영하는 자
- ④ 임업경영을 통한 임산물의 연간 판매액이 120만원 이상인 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7. 10만원으로 임지를 구입하고 5년이 경과했을 때 임지비용가는? (단, 이율은 5%)
- ① 약 7,830원
- ② 약 63,800원
- ③ 약 87,500원
- ④ 약 127,630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8. 법정림의 4가지 요건에 해당죄지 않는 것은?
- ① 법정축적
- ② 법정수확
- ③ 법정생장량
- ④ 법정영급분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9. 지황조사 항목이 아닌 것은?
- ① 방위
- ② 지리
- ③ 지위
- ④ 소밀도
조2023. 7. 2. 15:01삭제
임황조사 :임종.임상.수종.혼효울.임령.영급.수고.경급.소밀도.축적등
60. 임업노동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단위면적당 노동량이 많고 노동강도가 강하다.
- ② 산림경영 규모가 작아서 기계의 연속 가동일수가 짧다.
- ③ 작업장소인 산림까지의 이동시간이 길어서 실제 작업시간은 짧다.
- ④ 농업 노동력을 벌채·운반노동에 이용하려면 별도의 훈련이 필요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과목 : 산림공학
61. 설계속도가 30km/시간, 마찰계수가 0.15, 노면의 횡단물매가 0.15인 경우 임도 노선의 최소곡선반지름은?
- ① 20.6m
- ② 21.6m
- ③ 22.6m
- ④ 23.6m
조2023. 7. 2. 15:07삭제
설계속도 ^2/127×(마찰계수 +노면횡단물매)=23.6
62. 평판측량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오측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 ② 내업이 다른 측량보다 적은 편이다.
- ③ 기상에 따른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 ④ 현장에서 제도하므로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3. 척박한 황폐지의 녹화수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 ① 소나무
- ② 싸리류
- ③ 오리나무
- ④ 서어나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4. 산지 침식의 주요 요인이 아닌 것은?
- ① 지리적 요인
- ② 기상적 요인
- ③ 지형적 요인
- ④ 지질적 요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5. 트랙터집재와 비교한 가선집재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 ① 작업이 단순하다.
- ② 작업생산성이 높다.
- ③ 장비구입비가 저렴하다.
- ④ 잔존 임분에 피해가 적다.
Sam2025. 2. 11. 17:26삭제
트랙터의 단점은
주위 임지 피해가 발생하여 환경문제가 있다.
완경사지 정도에서만 작업이 가능하다.
66. 나무운반미끄럼틀을 이용한 집재 시 스위치백(switch back)을 설치하는 곳은?
- ① 암석지
- ② 훼손지
- ③ 급경사지
- ④ 급한 굴곡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7. 해안지역의 모래언덕에 조림하는 수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 ① 곰솔, 소나무, 아까시나무 등의 수종
- ② 양분과 수분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수종
- ③ 온도의 변화와 강한 바람에 잘 견디는 수종
- ④ 왕성한 낙엽, 낙지 등으로 지력을 증진시키는 수종
Sam2025. 2. 11. 17:31삭제
양분과 수분에 대한 요구도가 적어야 함
68. 임도 시공에서 흙쌓기 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시공면의 침하를 고려하여 더쌓기를 실시한다.
- ② 흙쌓는 두께 30~50cm마다 흙다지기를 해야한다.
- ③ 흙쌓기 비탈면은 줄떼다지기 등의 보호공사를 실시해야 한다.
- ④ 더쌓기의 두께는 기준높이의 20~50%를 표준으로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9. 견치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마름돌과 같이 고가의 재료이다.
- ② 특별한 규격으로 다듬은 석재이다.
- ③ 사방댐이나 옹벽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 ④ 견고를 요하는 돌쌓기 공사에 사용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0. 1ha 당 적정 임도밀도가 20m일 때 집재거리는?
- ① 62.5m
- ② 125.0m
- ③ 187.5m
- ④ 250.0m
Sam2025. 2. 11. 17:39삭제
집재거리 = 5000 / 적정임도밀도
평균집재거리 = 2500 / 적정임도밀도
조2023. 7. 2. 15:13삭제
10000/적정임도밀도×2= 250
71. 인공 수로에서 윤변이 30m이고, 유적이 15m일 때 경심은?
- ① 0.5m
- ② 1.0m
- ③ 1.5m
- ④ 2.0m
Sam2025. 2. 11. 17:43삭제
경심 = 면적 / 윤변 = 15 / 30 = 0.5
72. 임도 노선의 실제 측량 시에 중심말뚝의 측점은 몇 m 간격마다 설치하는가?
- ① 10m
- ② 20m
- ③ 30m
- ④ 40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3. 조공식 파종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사용되는 비료는 속효성 비료보다 지효성 비료가 좋다.
- ② 파종구에 토양과 비료를 잘 혼합한 후 체로 쳐서 사용한다.
- ③ 파종 후에는 잘 밟아주고 다시 약간의 흙덮기를 하여 준다.
- ④ 비탈면에 일정간격으로 수평계단을 설치하고 계단 안에 파종구를 설치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4. 산사태나 산붕의 위험성이 가장 높은 토질은?
- ① 점토
- ② 사질토
- ③ 미사토
- ④ 사질양토
조2023. 7. 2. 15:20삭제
땅밀림 :점성토, 10mm/day이상이면 산사태 이하면 땅밀림
75. 일반지형에서 설계속도가 20km/시간인 경우 종단기울기는?
- ① 7% 이하
- ② 9% 이하
- ③ 10% 이하
- ④ 14% 이하
Sam2025. 2. 11. 17:59삭제
0
설계속도/종단기울기/종단곡선반경(M)/종단곡선길이(M)
40 - 7% - 450이상 - 40이상
30 - 8% - 250이상 - 30이상
20 - 9% - 100이상 - 20이상
76. 임목수확작업 시 벌도, 가지치기, 토막내기, 조재목 마름질에 가장 적합한 기계는?
- ① 포워더(forwarder)
- ② 하베스터(harvester)
- ③ 프로세서(processor)
- ④ 펠러번처(feller buncher)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7. 체인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체인톱 몸통의 수명은 약 1500시간이다.
- ② 휘발유와 체인톱 전용오일의 혼합비는 40:1이다.
- ③ 체인톱 날 처짐은 상관없으나 볼트, 너트 풀림 상태는 항상 확인하여야 한다.
- ④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는 체인톱 기종은 배기량 30~70cc 정도의 소형 및 중형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8. 산림의 단위 면적당 임도연장으로 나타내는 양적 지표는?
- ① 임도밀도
- ② 산림개발도
- ③ 임도효율요인
- ④ 평균집재거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9. 잔골재 크기에 대한 구분 방법으로 다음 ( ) 안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 ① 10, 5, 2.5
- ② 5, 2.5, 0.08
- ③ 10, 5, 0.08
- ④ 10, 2.5, 0.08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0. 임도 설계서에서 예정공정표 작성 시 점검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작업의 난이도
- ② 계절적인 조건
- ③ 시방서 준수여부
- ④ 기술인력 투입정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