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지도사(2023. 4. 1.) 시험일자 : 2023년 4월 1일

1과목 : 산업안전보건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재해발생건수등의 공표대상 사업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가 연간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 ② 사망만인율(死亡萬人率)이 규모별 같은 업종의 평균 사망만인율 이상인 사업장
  • ③ 중대산업사고가 발생한 사업장
  • ④ 사업주가 산업재해 발생 사실을 은폐한 사업장
  • ⑤ 사업주가 산업재해 발생에 관한 보고를 최근 3년 이내 1회 이상 하지 않은 사업장

2024. 12. 20. 07:30삭제
해설이 좆같네
윤덕중 2023. 12. 22. 00:36삭제
3년 이내 2회 이상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상시근로자 100명인 사업장에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두어야 하는 사업을 모두 고른 것은?
  • ① ㄱ, ㄴ
  • ② ㄴ, ㄷ
  • ③ ㄷ, ㄹ
  • ④ ㄱ, ㄴ, ㄹ
  • ⑤ ㄱ, ㄴ, ㄷ, ㄹ

하몽2024. 5. 22. 20:07삭제
ㄷ.ㄹ 상시근로자300명 이상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소속 근로자에게 정기적인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는 사업에 해당하는 것은? (단, 다른 감면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 ①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② 금융 및 보험업
  • ③ 사업지원 서비스업
  • ④ 사회복지 서비스업
  • ⑤ 사진처리업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전문기관에 대하여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업무정지명령을 할 수 있는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지정받은 사항을 위반하여 업무를 수행한 경우
  • ②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지정을 받은 경우
  • ③ 정당한 사유 없이 안전관리 또는 보건관리 업무의 수탁을 거부한 경우
  • ④ 안전관리 또는 보건관리 업무와 관련된 비치서류를 보존하지 않은 경우
  • ⑤ 안전관리 또는 보건관리 업무 수행과 관련한 대가 외에 금품을 받은 경우

osi하자2024. 8. 9. 13:23삭제
2번은 취소사유
지도사워너비2024. 2. 14. 11:51삭제
법154조, 령 28조 참고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설업체의 산업재해발생률 산출 계산식상 사업주의법 위반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고 인정되는 재해에 의한 사고사망자로서 '사고사망자 수' 산정에서 제외되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
  • ① ㄱ, ㄷ
  • ② ㄴ, ㄹ
  • ③ ㄱ, ㄴ, ㄷ
  • ④ ㄱ, ㄴ, ㄹ
  • ⑤ ㄱ, ㄴ, ㄷ, ㄹ

안전보건킹2025. 3. 25. 15:10삭제
정답은 4번입니다.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도급인의 안전조치 및 보건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건설업의 도급인은 작업장의 정기 안전ㆍ보건점검을 분기에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 ② 토사석 광업의 도급인은 3일에 1회 이상 작업장 순회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 ③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협의체는 도급인 및 그의 수급인 전원으로 구성해야 한다.
  • ④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협의체는 분기별 1회 이상 정기적으로 회의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기록ㆍ보존해야 한다.
  • ⑤ 관계수급인의 공사금액을 포함한 해당 공사의 총공사금액이 10억원 이상인 건설업은 안전보건총괄책임자 지정 대상사업에 해당한다.

시바해설달지마2024. 12. 20. 07:46삭제
어떤색히 그냥 틀리라고 자꾸 병신같은 해설을 올리네
osi하자2024. 8. 9. 13:32삭제
* 작업장 순회점검과 구분(제조업등 2일에 1회, 그밖은 1주일 1회) * 작업장 정기 안전ㆍ보건점검의 실시 횟수(건설선박보트업 2개월에 1회, 그밖은 분기에 1회)
지도사2024. 2. 5. 23:23삭제
3번이 옳은것이 맞네요. 해설이 잘못되었어요. 1. 정기안전 점검은 2달마다 시행규칙 82조 2. 도급인의 순회점검은 2일에 1회 시행규칙 80조 4. 협의체 1개월마다 협의 법 64조 5. 총공사금액 20억 시행렬 52조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세부 내용 중 작업장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 ① 안전ㆍ보건관리에 관한 계획의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사항
  • ② 기계ㆍ기구 및 설비의 방호조치에 관한 사항
  • ③ 보호구의 지급 등에 관한 사항
  • ④ 위험물질의 보관 및 출입 제한에 관한 사항
  • ⑤ 안전표시ㆍ안전수칙의 종류 및 게시에 관한 사항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산업안전보건법 제58조(유해한 작업의 도급금지) 규정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 ① 1
  • ② 2
  • ③ 3
  • ④ 4
  • ⑤ 5

하몽2024. 5. 22. 20:29삭제
유효기간연장3년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타워크레인 설치ㆍ해체업의 등록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타워크레인 설치ㆍ해체업을 등록한 자가 등록한 사항 중 업체의 소재지를 변경할 때에는 변경등록을 하여야 한다.
  • ② 타워크레인을 설치하거나 해체하려는 자가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비계기능사의 자격을 가진 사람 3명을 보유하였다면, 타워크레인 설치ㆍ해체업을 등록할 수 있다.
  • ③ 송수신기는 타워크레인 설치ㆍ해체업의 장비기준에 포함된다.
  • ④ 타워크레인 설치ㆍ해체업을 등록하려는 자는 설치ㆍ해체업 등록신청서에 관련서류를 첨부하여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 ⑤ 타워크레인 설치ㆍ해체업의 등록이 취소된 자는 등록이 취소된 날부터 2년 이내에는 타워크레인 설치ㆍ해체업으로 등록받을 수 없다.

해설 ㅆㅂ 누구냐?2024. 12. 20. 09:39삭제
해설 쓰지마라
해설씨발아2024. 12. 20. 07:50삭제
대체 어떤씨발색히가 좆같이 다네
필승2024. 1. 29. 22:02삭제
도육->교육, 오타 죄송
필승2024. 1. 29. 21:58삭제
시행령72조 1항 관련 별표 22에는 인력기준으로 가. 판금제관기능사 또는 비계기능사 자격을 가진사람 4명이상 보유할것으로 나옴. 나. 법140조 2항에 따라 타워크레인 설치,해체작업 교육기관에서 됴육이수, 수료시험 합격 후 5년이 지나지 않은 사람 다. 법 140조 2항 지정된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작업 교육기관에서 보수교육 이수후 5년 지나지 않은 사람.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검사를 면제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방위사업법」제28조제1항에 따른 품질보증을 받은 경우
  • ② 「선박안전법」제8조부터 제12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검사를 받은 경우
  • ③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제39조제4항에 따른 검사를 받은 경우
  • ④ 「항만법」제26조제1항제3호에 따른 검사를 받은 경우
  • ⑤ 「화학물질관리법」제24조제3항 본문에 따른 정기검사를 받은 경우

좀 찾아봐2025. 2. 28. 14:35삭제
1. 「건설기계관리법」 제13조제1항제1호ㆍ제2호 및 제4호에 따른 검사를 받은 경우(안전검사 주기에 해당하는 시기의 검사로 한정한다) 2.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제17조제2항에 따른 검사를 받은 경우 3. 「광산안전법」 제9조에 따른 검사 중 광업시설의 설치ㆍ변경공사 완료 후 일정한 기간이 지날 때마다 받는 검사를 받은 경우 4. 「선박안전법」 제8조부터 제12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검사를 받은 경우 5.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제39조제4항에 따른 검사를 받은 경우 6. 「원자력안전법」 제22조제1항에 따른 검사를 받은 경우 7. 「위험물안전관리법」 제18조에 따른 정기점검 또는 정기검사를 받은 경우 8. 「전기안전관리법」 제11조에 따른 검사를 받은 경우 9. 「항만법」 제33조제1항제3호에 따른 검사를 받은 경우 10.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2조제1항에 따른 자체점검을 받은 경우 11. 「화학물질관리법」 제24조제3항 본문에 따른 정기검사를 받은 경우
필승2024. 1. 29. 22:45삭제
안전검사의 면제는 시행규칙 125조에 있어요.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ㆍ기구에 대한 방호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동력으로 작동하는 금속절단기에 날접촉 예방장치를 설치하여야 사용에 제공할 수 있다.
  • ② 동력으로 작동하는 기계ㆍ기구로서 속도조절 부분이 있는 것은 속도조절 부분에 덮개를 부착하거나 방호망을 설치하여야 양도할 수 있다.
  • ③ 사업주는 방호조치가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방호조치와 관련되는 장치를 상시적으로 점검하고 정비하여야 한다.
  • ④ 동력으로 작동하는 기계ㆍ기구의 방호조치를 해체하려는 경우 사업주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 ⑤ 동력으로 작동하는 진공포장기에 구동부 방호 연동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대여의 목적으로 진열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ㄱㄷㅅ54ㄷㄱ2025. 2. 28. 14:44삭제
산업안전보건법 제170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20. 3. 31.> 1. 제41조제3항(제166조의2에서 준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해고나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한 자 2. 제56조제3항(제166조의2에서 준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중대재해 발생 현장을 훼손하거나 고용노동부장관의 원인조사를 방해한 자 3. 제57조제1항(제166조의2에서 준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산업재해 발생 사실을 은폐한 자 또는 그 발생 사실을 은폐하도록 교사(敎唆)하거나 공모(共謀)한 자 4. 제65조제1항, 제80조제1항ㆍ제2항ㆍ제4항, 제85조제2항ㆍ제3항, 제92조제1항, 제141조제4항 또는 제162조를 위반한 자 5. 제85조제4항 또는 제92조제2항에 따른 명령을 위반한 자 6. 제101조에 따른 조사, 수거 또는 성능시험을 방해하거나 거부한 자 7. 제153조제1항을 위반하여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성명이나 사무소의 명칭을 사용하여 지도사의 직무를 수행하게 하거나 자격증ㆍ등록증을 대여한 사람 8. 제153조제2항을 위반하여 지도사의 성명이나 사무소의 명칭을 사용하여 지도사의 직무를 수행하거나 자격증ㆍ등록증을 대여받거나 이를 알선한 사람
11112025. 2. 28. 14:36삭제
산안법 시행령 제70조(방호조치를 해야 하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ㆍ기구) 법 제80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별표 20에 따른 기계ㆍ기구를 말한다.
12024. 12. 23. 07:50삭제
해설씨발놈
윤덕중2024. 3. 21. 09:31삭제
1년이하의 징역 1천만원 이하의 벌금
필5ㅡㅇ2024. 1. 29. 22:25삭제
시행령98조 방호조치에요. 법개정된건지 간혹 법조항이 달라요.
1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주요 구조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 안전인증을 받아야 하는 기계 및 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컨베이어
  • ② 프레스
  • ③ 전단기 및 절곡기
  • ④ 사출성형기
  • ⑤ 롤러기

11112025. 2. 28. 15:07삭제
산안법 시행령 제 77조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 등 --> 컨 베 이 어
211112025. 2. 28. 15:06삭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77조(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 ① 법 제89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계 또는 설비 가. 연삭기(硏削機) 또는 연마기. 이 경우 휴대형은 제외한다. 나. 산업용 로봇 다. 혼합기 라. 파쇄기 또는 분쇄기 마. 식품가공용 기계(파쇄ㆍ절단ㆍ혼합ㆍ제면기만 해당한다) 바. 컨베이어 사. 자동차정비용 리프트 아. 공작기계(선반, 드릴기, 평삭ㆍ형삭기, 밀링만 해당한다) 자. 고정형 목재가공용 기계(둥근톱, 대패, 루타기, 띠톱, 모떼기 기계만 해당한다) 차. 인쇄기 2.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호장치 가. 아세틸렌 용접장치용 또는 가스집합 용접장치용 안전기 나. 교류 아크용접기용 자동전격방지기 다. 롤러기 급정지장치 라. 연삭기 덮개 마. 목재 가공용 둥근톱 반발 예방장치와 날 접촉 예방장치 바. 동력식 수동대패용 칼날 접촉 방지장치 사. 추락ㆍ낙하 및 붕괴 등의 위험 방지 및 보호에 필요한 가설기자재(제74조제1항제2호아목의 가설기자재는 제외한다)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 3.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보호구 가. 안전모(제74조제1항제3호가목의 안전모는 제외한다) 나. 보안경(제74조제1항제3호차목의 보안경은 제외한다) 다. 보안면(제74조제1항제3호카목의 보안면은 제외한다) ②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의 세부적인 종류, 규격 및 형식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1112025. 2. 28. 15:05삭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2절 안전인증 조문체계도버튼 제107조(안전인증대상기계등) 법 제84조제1항에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이란 다음 각 호의 기계 및 설비를 말한다. 1. 설치ㆍ이전하는 경우 안전인증을 받아야 하는 기계 가. 크레인 나. 리프트 다. 곤돌라 2. 주요 구조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 안전인증을 받아야 하는 기계 및 설비 가. 프레스 나. 전단기 및 절곡기(折曲機) 다. 크레인 라. 리프트 마. 압력용기 바. 롤러기 사. 사출성형기(射出成形機) 아. 고소(高所)작업대 자. 곤돌라
해설 믿지마2024. 12. 20. 09:46삭제
여기 해설쓰는애는 고단수 입니다. 일부러 떨구려고 저렇게 해설 쓰는거예요. 해설 믿지 마세요.
초보안전2024. 2. 17. 10:39삭제
컨베이어는 안전인증이 아닌 자율안전확인신고대상이여서 1번이 정답아닌가요?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상시근로자 30명인 도매업의 사업주가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에게 실시해야 하는 안전보건교육 교육과정별 교육시간 중 채용시 교육의 교육시간으로 옳은 것은? (단, 다른 감면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 ① 30분 이상
  • ② 1시간 이상
  • ③ 2시간 이상
  • ④ 3시간 이상
  • ⑤ 4시간 이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성ㆍ위험성 조사 제외 화학물질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고용노동부장관이 공표하거나 고시하는 물질은 고려하지 않음)
  • ① ㄱ, ㄴ
  • ② ㄷ, ㄹ
  • ③ ㄱ, ㄴ, ㄷ
  • ④ ㄴ, ㄷ, ㄹ
  • ⑤ ㄱ, ㄴ, ㄷ, ㄹ

11112025. 2. 28. 15:11삭제
산안법 시행령 제86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ㆍ제출 제외 대상 화학물질 등) 법 제110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개정 2020. 8. 27.> 1.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제1호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2. 「농약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농약 3.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 및 제3호에 따른 마약 및 향정신성의약품 4. 「비료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비료 5. 「사료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사료 6.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원료물질 7.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3조제4호 및 제8호에 따른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품 중 일반소비자의 생활용으로 제공되는 제품 8. 「식품위생법」 제2조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식품 및 식품첨가물 9. 「약사법」 제2조제4호 및 제7호에 따른 의약품 및 의약외품 10. 「원자력안전법」 제2조제5호에 따른 방사성물질 11. 「위생용품 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위생용품 12. 「의료기기법」 제2조제1항에 따른 의료기기 12의2.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제5호에 따른 첨단바이오의약품 13. 「총포ㆍ도검ㆍ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항에 따른 화약류 14. 「폐기물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폐기물 15. 「화장품법」 제2조제1호에 따른 화장품
11112025. 2. 28. 15:09삭제
산업안전보건법시행령 제85조(유해성ㆍ위험성 조사 제외 화학물질) 법 제108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화학물질”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1. 원소 2. 천연으로 산출된 화학물질 3.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제1호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4. 「군수품관리법」 제2조 및 「방위사업법」 제3조제2호에 따른 군수품[「군수품관리법」 제3조에 따른 통상품(痛常品)은 제외한다] 5. 「농약관리법」 제2조제1호 및 제3호에 따른 농약 및 원제 6.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른 마약류 7. 「비료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비료 8. 「사료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사료 9.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3조제7호 및 제8호에 따른 살생물물질 및 살생물제품 10. 「식품위생법」 제2조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식품 및 식품첨가물 11. 「약사법」 제2조제4호 및 제7호에 따른 의약품 및 의약외품(醫藥外品) 12. 「원자력안전법」 제2조제5호에 따른 방사성물질 13. 「위생용품 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위생용품 14. 「의료기기법」 제2조제1항에 따른 의료기기 15. 「총포ㆍ도검ㆍ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항에 따른 화약류 16. 「화장품법」 제2조제1호에 따른 화장품과 화장품에 사용하는 원료 17. 법 제108조제3항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이 명칭, 유해성ㆍ위험성, 근로자의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조치 사항 및 연간 제조량ㆍ수입량을 공표한 물질로서 공표된 연간 제조량ㆍ수입량 이하로 제조하거나 수입한 물질 18. 고용노동부장관이 환경부장관과 협의하여 고시하는 화학물질 목록에 기록되어 있는 물질
osi하자2024. 8. 9. 13:51삭제
ㄹ은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제출 제외 화학물질입니다
1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자율안전확인의 신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산업표준화법」제15조에 따른 인증을 받은 경우에는 자율안전확인의 신고를 면제할 수 있다.
  • ② 롤러기 급정지장치는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에 해당한다.
  • ③ 자율안전확인의 표시는 「국가표준기본법 시행령」제15조의7제1항에 따른 표시기준 및 방법에 따른다.
  • ④ 자율안전확인 표시의 사용 금지 공고내용에 사업장 소재지가 포함되어야 한다.
  • ⑤ 고용노동부장관은 자율안전확인표시의 사용을 금지한 날부터 20일 이내에 그 사실을 관보 등에 공고하여야 한다.

11112025. 2. 28. 15:12삭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22조(자율안전확인 표시의 사용 금지 공고내용 등) 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은 법 제91조제1항에 따라 자율안전확인표시의 사용을 금지한 경우에는 이를 고용노동부장관에게 보고해야 한다. ② 고용노동부장관은 법 제91조제3항에 따라 자율안전확인표시 사용을 금지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관보나 인터넷 등에 공고해야 한다. 1.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의 명칭 및 형식번호 2. 자율안전확인번호 3. 제조자(수입자) 4. 사업장 소재지 5. 사용금지 기간 및 사용금지 사유
11112025. 2. 28. 15:12삭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22조(자율안전확인 표시의 사용 금지 공고내용 등) 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은 법 제91조제1항에 따라 자율안전확인표시의 사용을 금지한 경우에는 이를 고용노동부장관에게 보고해야 한다. ② 고용노동부장관은 법 제91조제3항에 따라 자율안전확인표시 사용을 금지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관보나 인터넷 등에 공고해야 한다. 1.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의 명칭 및 형식번호 2. 자율안전확인번호 3. 제조자(수입자) 4. 사업장 소재지 5. 사용금지 기간 및 사용금지 사유
지도사2024. 2. 9. 13:15삭제
지문 5번은 금지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입니다. 규칙 122조에 있습니다.
지도사2024. 2. 9. 13:13삭제
시행규칙 122조 자율안전확인표시의 사용금지에 따르면 관보에 공고할 내용은 1.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의 명칭 및 형식번호 2. 자율안전확인번호 3. 제조자(수입자) 4. 사업장 소재지 5. 사용금지 기간 및 사용금지 사유 입니다.
1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직무교육 중 신규교육이 면제되는 사람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 ① ㄱ: 2, ㄴ: 200
  • ② ㄱ: 2, ㄴ: 300
  • ③ ㄱ: 3, ㄴ: 200
  • ④ ㄱ: 3, ㄴ: 300
  • ⑤ ㄱ: 5, ㄴ: 200

22222025. 2. 28. 15:16삭제
산안법 시행령 별표 4의 6호 6. 「고등교육법」에 따른 이공계 전문대학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해당 사업의 관리감독자로서의 업무(건설업의 경우는 시공실무경력)를 3년(4년제 이공계 대학 학위 취득자는 1년) 이상 담당한 후 고용노동부장관이 지정하는 기관이 실시하는 교육(1998년 12월 31일까지의 교육만 해당한다)을 받고 정해진 시험에 합격한 사람. 다만, 관리감독자로 종사한 사업과 같은 업종(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대분류를 기준으로 한다)의 사업장이면서, 건설업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시근로자 300명 미만인 사업장에서만 안전관리자가 될 수 있다
1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서류의 보존기간이 3년인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① ㄱ, ㄷ
  • ② ㄴ, ㄹ
  • ③ ㄱ, ㄴ, ㄹ
  • ④ ㄴ, ㄷ, ㄹ
  • ⑤ ㄱ, ㄴ, ㄷ, ㄹ

비모골2024. 3. 26. 17:17삭제
회외록2년
나라만만세2024. 2. 27. 19:52삭제
기회조 3년만
1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인자의 유해성ㆍ위험성 분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① ㄱ, ㄴ
  • ② ㄷ, ㄹ
  • ③ ㄱ, ㄴ, ㄷ
  • ④ ㄴ, ㄷ, ㄹ
  • ⑤ ㄱ, ㄴ, ㄷ, ㄹ

비모골2024. 3. 26. 17:18삭제
소음성난청85데시벨
지도사워너비2024. 2. 14. 18:23삭제
고노부령 393호, 별표18
지도사워너비2024. 2. 14. 18:23삭제
ㄱ. 85데시빌이어야 함.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환경의 개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도급인의 사업장에서 관계수급인 또는 관계수급인의 근로자가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도급인은 그 사업장에 소속된 사람 중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가진 사람으로 하여금 작업환경측정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 ② 사업주는 근로자대표가 요구하면 작업환경측정 시 근로자대표를 참석시켜야 한다.
  • ③ 「의료법」에 따른 의원 또는 한의원은 작업환경측정기관으로 고용노동부장관의 승인을 받을 수 있다.
  • ④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작업환경측정 결과가 노출기준 미만인데도 직업병 유소견자가 발생한 경우에는 작업환경측정 신뢰성평가를 할 수 있다.
  • ⑤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또는 근로자대표가 요구하면 작업환경측정 결과에 대한 설명회 등을 개최하여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공정안전보고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원유 정제처리업의 보유설비가 있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 ② 사업주가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할 때, 산업안전보건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근로자대표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 ③ 공정안전보고서에는 비상조치계획이 포함되어야 하고, 그 세부 내용에는 주민홍보계획을 포함해야 한다.
  • ④ 원자력 설비는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대상인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에 해당한다.
  • ⑤ 공정안전보고서 이행상태평가의 방법 등 이행상태평가에 필요한 세부적인 사항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인 건설공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자체심사 및 확인업체의 사업주가 착공하려는 건설공사는 제외함)
  • ① 연면적 3천제곱미터 이상인 냉동ㆍ냉장 창고시설의 설비공사
  • ② 최대 지간(支間)길이(다리의 기둥과 기둥의 중심사이의 거리)가 50미터 이상인 다리의 건설등 공사
  • ③ 지상높이가 31미터 이상인 건축물의 건설등 공사
  • ④ 저수용량 2천만톤 이상의 용수 전용 댐의 건설등 공사
  • ⑤ 깊이 10미터 이상인 굴착공사

지도사워너비2024. 2. 14. 18:38삭제
1. 5천재곱미터 이상의 냉동 냉장 창고시설 시행령 42조 ③ 법 제42조제1항제3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크기 높이 등에 해당하는 건설공사”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사를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 또는 시설 등의 건설ㆍ개조 또는 해체(이하 “건설등”이라 한다) 공사 가. 지상높이가 31미터 이상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 나. 연면적 3만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다.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인 시설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 1)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물원ㆍ식물원은 제외한다) 2) 판매시설, 운수시설(고속철도의 역사 및 집배송시설은 제외한다) 3) 종교시설 4)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5) 숙박시설 중 관광숙박시설 6) 지하도상가 7) 냉동ㆍ냉장 창고시설 2.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인 냉동ㆍ냉장 창고시설의 설비공사 및 단열공사 3. 최대 지간(支間)길이(다리의 기둥과 기둥의 중심사이의 거리)가 50미터 이상인 다리의 건설등 공사 4. 터널의 건설등 공사 5. 다목적댐, 발전용댐, 저수용량 2천만톤 이상의 용수 전용 댐 및 지방상수도 전용 댐의 건설등 공사 6. 깊이 10미터 이상인 굴착공사
2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강진단 및 건강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사업주가 「선원법」에 따른 건강진단을 실시한 경우에는 그 건강진단을 받은 근로자에 대하여 일반건강진단을 실시한 것으로 본다.
  • ② 일반건강진단의 제1차 검사항목에 흉부방사선 촬영은 포함되지 않는다.
  • ③ 사업주는 특수건강진단의 결과를 근로자의 건강 보호 및 유지 외의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 ④ 일반건강진단, 특수건강진단, 배치전건강진단, 수시건강진단, 임시건강진단의 비용은 「국민건강보험법」에서 정한 기준에 따른다.
  • ⑤ 사업주는 배치전건강진단을 실시하는 경우 근로자대표가 요구하면 근로자대표를 참석시켜야 한다.

나라만만세2024. 2. 27. 20:08삭제
혈소청 신시흉
2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지도사 보수교육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 ① ㄱ: 10, ㄴ: 1, ㄷ: 5
  • ② ㄱ: 10, ㄴ: 2, ㄷ: 10
  • ③ ㄱ: 20, ㄴ: 1, ㄷ: 5
  • ④ ㄱ: 20, ㄴ: 2, ㄷ: 10
  • ⑤ ㄱ: 20, ㄴ: 2, ㄷ: 15

나라만만세2024. 2. 27. 20:10삭제
지도사 보수교육 20 = 2*10
2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할 대상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① ㄱ, ㄴ
  • ② ㄷ, ㄹ
  • ③ ㄱ, ㄴ, ㄷ
  • ④ ㄴ, ㄷ, ㄹ
  • ⑤ ㄱ, ㄴ, ㄷ, ㄹ

지도사워너비2024. 2. 14. 19:08삭제
시행령 제49조(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할 대상) 법 제49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장”이란 다음 각 호의 사업장을 말한다. 1.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2배 이상인 사업장 2. 법 제49조제1항제2호에 해당하는 사업장 3.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이상(상시근로자 1천명 이상 사업장의 경우 3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4. 그 밖에 작업환경 불량, 화재ㆍ폭발 또는 누출 사고 등으로 사업장 주변까지 피해가 확산된 사업장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업장
지도사워너비2024. 2. 14. 18:53삭제
법 49조, 안전보건개선계획 대상업체 1.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 2.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조치 또는 보건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3.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 이상의 직업성 질병자가 발생한 사업장 (연간 2명 이상, 상시 근로자 1000명이상 경우 3명이상) 4. 제106조에 따른 유해인자의 노출기준을 초과한 사업장
2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지도사와 산업보건지도사의 직무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것은?
  • ① 유해ㆍ위험의 방지대책에 관한 평가ㆍ지도
  • ② 근로자 건강진단에 따른 사후관리 지도
  • ③ 작업환경의 평가 및 개선 지도
  • ④ 공정상의 안전에 관한 평가ㆍ지도
  • ⑤ 안전보건개선계획서의 작성

지도사워너비2024. 2. 14. 19:15삭제
② 산업보건지도사는 다음 각 호의 직무를 수행한다. 1. 작업환경의 평가 및 개선 지도 2. 작업환경 개선과 관련된 계획서 및 보고서의 작성 3. 근로자 건강진단에 따른 사후관리 지도 4. 직업성 질병 진단(「의료법」 제2조에 따른 의사인 산업보건지도사만 해당한다) 및 예방 지도 5. 산업보건에 관한 조사ㆍ연구 6. 그 밖에 산업보건에 관한 사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지도사워너비2024. 2. 14. 19:14삭제
시행령 제101조(산업안전지도사 등의 직무) ① 법 제142조제1항제4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이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말한다. 1. 법 제36조에 따른 위험성평가의 지도 2. 법 제49조에 따른 안전보건개선계획서의 작성 3. 그 밖에 산업안전에 관한 사항의 자문에 대한 응답 및 조언 ② 법 제142조제2항제6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이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말한다. 1. 법 제36조에 따른 위험성평가의 지도 2. 법 제49조에 따른 안전보건개선계획서의 작성 3. 그 밖에 산업보건에 관한 사항의 자문에 대한 응답 및 조언
2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별 교육내용에서 특별교육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작업명은?
  • ① 전압이 75볼트 이상인 정전 및 활선작업
  • ② 콘크리트 파쇄기를 사용하여 하는 파쇄작업(2미터 이상인 구축물의 파쇄작업만 해당한다)
  • ③ 굴착면의 높이가 2미터 이상이 되는 지반 굴착(터널 및 수직갱 외의 갱 굴착은 제외한다)작업
  • ④ 선박에 짐을 쌓거나 부리거나 이동시키는 작업
  • ⑤ 게이지 압력을 제곱미터당 1킬로그램 이상으로 사용하는 압력용기의 설치 및 취급작업

나라만만세2024. 2. 27. 20:18삭제
문제가 참 추잡스럽네
지도사워너비2024. 2. 14. 19:40삭제
법 별표8-2 32. 게이지 압력을 제곱미터가 아니라 제곱 센티미터당 으로 바꿔야 함. 그래서 5번이 오답. 풀이가 오류임.
2과목 : 산업안전일반
27. 교육훈련 기법에서 강의법(Lecture method)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수강자의 학습참여도가 높고 적극성과 협조성을 부여하는 데 효과적이다.
  • ② 오래된 전통 교수방법이며 안전지식의 전달방법으로 유용하다.
  • ③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비교적 적다.
  • ④ 수업의 도입이나 초기단계에 적용이 효과적이다.
  • ⑤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교육할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8. 원인결과분석(CCA)기법에 관한 기술지침상 원인결과분석의 평가절차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 ① ㄱ→ ㄹ→ㄷ →ㅂ→ ㄴ→ㅁ
  • ② ㄱ→ ㄹ→ㅂ →ㄴ→ ㄷ→ㅁ
  • ③ ㄷ→ ㅂ→ㄴ →ㄹ→ ㄱ→ㅁ
  • ④ ㄹ→ ㄱ→ㄷ →ㅂ→ ㄴ→ㅁ
  • ⑤ ㄹ→ ㄱ→ㅂ →ㄴ→ ㄷ→ㅁ

나라만만세2024. 2. 27. 20:21삭제
평안사 결최문
29. 안전관리 활동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아닌 것은?
  • ① 근로자의 사기 진작
  • ② 생산성 향상
  • ③ 손실비용 증가
  • ④ 신뢰성 유지 및 확보
  • ⑤ 이윤 증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0. 현장이나 직장에서 직속상사가 부하직원에게 일상 업무를 통하여 지식, 기능, 문제해결능력 및 태도 등을 교육 훈련하는 방법으로 개별교육에 적합한 것은?
  • ① TWI(Training Within Industry)
  • ② OJT(On the Job Training)
  • ③ ATP(Administration Training Program)
  • ④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
  • ⑤ Off JT(Off the Job Trainin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1. 산업안전보건법상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ㆍ의결 사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① ㄱ
  • ② ㄴ, ㄹ
  • ③ ㄷ, ㄹ
  • ④ ㄱ, ㄴ, ㄷ
  • ⑤ ㄱ, ㄴ, ㄷ, ㄹ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2. 재해의 통계적 원인분석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파레토도
  • ② 특성요인도
  • ③ 소시오메트리도
  • ④ 클로즈분석도
  • ⑤ 관리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3. 제조물 책임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제조업자”란 제조물의 제조ㆍ가공 또는 수입을 업(業)으로 하는 자를 말한다.
  • ② 동일한 손해에 대하여 배상할 책임이 있는 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연대하여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 ③ “제조물”이란 제조되거나 가공된 동산(다른 동산이나 부동산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말한다.
  • ④ “설계상의 결함”이란 제조업자가 합리적인 설명ㆍ지시ㆍ경고 또는 그 밖의 표시를 하였더라면 해당 제조물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피해나 위험을 줄이거나 피할 수 있었음에도 이를 하지 아니한 경우를 말한다.
  • ⑤ 제조업자는 제조물의 결함으로 생명ㆍ신체 또는 재산에 손해(그 제조물에 대하여만 발생한 손해는 제외한다)를 입은 자에게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4. 제어시스템에서의 안전무결성등급(SIL)에 관한 일부내용이다. ( )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
  • ① ㄱ: 1, ㄴ: 4
  • ② ㄱ: 1, ㄴ: 5
  • ③ ㄱ: 4, ㄴ: 1
  • ④ ㄱ: 5, ㄴ: 1
  • ⑤ ㄱ: 5, ㄴ: 2

나라만만세2024. 2. 27. 20:31삭제
미만 승수를 보라
지도사워너비2024. 2. 14. 20:00삭제
SIL(Safety Integrity Level)은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국제 표준으로,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등급이 높을수록 신뢰도가 높다.
35. 산업재해발생의 기본 원인 4M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Man
  • ② Method
  • ③ Machine
  • ④ Media
  • ⑤ Management

나라만만세2024. 2. 27. 20:33삭제
매기인간(관)
지도사워너비2024. 2. 14. 20:02삭제
모든재해는 불안전한 상태 및 불안전한 행동에 의하여 발생되며, 재해의 기본원인인 4M은 Man(인간), Machine(기계), Media(매체), Management(관리)
36. 공정안전성 분석(K-PSR)기법에 관한 기술지침상 “위험형태”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① ㄱ, ㄴ
  • ② ㄱ, ㄷ
  • ③ ㄴ, ㄷ
  • ④ ㄱ, ㄴ, ㄷ
  • ⑤ ㄱ, ㄴ, ㄷ, ㄹ

나라만만세2024. 2. 27. 20:34삭제
화상(이) 누공?
37. 인간공학적 동작 경제원칙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양손은 동시에 시작하고 동시에 끝나지 않도록 한다.
  • ② 양팔의 동작은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 ③ 손과 신체동작은 작업을 원만하게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장 낮은 동작등급을 사용하도록 한다.
  • ④ 족답장치를 활용하여 양손이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⑤ 휴식시간을 제외하고는 양손이 동시에 쉬지 않도록 한다.

지도사워너비2024. 2. 14. 20:13삭제
1. 신체사용에 관한 원칙 1) 양손은 동시에 동작을 시작하고 끝마쳐야 한다. 2) 휴식시간 외에는 양손이 동시에 쉬어서는 안된다. 3) 양팔은 각기 반대방향에서 대칭적으로 동시에 움직여야 한다. 4) 손의 동작은 최소동작 등급을 사용 하도록 한다. 3등급 동작이 손가락만의 동작보다 정확하고 덜 피곤하기 때문에 경작업의 경우에는 3등급 동작이 바람직 하다. ​ 5) 동작의 관성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이 좋다. 6) 제한된 동작이나, 급격한 방향전환 보다는 유연한 동작이 좋다. 7) 작업동작은 율동이 맞아야 한다. 8) 직선동작보다는 연속적인 곡선동작을 취하는 것이 좋다. 9) 탄도동작은 제한되거나 통제된 동작보다 더 신속, 정확, 용이하다.
38. 부품 신뢰도가 A인 동일한 4개의 부품을 병렬로 연결하였을 때 전체시스템의 신뢰도는 0.9984가 되었다. 이 부품 신뢰도 A는 얼마인가?
  • ① 0.5
  • ② 0.6
  • ③ 0.7
  • ④ 0.8
  • ⑤ 0.9

무식이용기2024. 3. 24. 17:10삭제
문재풀이에 1-A=0.02가 오타군요 1-A=0.2 입니다 따라서 A=0.8이 됩니다. 0.0016^1/4이 0.2 이므로...
나라만만세2024. 2. 27. 20:36삭제
0.98인데 왜 0.8?
39. 안전성평가 6단계에서 단계별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2단계: 정성적 평가
  • ② 3단계: 정량적 평가
  • ③ 4단계: 안전대책
  • ④ 5단계: 재해정보에 의한 재평가
  • ⑤ 6단계: ETA에 의한 재평가

무식이용기2024. 3. 24. 17:28삭제
6단계는 FTA실시입니다. 따라서 문장 뒷 부분의 "재평가"는 적절치 않음
나도 한마디2024. 3. 23. 06:37삭제
5. 6단계 : FTA에 의한 재평가
나라만만세2024. 2. 27. 20:40삭제
ETA는 안전대책 전에 있군
40. 인간-기계시스템 설계과정 6단계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 ① ㄱ→ ㄴ→ㄷ →ㄹ→ ㅁ→ㅂ
  • ② ㄱ→ ㄴ→ㄹ →ㄷ→ ㅁ→ㅂ
  • ③ ㄱ→ ㄷ→ㄴ →ㅁ→ ㄹ→ㅂ
  • ④ ㄴ→ ㄱ→ㄷ →ㄹ→ ㅁ→ㅂ
  • ⑤ ㄴ→ ㄷ→ㄱ →ㅁ→ ㄹ→ㅂ

11112024. 7. 1. 19:48삭제
목시기 인촉평
나라만만세2024. 2. 27. 20:38삭제
목시기 인평촉
41. 사고 피해예측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상 위험 기준의 정립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
  • ① ㄱ: 1, ㄴ: 0.07
  • ② ㄱ: 1, ㄴ: 6.9
  • ③ ㄱ: 5, ㄴ: 0.07
  • ④ ㄱ: 5, ㄴ: 6.9
  • ⑤ ㄱ: 10, ㄴ: 0.07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2. A부품의 고장확률 밀도함수는 평균고장률이 시간당 10-2 인 지수분포를 따르고 있다. 이 부품을 180분 작동시켰을 때의 불신뢰도는? (단,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하시오.)
  • ① 0.03
  • ② 0.05
  • ③ 0.95
  • ④ 0.97
  • ⑤ 0.99

왕중양2025. 3. 5. 12:10삭제
해설이 이상한 것 같습니다. 다음 풀이가 맞는 것 같은데요.. 고장률=0.01 불신뢰도F(t) = 1 - 신뢰도R(t) = 1 - exp(-0.01t) = 1 - exp(-0.01×3) <--- 180분 = 3시간 = 0.0295 => 0.03
43.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공기압축기를 가동하기 전에 관리감독자가 하여야 하는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슬라이드 또는 칼날에 의한 위험방지 기구의 기능
  • ② 압력방출장치의 기능
  • ③ 언로드밸브(unloading valve)의 기능
  • ④ 회전부의 덮개
  • ⑤ 드레인밸브(drain valve)의 조작 및 배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4. 재해사례연구의 진행단계에 관한 내용이다. 진행단계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 ① ㄱ→ ㄷ→ㄴ →ㄹ→ ㅁ
  • ② ㄱ→ ㄷ→ㄹ →ㄴ→ ㅁ
  • ③ ㄴ→ ㄷ→ㄱ →ㄹ→ ㅁ
  • ④ ㄷ→ ㄱ→ㄴ →ㄹ→ ㅁ
  • ⑤ ㄷ→ ㄱ→ㄹ →ㄴ→ ㅁ

2024. 3. 20. 12:29삭제
재사문근대
45. 암실 내에서 정지된 작은 빛을 응시하고 있으면 그 빛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자동운동이라고 한다. 자동운동이 생기기 쉬운 조건으로 옳은 것은?
  • ① 광점이 클 것
  • ② 광의 강도가 작을 것
  • ③ 시야의 다른 부분이 밝을 것
  • ④ 대상이 복잡할 것
  • ⑤ 광의 눈부심과 조도가 클 것

지도사워너비2024. 2. 18. 14:09삭제
자동운동 조건 ① 광점이 작을 것   ② 대상이 단순할 것   ③ 광의 강도가 작을 것   ④ 시야의 다른 부분이 어두울 것
46. 통전경로별 위험도가 큰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 ① ㄱ >ㄴ >ㄷ >ㄹ
  • ② ㄴ >ㄷ >ㄱ >ㄹ
  • ③ ㄷ >ㄱ >ㄴ >ㄹ
  • ④ ㄹ >ㄱ >ㄴ >ㄷ
  • ⑤ ㄹ >ㄱ >ㄷ >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7. 반지름 30 cm의 조종구를 20° 움직였을 때 표시계기의 지침이 2 cm 이동하였다면, 이 계기의 통제표시비는?
  • ① 약 4.12
  • ② 약 5.23
  • ③ 약 7.34
  • ④ 약 8.42
  • ⑤ 약 10.46

윤덕중2024. 3. 21. 10:19삭제
((20/360)*2*3.14*30)/2=5.23333333
48. 시몬즈(Simonds)의 재해손실비 평가방법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
  • ① ㄱ: 비보험, ㄴ: 입원상해, ㄷ: 유족상해
  • ② ㄱ: 간접, ㄴ: 입원상해, ㄷ: 비응급조치
  • ③ ㄱ: 비보험, ㄴ: 통원상해, ㄷ: 응급조치
  • ④ ㄱ: 간접, ㄴ: 통원상해, ㄷ: 중상해
  • ⑤ ㄱ: 비보험, ㄴ: 물적손실, ㄷ: 비응급조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9. 매슬로우(Maslow)의 동기부여이론(욕구5단계이론)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제1단계: 생리적 욕구(생명유지의 기본적 욕구)
  • ② 제2단계: 도전 욕구(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 욕구)
  • ③ 제3단계: 사회적 욕구(소속감과 애정 욕구)
  • ④ 제4단계: 존경 욕구(인정받으려는 욕구)
  • ⑤ 제5단계: 자아실현 욕구(잠재적 능력의 실현 욕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0.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충격소음작업” 정의의 일부내용이다. ( )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
  • ① ㄱ: 1천, ㄴ: 125
  • ② ㄱ: 3천, ㄴ: 125
  • ③ ㄱ: 5천, ㄴ: 125
  • ④ ㄱ: 8천, ㄴ: 130
  • ⑤ ㄱ: 1만, ㄴ: 130

두다다쿵2025. 3. 23. 22:38삭제
<소음작업> 8h 85 <강렬소음작업> 8h 90/ 4h 95/ 2h 100/1h 105/30m 110/ 15m 115 <충격소음작업> 120 1만회/130 1천회/ 140 1백회 <유해위험성:소음성난청>85데시벨
지도사워너비2024. 2. 18. 14:29삭제
산업안전보건에 관한규칙 제512조(정의) 이 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소음작업”이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말한다. 2. “강렬한 소음작업”이란 다음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을 말한다. 가.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나. 9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다. 10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라. 10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마. 11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30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바. 11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5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3. “충격소음작업”이란 소음이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작업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을 말한다. 가. 120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만회 이상 발생하는 작업 나. 130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천회 이상 발생하는 작업 다. 140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백회 이상 발생하는 작업
3과목 : 기업진단ㆍ지도
51. 인사평가의 방법을 상대평가법과 절대평가법으로 구분할 때 상대평가법에 속하는 기법을 모두 고른 것은?
  • ① ㄱ, ㄴ, ㄷ
  • ② ㄱ, ㄴ, ㄹ
  • ③ ㄱ, ㄷ, ㄹ
  • ④ ㄴ, ㄷ, ㅁ
  • ⑤ ㄴ, ㄹ, ㅁ

12342024. 1. 26. 16:40삭제
*상대평가법 서열법: 최고성과자부터 차례대로 순서를 정하는 방법 쌍대비교법 : 일일이 임의로 두 사람씩 짝을 지은 다음 서로 비교하는 것을 되풀이하여 서열을 결정하는 방법 강제할당법 : 사전에 정해진 정규분포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강제 서열을 정하는 방법 *절대평가법 평정척도법 : 특성과 행동을 평가요소와 달성도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방법 행위기준척도법 : 피평가자의 실제 행동을 평가의 기준으로 삼는 고과법 체크리스트법 : 몇가지 특성이나 행동을 구체적으로 기술한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평가자 피평가자의 능력을 기준 표의 등급과 비교하는 방법
52. 기능별 부문화와 제품별 부문화를 결합한 조직구조는?
  • ① 가상조직(virtual organization)
  • ② 하이퍼텍스트조직(hypertext organization)
  • ③ 애드호크라시(adhocracy)
  • ④ 매트릭스조직(matrix organization)
  • ⑤ 네트워크조직(network organization)

12342024. 1. 26. 16:35삭제
네트워크조직- 생산, 판매, 회계 등 조직의 전통적인 여러 기능들이 독립적 조직들로 분산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이 본사와의 계약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조직 구조를 말함
53. 아담스(J. Adams)의 공정성이론에서 투입과 산출의 내용 중 투입이 아닌 것은?
  • ① 시간
  • ② 노력
  • ③ 임금
  • ④ 경험
  • ⑤ 창의성

12342024. 1. 26. 16:42삭제
투입 : 시간, 노력, 직무경험, 지위, 나이 ,창의성 등 산출 : 임금, 기타복지후생, 승진, 근무환경, 만족감, 조직과 상사의 인정과 지원 등
54. 집단의사결정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델파이법(Delphi technique)은 의사결정 시간이 짧아 긴박한 문제의 해결에 적합하다.
  • ②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은 다른 참여자의 아이디어에 대해 비판할 수 없다.
  • ③ 프리모텀(premortem) 기법은 어떤 프로젝트가 실패했다고 미리 가정하고 그 실패의 원인을 찾는 방법이다.
  • ④ 지명반론자법은 악마의 옹호자(devil's advocate) 기법이라고도 하며, 집단사고의 위험을 줄이는 방법이다.
  • ⑤ 명목집단법은 참여자들 간에 토론을 하지 못한다.

내일은 지도사2025. 3. 15. 07:11삭제
프리모텀 (Premortem) 작동 방식:프로젝트가 실패했다고 가정하고, 그 실패의 원인을 분석합니다. 참여자들이 실패 원인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방책을 마련합니다. 장점: 잠재적인 문제를 사전에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습니다. 팀원들이 프로젝트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단점: 부정적인 사고에 집중하게 되어, 팀의 사기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실패 원인 분석이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활용 상황: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위험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지명반론자법 (Devil's Advocate) 작동 방식:특정 참여자를 악마의 옹호자 역할로 지정하여, 제안된 아이디어나 계획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고, 집단사고를 방지합니다. 장점: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어, 보다 균형 잡힌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비판적인 사고를 촉진하여,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단점:비판이 과도해질 경우, 팀의 사기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반론을 제기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활용 상황:중요한 결정이나 전략 수립 시,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명목집단법 (Nominal Group Technique) 작동 방식: 참여자들이 독립적으로 아이디어를 제시한 후, 이를 정리하여 투표를 통해 우선순위를 정합니다. 토론은 최소화하여, 각자의 의견이 고르게 반영되도록 합니다. 장점: 모든 참여자의 의견이 공정하게 반영됩니다. 구조화된 방식으로 진행되어,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합니다. 단점:토론이 제한되어 있어, 깊이 있는 논의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이 적어, 창의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활용 상황: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우선순위를 정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의 목표 설정이나 문제 해결 방안 도출 시 활용됩니다.
내일은 지도사2025. 3. 15. 07:08삭제
1. 델파이법 (Delphi Technique) 작동 방식: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각 전문가에게 질문지를 배포합니다. 각 전문가가 독립적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이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하여 전문가들 간의 합의를 도출합니다. 장점: 익명성이 보장되어,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집할 수 있어,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단점: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으며, 긴박한 문제 해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전문가의 선택이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활용 상황: 복잡한 문제 해결이나 미래 예측이 필요한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정책 결정, 기술 개발, 시장 조사 등에서 활용됩니다.
12342024. 1. 26. 16:44삭제
델파이 방법 : 적절한 해답이 알려져 있지 않거나 일정한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한 문제에 대하여 다수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나 우편조사로 수차에 걸쳐 피드백하면서 그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집단적 합의를 도출해 내는 조사방법 [네이버 지식백과] 델파이 방법 [Delphi method, -方法]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55. 부당노동행위 중 근로자가 어느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아니할 것 또는 탈퇴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거나 특정한 노동조합의 조합원이 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행위는?
  • ① 불이익대우
  • ② 단체교섭거부
  • ③ 지배ㆍ개입 및 경비원조
  • ④ 정당한 단체행동참가에 대한 해고 및 불이익대우
  • ⑤ 황견계약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6. 식스 시그마(Six Sigma) 분석도구 중 품질 결함의 원인이 되는 잠재적인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표현해주며, Fishbone Diagram으로도 불리는 것은?
  • ① 린 차트
  • ② 파레토 차트
  • ③ 가치흐름도
  • ④ 원인결과 분석도
  • ⑤ 프로세스 관리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7. 수요를 예측하는데 있어 과거 자료보다는 최근 자료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논리에 근거한 지수평활법을 사용하여 수요를 예측하고자 한다. 다음 자료의 수요 예측값(Ft)은?
  • ① 1,005
  • ② 1,010
  • ③ 1,015
  • ④ 1,020
  • ⑤ 1,200

내일은 지도사2025. 3. 15. 15:34삭제
평활상수 x 직전기간 실제값+ 직전기간지수평활 예측값x(1-평활상수)= 0.05x1200+(1-0.05)1000=60+950 =1010
58. 재고량에 관한 의사결정을 할 때 고려해야 하는 재고유지 비용을 모두 고른 것은?
  • ① ㄱ, ㄴ, ㄷ
  • ② ㄱ, ㄴ, ㄹ
  • ③ ㄱ, ㄷ, ㅁ
  • ④ ㄱ, ㄹ, ㅁ
  • ⑤ ㄴ, ㄷ, ㄹ

12342024. 1. 26. 16:32삭제
재고유지비용(holding costs) - 보관설비비용, 진부화(노후화)비용, 취급비용, 보험비용, 세금, 도난,멸실비용, 제품 제조 자금에 대한 이자 등
59. 서비스 수율관리(yield management)가 효과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아닌 것은?
  • ① 변동비가 높고 고정비가 낮은 경우
  • ② 재고가 저장성이 없어 시간이 지나면 소멸하는 경우
  • ③ 예약으로 사전에 판매가 가능한 경우
  • ④ 수요의 변동이 시기에 따라 큰 경우
  • ⑤ 고객특성에 따라 수요를 세분화할 수 있는 경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0. 오건(D. Organ)이 범주화한 조직시민행동의 유형에서 불평, 불만, 험담 등을 하지 않고, 있지도 않은 문제를 과장해서 이야기 하지 않는 행동에 해당하는 것은?
  • ① 시민덕목(civic virtue)
  • ② 이타주의(altruism)
  • ③ 성실성(conscientiousness)
  • ④ 스포츠맨십(sportsmanship)
  • ⑤ 예의(courtesy)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1. 직업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비르(T. Beehr)와 프랜즈(T. Franz)는 직업 스트레스를 의학적 접근, 임상ㆍ상담적 접근, 공학심리학적 접근, 조직심리학적 접근 등 네 가지 다른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 ② 요구-통제 모델(Demands-Control Model)은 업무량 이외에도 다양한 요구가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러한 다양한 요구가 종업원의 안녕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 ③ 자원보존 이론(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은 종업원들은 시간에 걸쳐 자원을 축적하려는 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자원의 실제적 손실 또는 손실의 위협이 그들에게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 ④ 셀리에(H. Selye)의 일반적 적응증후군 모델은 경고(alarm), 저항(resistance), 소진(exhaustion)의 세 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 ⑤ 직업 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 모호성(role ambiguity)은 종업원이 자신의 직무기능과 책임이 무엇인지 불명확하게 느끼는 정도를 말한다.

비모골2024. 3. 26. 18:07삭제
종원업의안녕과동기~ 요구자원모델
62. 직무만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척도인 직무기술 지표(Job Descriptive Index: JDI)의 하위 요인이 아닌 것은?
  • ① 업무
  • ② 동료
  • ③ 관리 감독
  • ④ 승진 기회
  • ⑤ 작업 조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3. 해크만(J. Hackman)과 올드햄(G. Oldham)의 직무특성 이론은 5개의 핵심직무특성이 중요 심리상태라고 불리는 다음 단계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고 주장하는데, '일의 의미감(meaningfulness) 경험'이라는 심리상태와 관련있는 직무특성을 모두 고른 것은?
  • ① ㄱ, ㄷ
  • ② ㄱ, ㄷ, ㅁ
  • ③ ㄴ, ㄹ, ㅁ
  • ④ ㄷ, ㄹ, ㅁ
  • ⑤ ㄴ, ㄷ, ㄹ, ㅁ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4. 브룸(V. Vroom)의 기대 이론(expectancy theory)에서 일정 수준의 행동이나 수행이 결과적으로 어떤 성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믿음을 나타내는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
  • ① 기대(expectancy)
  • ② 방향(direction)
  • ③ 도구성(instrumentality)
  • ④ 강도(intensity)
  • ⑤ 유인가(valence)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5. 라스뮈센(J. Rasmussen)의 수행수준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실수(slip)의 기본적인 분류는 3가지 주제에 대한 것으로 의도형성에 따른 오류, 잘못된 활성화에 의한 오류, 잘못된 촉발에 의한 오류이다.
  • ② 인간의 행동을 숙련(skill)에 바탕을 둔 행동, 규칙(rule)에 바탕을 둔 행동, 지식(knowledge)에 바탕을 둔 행동으로 분류한다.
  • ③ 오류의 종류로 인간공학적 설계오류, 제작오류, 검사오류, 설치 및 보수오류, 조작오류, 취급오류를 제시한다.
  • ④ 오류를 분류하는 방법으로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에 의한 분류, 오류의 발생결과에 의한 분류, 오류가 발생하는 시스템 개발단계에 의한 분류가 있다.
  • ⑤ 사람들의 오류를 분석하고 심리수준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이며 욕구체계, 기억체계, 의도체계, 행위체계가 존재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6. 착시를 크기 착시와 방향 착시로 구분하는 경우, 동일한 물리적인 길이와 크기를 가지는 선이나 형태를 다르게 지각하는 크기 착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뮬러-라이어(Müller-Lyer) 착시
  • ② 폰조(Ponzo) 착시
  • ③ 에빙하우스(Ebbinghaus) 착시
  • ④ 포겐도르프(Poggendorf) 착시
  • ⑤ 델뵈프(Delboeuf) 착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7. 집단(팀)에 관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모델은?
  • ① 캠피온(Campion)의 모델
  • ② 맥그래스(McGrath)의 모델
  • ③ 그래드스테인(Gladstein)의 모델
  • ④ 해크만(Hackman)의 모델
  • ⑤ 터크만(Tuckman)의 모델

12342024. 1. 26. 15:58삭제
터크만의 팀 발달 5단계-미국의 심리학자 터크만은 집단(팀)은 형성,갈등,규범,성취,해산기를 거쳐서 발전한다는 학설 제시, 집단 내 역동성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도구 중 하나로 사용
68. 산업재해이론 중 아담스(E. Adams)의 사고연쇄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2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
  • ① 관리구조의 결함, 전술적 오류, 관리기술 오류가 연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사고와 재해로 이어진다.
  • ② 불안전상태와 불안전행동을 어떻게 조절하고 관리할 것인가에 관심을 가지고 위험해결을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 ③ 긴장 수준이 지나치게 높은 작업자가 사고를 일으키기 쉽고 작업수행의 질도 떨어진다.
  • ④ 작업자의 주의력이 저하하거나 약화될 때 작업의 질은 떨어지고 오류가 발생해서 사고나 재해가 유발되기 쉽다.
  • ⑤ 사고나 재해는 사고를 낸 당사자나 사고발생 당시의 불안전행동, 그리고 불안전행동을 유발하는 조건과 감독의 불안전 등이 동시에 나타날 때 발생한다.

12342024. 1. 26. 15:42삭제
아담스의 사고연쇄 이론 재해의 직접 원인이 불안전한 행동, 상태에서 유발하거나 방치한 전술적 에러에서 비롯된다고 주장 1단계 : 관리구조 결여(회사의 조직 운영, 방침 등) 2단계 : 작전적 에러(의사결정이 그릇되거나 행동을 안함) 3단계 : 전술적 에러(불안전한 행동, 상태) 4단계 : 사고(아차사고, 비상해사고_ 5단계 : 상해, 손해(대물, 대인)
69. 다음은 산업위생을 연구한 학자이다. 누구에 관한 설명인가?
  • ① Alice Hamilton
  • ② Percival Pott
  • ③ Thomas Percival
  • ④ Georgius Agricola
  • ⑤ Pliny the Elder

12342024. 1. 26. 15:39삭제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 데 레 메탈리카/광산학의 아버지
70.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최고노출기준(C)”이란 근로자가 1일 작업시간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기준이다.
  • ② 노출기준을 이용할 경우에는 근로시간, 작업의 강도, 온열조건, 이상기압도 고려하여야 한다.
  • ③ “Skin” 표시물질은 피부자극성을 뜻하는 것은 아니며, 점막과 눈 그리고 경피로 흡수되어 전신 영향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다.
  • ④ 발암성 정보물질의 표기는 화학물질의 분류ㆍ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에 따라 1A, 1B, 2로 표기한다.
  • ⑤ “단시간노출기준(STEL)”이란 15분간의 시간가중평균노출값으로서 노출농도가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을 초과하고 단시간노출기준(STEL) 이하인 경우에는 1회 노출 지속시간이 15분 미만이어야 하고, 이러한 상태가 1일 3회 이하로 발생하여야 하며, 각 노출의 간격은 45분 이상이어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1. 근로자건강진단 실무지침에서 화학물질에 대한 생물학적 노출지표의 노출기준 값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노말-헥산: [소변 중 2,5-헥산디온, 5 mg/L]
  • ② 메틸클로로포름: [소변 중 삼염화초산, 10 mg/L]
  • ③ 크실렌: [소변 중 메틸마뇨산, 1.5 g/g crea]
  • ④ 톨루엔: [소변 중 o-크레졸, 1 mg/g crea]
  • ⑤ 인듐: [혈청 중 인듐, 1.2㎍/L]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2. 후드 개구부 면에서 제어속도(capture velocity)를 측정해야 하는 후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은?
  • ① 외부식 후드
  • ② 포위식 후드
  • ③ 리시버(receiver)식 후드
  • ④ 슬롯(slot) 후드
  • ⑤ 캐노피(canopy) 후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3. 카드뮴 및 그 화합물에 대한 특수건강진단 시 제1차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것은? (단, 근로자는 해당 작업에 처음 배치되는 것은 아니다.)
  • ① 소변 중 카드뮴
  • ② 베타 2 마이크로글로불린
  • ③ 혈중 카드뮴
  • ④ 객담세포검사
  • ⑤ 단백뇨정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4.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기준에서 유해요인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니켈 - 폐암, 비강암, 눈의 자극증상
  • ② 오산화바나듐 - 천식, 폐부종, 피부습진
  • ③ 베릴륨 - 기침, 호흡곤란, 폐의 육아종 형성
  • ④ 카드뮴 - 만성 폐쇄성 호흡기 질환 및 폐기종
  • ⑤ 망간 - 접촉성 피부염, 비중격 점막의 괴사

두다다쿵2025. 3. 27. 15:54삭제
망간:[수행신발]수면방해,행동이상,신경증상,발음부정확 니켈:[폐비자극]폐암 비강암 눈자극 오산화바나듐:[천폐피]천식 폐부종 피부습진 베릴륨:[기호폐육]기침 호흡곤란 폐의육아종 카드뮴:[접피점괴]접촉성피부염, 비중격 점막괴사
75.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에는 해당하지만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는 아닌 것은?
  • ① 디에틸아민
  • ② 디에틸에테르
  • ③ 무수프탈산
  • ④ 브롬화메틸
  • ⑤ 피리딘

12025. 3. 9. 10:56삭제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21)와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22)를 비교해 보면 디에 틸아민은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에는 해당하지만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에는 해당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