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2015. 8. 16.) 시험일자 : 2015년 8월 16일

1과목 : 산업안전관리론
1. 스트레스의 요인 중 직무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과업의 과소는 스트레스를 경감시킨다.
  • ② 과업의 과중은 스트레스를 경감시킨다.
  • ③ 시간의 압박은 스트레스와 관계없다.
  • ④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는 동기부여의 저하, 정신적 긴장 그리고 자신감 상실과 같은 부정적 반응을 초래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국제노동통계회의에서 결의된 재해통계의 국제적 통일안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 ① 국제적 통일안의 결의로서 모든 국가가 이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 ② 강도율은 근로손실일수(1000배)를 총인원의 연근로시간수로 나누어 산정한다.
  • ③ 도수율은 재해의 발생건수(100만 배)를 총인원의 연근로 시간수로 나누어 산정한다.
  • ④ 국가별, 시기별, 산업별 비교를 위해 산업 재해통계를 도수율이나 강도율의 비율로 나타낸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적응기제(Adjustment Mechanism) 중 방어적 기제(Defence Mechanism)에 해당하는 것은?
  • ① 고립(Isolation)
  • ② 퇴행(Regression)
  • ③ 억압(Suppression)
  • ④ 보상(Compensation)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보호구 관련 규정에 따른 안전모의 착장체 구성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① 머리턱끈
  • ② 머리받침끈
  • ③ 머리고정대
  • ④ 머리받침고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산업안전보건 위원회의 회의결과를 주지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사보에 게재한다.
  • ② 회의에 참석하여 파악토록 한다.
  • ③ 사업장 내의 게시판에 부착한다.
  • ④ 정례 조회시 집합교육을 통하여 전달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기억과정에 있어 “파지(retentio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① 사물의 인상을 마음속에 간직하는 것
  • ② 사물의 보존된 인상을 다시 의식으로 떠오르는 것
  • ③ 과거의 경험이 어떤 형태로 미래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작용
  • ④ 과거의 학습 경험을 통하여 학습된 행동이나 지속되는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위험예지훈련 중 TBM(Tool Box Meet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작업 장소에서 원형의 형태를 만들어 실시한다.
  • ② 통상 작업시작 전, 후 10분 정도 시간으로 미팅한다.
  • ③ 토의는 10인 이상에서 20인 단위의 중규모가 모여서 한다.
  • ④ 근로자 모두가 말하고 스스로 생각하고 “이렇게 하자” 라고 합의한 내용이 되어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관료주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의사결정에는 작업자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 ② 인간을 조직 내의 한 구성원으로만 취급한다.
  • ③ 개인의 성장이나 자아실현의 기회가 주어지기 어렵다.
  • ④ 사회적 여건이나 기술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렵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누전차단장치 등과 같은 안전장치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동작시키고 동작상황의 양부를 확인하는 점검을 무슨 점검이라고 하는가?
  • ① 외관점검
  • ② 작동점검
  • ③ 기술점검
  • ④ 종합점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ㆍ보건표지 중 ‘산화성 물질 경고’의 색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바탕은 파란색, 관련 그림은 흰색
  • ② 바탕은 무색, 기본모형은 빨간색
  • ③ 바탕은 흰색, 기본모형 및 관련 부호는 녹색
  • ④ 바탕은 노란색, 기본모형, 관련 부호 및 그림은 검은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Fail-safe의 정의를 가장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 ① 인적 불안전 행위의 통제방법을 말한다.
  • ② 인력으로 예방할 수 없는 불가항력의 사고이다.
  • ③ 인간-기계 시스템의 최적정 설계방안이다.
  • ④ 인간의 실수 또는 기계ㆍ설비의 결함으로 인하여 사고가 발생치 않도록 설계시부터 안전하게 하는 것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내 안전ㆍ보건교육에 있어 채용시의 교육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단,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
  • ① 유해ㆍ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 ② 표준안전작업방법 및 지도요령에 관한 사항
  • ③ 작업공정의 유해ㆍ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 ④ 기계ㆍ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주의(Attention)의 특징 중 여러 종류의 자극을 자각할때, 소수의 특정한 것에 한하여 주의가 집중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① 선택성
  • ② 방향성
  • ③ 변동성
  • ④ 검출성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다음 중 창조성ㆍ문제해결능력의 개발을 위한 교육기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역할연기법
  • ② In-Basket법
  • ③ 사례연구법
  • ④ 브레인스토밍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허츠버그(Herzberg)의 2요인 이론에 있어서 다음 중 동기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 ① 임금
  • ② 지위
  • ③ 도전
  • ④ 작업조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안전ㆍ보건교육 강사로서 교육진행의 자세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중요한 것은 반복해서 교육할 것
  • ②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서 교육할 것
  • ③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으로 교육할 것
  • ④ 가능한 한 전문용어를 사용하여 교육할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다음 중 아담스(Edward Adams)의 관리구조 이론에 대한 사고발생 메커니즘(mechanism)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 ① 사람의 불안전한 행동에서만 발생한다.
  • ② 불안전한 상태에 의해서만 발생한다.
  • ③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가 복합되어 발생한다.
  • ④ 불안전한 상태와 불안전한 행동은 상호 독립적으로 작용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무재해운동 이념의 3원칙에 해당되는 것은?
  • ① 포상의 원칙
  • ② 참가의 원칙
  • ③ 예방의 원칙
  • ④ 팀 활동의 원칙

2022. 3. 6. 10:38삭제
무의 선취의 참가으
19. 의식의 상태에서 작업 중 걱정, 고민, 욕구불만 등에 의하여 정신을 빼앗기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① 의식의 과잉
  • ② 의식의 파동
  • ③ 의식의 우회
  • ④ 의식수준의 저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하인리히의 재해구성비율에 따라 경상사고가 87건 발생 하였다면 무상해사고는 몇 건이 발생하였겠는가?
  • ① 300건
  • ② 600건
  • ③ 900건
  • ④ 1200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다음 FT도에서 각 사상이 발생할 확률이 B1은 0.1, B2는 0.2, B3는 0.3일 때 사상 A가 발생할 확률은 약 얼마인가?
  • ① 0.006
  • ② 0.496
  • ③ 0.604
  • ④ 0.804

2022. 12. 31. 09:38삭제
1-(1-0.1)*(1-0.2)*(1-0.3) = 0.496
22. 화학설비에 대한 안전성 평가시 “정량적 평가”의 5가지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전원
  • ② 취급물질
  • ③ 온도
  • ④ 화학설비용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3. 위험조정을 위한 필요한 기술은 조직형태에 따라 다양하며 4가지로 분류하였을 때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① 보류(retention)
  • ② 계속(continuation)
  • ③ 전가(transfer)
  • ④ 감축(reduction)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4. 휴먼에러에 있어 작업자가 수행해야 할 작업을 잘못 수행하였을 경우 오류를 무엇이라 하는가?
  • ① omission error
  • ② sequence error
  • ③ timing error
  • ④ commission error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5. 5000개 베어링을 품질 검사하여 400개의 불량품을 처리하였으나 실제로는 1000개의 불량 베어링이 있었다면 이러한 상황의 HEP(Human Error Probability)는 얼마인가?
  • ① 0.04
  • ② 0.08
  • ③ 0.12
  • ④ 0.16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6. 다음 중 청각적 표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JND(Just Noticeable Difference)는 인간이 신호의 50%를 검출할 수 있는 자극차원(강도 또는 진동수)의 최소 차이이다.
  • ② 장애물이나 칸막이를 넘어가야 하는 신호는 1000Hz 이상의 진동수를 갖는 신호를 사용한다.
  • ③ 다차원 코드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차원의 수가 많고 수준의 수가 적은 것이 차원의 수가 적고 수준의 수가 많은 것보다 좋다.
  • ④ 배경 소음과 다른 진동수를 갖는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7. 결함수분석(FTA)에서 지면부족 등으로 인하여 다른 페이지 또는 부분에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호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다음 중 부품배치의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① 중요성의 원칙
  • ② 사용빈도의 원칙
  • ③ 다각능률의 원칙
  • ④ 기능별 배치원칙

자유대한 복음통일 만세!2025. 2. 2. 14:41삭제
다각능률의 원칙은 부품배치의 원칙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 원칙은 기계나 인력 등의 자원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원칙으로, 부품배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29. S 에어컨 제조회사는 올해 경영슬로건으로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바람을 제공할 때까지”를 선정하였다. 목표 달성을 위하여 에어컨 가동 상태를 테스트하는 실험실을 설계하고자 한다. 다음 중 실험실의 실효온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① 온도
  • ② 습도
  • ③ 체온
  • ④ 공기유동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다음 중 교체 주기와 가장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보전 방식은?
  • ① 보전예방
  • ② 생산보전
  • ③ 품질보전
  • ④ 예방보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자동생산라인의 오류 경보음을 3단계로 설계하였다. 1단계 경보음이 1000Hz, 60dB라 할 때 3단계 오류 경보음이 1단계 경보음보다 4배 더 크게 들리도록 하려면, 다음 중 경보음의 주파수와 음압수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1000Hz, 80dB
  • ② 1000Hz, 120dB
  • ③ 2000Hz, 60dB
  • ④ 2000Hz, 80dB

이선호2022. 12. 31. 09:56삭제
2배당 10Db올라가므로 정답은 80
32. 다음 중 양립성(compatibility)의 종류가 아닌 것은?
  • ① 개념양립성
  • ② 감성양립성
  • ③ 운동양립성
  • ④ 공간양립성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다음 중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모든 요소의 고장을 형태별로 해석하여 그 영향을 검토하는 분석방법은?
  • ① FTA
  • ② ETA
  • ③ MORT
  • ④ FMEA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조도가 250럭스인 책상 위에 짙은색 종이 A와 B가 있다. 종이 A의 반사율은 20%이고, 종이 B의 반사율은 15% 이다. 종이 A에는 반사율 80%의 색으로, 종이 B에는 반사율 60%의 색으로 같은 글자를 각각 썼을 때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두 글자의 크기, 색, 재질 등은 동일하다.)
  • ① A 종이에 쓰인 글자가 B 종이에 쓰인 글자보다 눈에 더 잘 보인다.
  • ② B 종이에 쓰인 글자가 A 종이에 쓰인 글자보다 눈에 더 잘 보인다.
  • ③ 두 종이에 쓴 글자는 동일한 수준으로 보인다.
  • ④ 어느 종이에 쓰인 글자가 더 잘 보이는지 알 수 없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5. [그림]과 같은 FT도의 컷셋(cut sets)에 속하는 것은?
  • ① {X1, X2, X3}
  • ② {X1, X2, X4}
  • ③ {X1, X3, X4}
  • ④ {X1, X2}, {X3, X4}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6. 다음 중 인체에서 뼈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대사 기능
  • ② 장기 보호
  • ③ 조혈 기능
  • ④ 인체의 지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7. 다음 중 시스템의 정의와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구성요소들이 모인 집합체다.
  • ② 구성요소들이 정보를 주고받는다.
  • ③ 구성요소들은 공통의 목적을 갖고 있다.
  • ④ 개회로(open loop)시스템은 피드백(feedback) 정보를 필요로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8. 다음 중 눈이 식별할 수 있는 과녁(target)의 최소 특징이나 과녁 부분들 간의 최소공간을 의미하는 것은?
  • ① 최소분간시력(minimum separable acuity)
  • ② 최소지각시력(minimum perceptible acuity)
  • ③ 입체시력(stereoscopic acuity)
  • ④ 동시력(dynamic visual acuity)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9. 인간-기계시스템에 대한 평가에서 평가 척도나 기준(criteria) 으로서 관심의 대상이 변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 ① 독립변수
  • ② 확률변수
  • ③ 통제변수
  • ④ 종속변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0. 다음 중 조정표시비(C/D비, Control-Display ratio)를 설계할 때의 고려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공차
  • ② 계기의 크기
  • ③ 운동성
  • ④ 조작시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회전축, 기어, 풀리, 풀라이휠 등에 사용되는 기계요소인 키, 핀 등의 형태로 적합한 것은?
  • ① 돌출형
  • ② 개방형
  • ③ 폐쇄형
  • ④ 묻힘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프레스에 사용하는 양수조작식 방호장치의 누름버튼 상호간 최소 내측 거리는 얼마인가?
  • ① 300mm 이상
  • ② 350mm 이상
  • ③ 400mm 이상
  • ④ 500mm 이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3. 선반작업 시 사용되는 방호장치는?
  • ① 풀아웃(full out)
  • ② 게이트 가드(gate guard)
  • ③ 스위프 가드(sweep guard)
  • ④ 쉴드(shield)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다음 중 외형의 안전화를 위한 대상기계ㆍ기구ㆍ장치별 색채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 ① 시동용 단추스위치 - 녹색
  • ② 고열을 내는 기계 - 노란색
  • ③ 대형기계 - 밝은 연녹색
  • ④ 급정지용 단추스위치 - 빨간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프레스를 사용하여 작업할 때 작업 시작 전 점검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전선 및 접속부 상태
  • ②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 ③ 프레스의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 ④ 1행정 1정지기구ㆍ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의 기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6. 가스용접용 산소 용기에 각인된 “TP50”에서 “TP”의 의미로 옳은 것은?
  • ① 내압시험압력
  • ② 인장응력
  • ③ 최고 충전압력
  • ④ 검사용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7. 산업용 로봇의 동작 형태별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① 원통좌표 로봇
  • ② 수평좌표 로봇
  • ③ 극좌표 로봇
  • ④ 관절 로봇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8. 다음 중 곤돌라의 방호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비상정지장치 작동 시 동력은 차단되고, 누름버튼의 복귀를 통해 비상정지 조작 직전의 작동이 자동으로 복귀될 것
  • ② 권과방지장치는 권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동력을 차단하고 작동을 제동하는 기능을 가질 것
  • ③ 기어ㆍ축ㆍ커플링 등의 회전부분에는 덮개나 울이 설치되어 있을 것
  • ④ 과부하 방지장치는 적재하중을 초과하여 적재시 주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과부하를 감지하여 경보와 함께 승강되지 않는 구조일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일반적인 연삭기로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재해가 아닌 것은?
  • ① 연삭 분진이 눈에 튀어 들어가는 것
  • ② 숫돌 파괴로 인한 파편의 비래
  • ③ 가공 중 공작물의 반발
  • ④ 글레이징(glazing) 현상에 의한 입자의 탈락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다음 중 보일러의 증기관 내에서 수격작용(water hammering) 현상이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은?
  • ① 프라이밍(priming)
  • ② 워터링(watering)
  • ③ 캐리오버(carry over)
  • ④ 서어징(surgin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1.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양중기에서 절단하중이 100톤인 와이어로프를 사용하여 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를 지지하는 경우, 달기와이어로프에 걸 수 있는 최대 사용하중은 얼마인가?
  • ① 10톤
  • ② 20톤
  • ③ 25톤
  • ④ 50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 다음 중 기계운동 형태에 따른 위험점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① 끼임점
  • ② 회전물림점
  • ③ 협착점
  • ④ 절단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프레스기의 방호장치에 표시해야 될 사항이 아닌 것은?
  • ① 제조자명
  • ② 규격 또는 등급
  • ③ 프레스기의 사용 범위
  • ④ 제조번호 및 제조연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양중기의 달기체인에 대한 사용금지 사항으로 틀린 것은?
  • ① 달기체인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 이상인 것
  • ② 링의 단면지름이 달기 체인이 제조된 때의 해당 링의 지름의 10%를 초과하여 감소한 것
  • ③ 달기 체인의 길이가 달기 체인이 제조된 때의 길이의 5%를 초과한 것
  • ④ 균열이 있거나 심하게 변형된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5. 프레스기에 설치하는 방호장치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양수조작식의 경우 기계적 고장에 의한 2차 낙하에는 효과가 없다.
  • ② 광전자식의 경우 핀클러치방식에는 사용할 수 없다.
  • ③ 손쳐내기식은 측면방호가 불가능하다.
  • ④ 가드식은 금형교환 빈도수가 많을 때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6. 다음 중 연삭기 덮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탁상용 연삭기”란 일가공물을 손에 들고 연삭숫돌에 접촉시켜 가공하는 연삭기를 말한다.
  • ② “워크레스트(workrest)”란 탁상용 연삭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공작물을 연삭할 때 가공물의 지지점이 되도록 받쳐주는 것을 말한다.
  • ③ 워크레스트는 연삭숫돌과의 간격을 5mm 이상 조정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 ④ 자율안전확인 연삭기 덮개에는 자율안전확인의 표시외에 숫돌사용 주속도와 숫돌회전방향을 추가로 표시 하여야 한다.

매지컬빢빡이파괴왕2024. 3. 3. 14:55삭제
3mm 이하로
57. 동력전달부분의 전방 50cm 위치에 설치한 일방 평행 보호망에서 가드용 재료의 최대 구멍크기는 얼마인가?
  • ① 45mm
  • ② 56mm
  • ③ 68mm
  • ④ 81m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8. 컨베이어(conveyor)의 방호장치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비상정지장치
  • ② 덮개 또는 울
  • ③ 권과방지장치
  • ④ 역주행방지장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9. 다음 중 연삭숫돌의 지름이 100mm이고, 회전수가 1000rpm이면 숫돌의 원주속도(mm/min)는 약 얼마인가?
  • ① 314
  • ② 628
  • ③ 314000
  • ④ 628000

32025. 2. 7. 17:14삭제
원주속도(mm/min) = π x 지름 x 회전수
???2024. 7. 4. 15:50삭제
식 저거 맞나여?????
60. 다음 중 산업용 로봇에 사용되는 안전매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일반적으로 단선경보장치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 ② 일반적으로 감응시간을 조절하는 장치는 부착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 ③ 자율안전확인의 표시 외에 작동하중, 감응시간 등을 추가로 표시하여야 한다.
  • ④ 안전매트의 종류는 연결사용 가능여부에 따라 1선 감지기와 복선감지기로 구분할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과목 : 전기 및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61. 콘덴서 및 전력 케이블 등을 고압 또는 특별고압 전기 회로에 접촉하여 사용할 때 전원을 끊은 뒤에도 감전될 위험성이 있는 주된 이유로 볼 수 있는 것은?
  • ① 잔류전하
  • ② 접지선 불량
  • ③ 접속기구 손상
  • ④ 절연 보호구 미사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방폭전기설비의 위험장소분류에 있어 보통 상태에서 위험 분위기를 발생할 염려가 있는 장소로서 폭발성 가스가 보통상태에서 집적되어 위험농도로 될 염려가 있는 장소를 몇 종 장소라 하는가?
  • ① 0종 장소
  • ② 1종 장소
  • ③ 2종 장소
  • ④ 3종 장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3. 건물의 전기설비로부터 누설전류를 탐지하여 경보를 발하는 누전경보기의 구성으로 옳은 것은?
  • ① 축전기, 변류기, 경보장치
  • ② 변류기, 수신기, 경보장치
  • ③ 수신기, 발신기, 경보장치
  • ④ 비상전원, 수신기, 경보장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4. 전기화재의 발생원인이 아닌 것은?
  • ① 합선
  • ② 절연저항
  • ③ 과전류
  • ④ 누전 또는 지락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5. 금속도체 상호간 혹은 대지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2개 이상의 금속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서로 같은 전위를 형성하여 정전기 사고를 예방하는 기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 ① 본딩
  • ② 1종 접지
  • ③ 대전 분리
  • ④ 특별 접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6. 다음 중 방폭전기설비가 설치되는 표준환경조건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 ① 표고는 1000m 이하
  • ② 상대습도는 30 ~ 95% 범위
  • ③ 주변온도는 –20℃ ~ +40℃ 범위
  • ④ 전기설비에 특별한 고려를 필요로 하는 정도의 공해, 부식성가스, 진동 등이 존재하지 않는 장소

자유대한 복음통일 만세!2025. 2. 2. 16:01삭제
제4조 (전기설비의 표준환경 조건) 이 고시에서 적용되는 전기설비가 설치되는 표준환경조건은 다음 각호와 같다. 1. 주변온도 : 20℃∼40℃ 2. 표 고 : 1,000m이하 3. 상대습도 : 45∼85% 4. 전기설비에 특별한 고려를 필요로 하는 정도의 공해, 부식성가스, 진동등이 존재하지 않는 환경
67. 이동전선에 접속하여 임시로 사용하는 전등이나 가설의 배선 또는 이동전선에 접속하는 가공매달기식 전등 등을 접촉함으로 인한 감전 및 전구의 파손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망을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을 설치시 준수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 ① 보호망은 쉽게 파손되지 않을 것
  • ② 재료는 용이하게 변형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할 것
  • ③ 전구의 밝기를 고려하여 유리로 된 것을 사용할 것
  • ④ 전구의 노출된 금속부분에 쉽게 접촉되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8. 착화에너지가 0.1mJ이고 가스를 사용하는 사업장 전기설비의 정전용량이 0.6nF일 때 방전시 착화 가능한 최소 대전 전위는 약 얼마인가?
  • ① 289V
  • ② 385V
  • ③ 577V
  • ④ 1154V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9. 감전 사고의 요인과 관계가 없는 것은?
  • ① 전기기기의 절연파괴
  • ② 콘덴서의 방전 미실시
  • ③ 전기기기의 24시간 계속 운전
  • ④ 정전 작업시 단락접지를 하지 않아 유도전압 발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0.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누전에 의한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지전압이 몇 V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ㆍ기구에는 감전 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 ① 50V
  • ② 75V
  • ③ 110V
  • ④ 150V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중 공정안전자료의 세부내용에 해당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① 주민홍보계획
  • ② 안전운전지침서
  • ③ 각종 건물ㆍ설비의 배치도
  • ④ 위험과 운전 분석(HAZOP)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2. 다음 중 분진폭발의 가능성이 가장 낮은 물질은?
  • ① 소맥분
  • ② 마그네슘
  • ③ 질석가루
  • ④ 스텔라이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3. 다음 중 폭발의 위험성이 가장 높은 것은?
  • ① 폭발 상한농도
  • ② 완전연소 조성농도
  • ③ 폭발 상한선과 하한선의 중간점 농도
  • ④ 폭굉 상한선과 하한선의 중간점 농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4. 건조설비의 사용에 있어 500~800℃ 범위의 온도에 가열된 스테인리스강에서 주로 일어나며, 탄화크롬이 형성되어 결정 경계면의 크롬함유량이 감소하여 발생되는 부식형태는?
  • ① 전면부식
  • ② 층상부식
  • ③ 입계부식
  • ④ 격간부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5. 공기 중에 3ppm의 디메틸아민(demethylamine, TLV-TWA : 10ppm)과 20ppm의 시클로헥산올(cyclo hexanol, TLV-TWA : 50ppm)이 있고, 10ppm의 산화프로필렌(propyleneoxide. TLV-TWA : 20ppm)이 존재한다면 혼합 TLV-TWA는 몇 ppm인가?
  • ① 12.5
  • ② 22.5
  • ③ 27.5
  • ④ 32.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6. 최대운전압력이 게이지압력으로 200kgf/cm2인 열교환기의 안전밸브 작동압력(kgf/cm2 )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210
  • ② 220
  • ③ 230
  • ④ 24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7.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화학설비 또는 그 배관의 덮개ㆍ플랜지ㆍ밸브 및 콕의 접합부에 대하여 당해 접합부에서의 위험물질 등의 누출로 인한 폭발ㆍ화재 또는 위험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조치는?
  • ① 개스킷의 사용
  • ② 코르크의 사용
  • ③ 호스 밴드의 사용
  • ④ 호스 스크립의 사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8. 아세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인화점은 557.8℃이다.
  • ② 무색의 휘발성 액체이며 유독하지 않다.
  • ③ 20% 이하의 수용액에서는 인화 위험이 없다.
  • ④ 일광이나 공기에 노출되면 과산화물을 생성하여 폭발성으로 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9. 다음 중 액체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소화시키는 것으로 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주로 어떤 소화방법에 해당되는가?
  • ① 냉각소화법
  • ② 연소억제법
  • ③ 제거소화법
  • ④ 질식소화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0. 유해ㆍ위험물질 취급에 대한 작업별 안전한 작업이 아닌 것은?
  • ① 자연발화의 방지 조치
  • ② 인화성 물질의 주입시 호스를 사용
  • ③ 가솔린이 남아 있는 설비에 중유의 주입
  • ④ 서로 다른 물질의 접촉에 의한 발화의 방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과목 : 건설안전기술
81. 토사붕괴시의 조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 ① 대피통로 및 공간의 확보
  • ② 동시작업의 금지
  • ③ 2차 재해의 방지
  • ④ 굴착공법의 선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2. 콘크리트 거푸집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연직하중으로 거리가 먼 것은?
  • ① 작업하중
  • ② 콘크리트 자중
  • ③ 충격하중
  • ④ 풍하중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3. 작업발판 및 통로의 끝이나 개구부로서 근로자가 추락 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 대한 방호조치와 거리가 먼 것은?
  • ① 안전난간 설치
  • ② 울타리 설치
  • ③ 투하설비 설치
  • ④ 수직형 추락방망 설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4. 다음은 가설통로를 설치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이다. 빈칸에 들어갈 수치를 순서대로 옳게 나타낸 것은?
  • ① 8, 7
  • ② 7, 8
  • ③ 10, 15
  • ④ 15, 1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5. 보통 흙의 굴착공사에서 굴착깊이가 5m, 굴착기초면의 폭이 5m인 경우 양단면 굴착을 할 때 상부 단면의 폭은? (단, 굴착구배는 1:1로 한다.)
  • ① 10m
  • ② 15m
  • ③ 20m
  • ④ 25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6. 흙을 크게 분류하면 사질토와 점성토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차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흙의 내부 마찰각은 사질토가 점성토보다 크다.
  • ② 지지력은 사질토가 점성토보다 크다.
  • ③ 점착력은 사질토가 점성토보다 작다.
  • ④ 장기침하량은 사질토가 점성토보다 크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7.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중량물을 취급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작업계획서 내용에 포함되는 사항은?
  • ① 해체의 방법 및 해체 순서도면
  • ② 낙하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대책
  • ③ 사용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종류 및 성능
  • ④ 작업지휘자 배치계획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8. 터널 건설작업시 터널 내부에서 화기나 아크를 사용하는 장소에 필히 설치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설비는?
  • ① 소화설비
  • ② 대피설비
  • ③ 충전설비
  • ④ 차단설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9.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계단 및 계단참을 설치하는 경우 매 m2 당 최소 얼마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 구조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 ① 500kg
  • ② 600kg
  • ③ 700kg
  • ④ 800k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0.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안전상 유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콘크리트를 치는 도중에는 거푸집, 지보공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 ② 진동기 사용시 지나친 진동은 거푸집 도괴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
  • ③ 최상부의 슬래브는 되도록 이어붓기를 하고 여러 번에 나누어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 ④ 타워에 연결되어 있는 슈트의 접속은 확실한지 확인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1. 고소작업대 구조에서 작업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때 사용하는 체인의 안전율은 최소 얼마 이상인가?
  • ① 2
  • ② 5
  • ③ 10
  • ④ 1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2. 건설공사 중 작업으로 인하여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있을 때 조치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안전난간 설치
  • ② 보호구의 착용
  • ③ 출입금지구역의 설정
  • ④ 낙하물방지망의 설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3. 건설용 양중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삼각데릭은 인접시설에 장해가 없는 상태에서 360° 회전이 가능하다.
  • ② 이동식크레인(crane)에는 트럭 크레인, 크롤러 크레인 등이 있다.
  • ③ 휠 크레인에는 무한궤도식과 타이어식이 있으며 장거리 이동에 적당하다.
  • ④ 크롤러 크레인은 휠 크레인보다 기동성이 뛰어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4.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 공사의 규모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최대지간길이가 50m 이상인 교량건설등 공사
  • ② 다목적댐, 발전용댐 및 저수용량 2천만톤 이상의 용수 전용 댐, 지방상수도 전용 댐 건설 등의 공사
  • ③ 깊이 12m 이상인 굴착공사
  • ④ 터널건설 등의 공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5. 수중굴착 공사에 가장 적합한 건설장비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① 백호
  • ② 어스드릴
  • ③ 항타기
  • ④ 클램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6. 조강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시험하지 않을 경우 거푸집널의 해체 시기로 옳은 것은? (단, 평균기온이 20℃ 이상이면서 기둥의 경우)
  • ① 1일
  • ② 2일
  • ③ 3일
  • ④ 4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7. 철골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는 악천후의 조건이다. 순서대로 ( )안에 알맞은 숫자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 ① 10, 10, 10
  • ② 1, 1, 10
  • ③ 1, 10, 1
  • ④ 10, 1, 1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8. 낙하추나 화약의 폭방 등으로 인공진동을 일으켜 지반의 종류, 지층 및 강성도 등을 알아내는데 활용되는 지반조사 방법은?
  • ① 탄성파탐사
  • ② 전기저항탐사
  • ③ 방사능탐사
  • ④ 유량검층탐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9. 사다리식 통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 준수해야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견고한 구조로 할 것
  • ② 폭은 20c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것
  • ③ 심한 손상ㆍ부식 등이 없는 재료를 사용할 것
  • ④ 발판과 벽과의 사이는 15cm 이상을 유지할 것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0. 잠함, 우물통, 수직갱,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건설물 또는 설비의 내부에서 굴착작업을 하는 경우에 준수해야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산소 결핍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사람을 지명하여 측정하도록 할 것
  • ② 근로자가 안전하게 오르내리기 위한 설비를 설치할 것
  • ③ 굴착 깊이가 1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작업장소와 외부와의 연락을 위한 통신설비 등을 설치할 것
  • ④ 굴착 깊이가 2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송기를 위한 설비를 설치하여 필요한 양의 공기를 공급할 것

매지컬빢빡이파괴왕2024. 3. 3. 15:18삭제
2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