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2022. 6. 18.) 시험일자 : 2022년 6월 18일
1.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상 GNSS측량기를 사용하여 정지측량방법으로 지적삼각측량을 실시하고자 한다. 세션 관측시간과 데이터 취득간격을 옳게 짝지은 것은?

- ① ①
- ② ②
- ③ ③
- ④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삼각점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지적삼각점은 유섬다각망, 삽입망, 사각망, 삼각쇄 또는 삼변 이상의 망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 ② 망평균계산법과 삼변측량에 따르는 경우 삼각형의 각 내각은 30도 이상 120도 이하로 한다.
- ③ 지적삼각점측량을 할 때에는 미리 지적삼각점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 ④ 지적삼각점성과 결정을 위한 관측 및 계산의 과정은 지적삼각점측량부에 적어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삼각점성과표의 기록 및 관리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설치기관
- ② 좌표 및 표고
- ③ 측량연월일
- ④ 시준점의 명칭, 방위각 및 거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각측량기기를 이용한 수평 및 수직각 관측 시 망원경을 정위, 반위로 측정함으로써 소거할 수 있는 오차가 아닌 것은?
- ① 수평축 오차
- ② 시준선 편섬(외심)오차
- ③ 연직축 오차
- ④ 시준축 오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지적확정측량규정」상 확정측량 결과도를 작성할 때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표시 색상을 옳지 않게 짝지은 것은?
- ① 지적기준점 - 검은색
- ② 도곽선 - 붉은색
- ③ 지적기준점 번호 - 붉은색
- ④ 색인도 - 검은색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보기>에서 측선 의 방위각 값은? (단, 측선 의 방위각은 116° 30′ 20″, β1 = 274° 10′ 50″, β2 = 71° 10′ 30″ 이다.)

- ① 96° 51′ 00″
- ② 96° 51′ 40″
- ③ 101° 51′ 00″
- ④ 101° 51′ 4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상 GNSS측량방법 및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폐합기선장의 총합이 10km 미만일 때 기선벡터 각 성분(△X, △Y, △Z)의 폐합차가 3cm를 초과하면 재관측하여야 한다.
- ② 관측점으로부터 위성에 대한 고도각은 10° 이상으로 한다.
- ③ 정지측량방법에 의한 지적도근측량 시 세션 관측시간은 10분 이상, 데이터 취득간격은 30초 이하로 한다.
- ④ 단일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Single-RTK) 방법에 의한 지적도근측량 시 PDOP은 3이내, 기선거리는 1km 이내로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지적공부 세계측지계 변환규정」상 변환계수 산출에 필요한 공통점 결정 시, 지적기준점의 세계측지계 관측 성과와 대상지역의 변환성과간 연결교차 기준을 옳게 짝지은 것은?

- ① ①
- ② ②
- ③ ③
- ④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우리나라의 세계측지계를 따르는 평면직각좌표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원점의 축척계수는 1 이다.
- ② 서부좌표계, 중부좌표계, 동부좌표계 3개의 원점을 가진다.
- ③ 투영원점에 X축 500,000m, Y축 200,000m를 가산한다.
- ④ 투영원점은 북위 36°에 위치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지적도 1/1,000 지역에서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 측량을 <보기>와 같은 다양한 위치결정법으로 시행하였을 때,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사항들을 모두 고른 것은? (단, 모든 도선의 수평거리는 광파측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① ㄱ, ㄴ, ㅂ
- ② ㄱ, ㄷ, ㅁ
- ③ ㄴ, ㄷ, ㅁ
- ④ ㄹ, ㅁ, ㅂ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보기>에 해당하는 지적측량의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지적삼각점측량
- ② 지적세부측량
- ③ 지적도근점측량
- ④ 지척삼각보조점측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거리측정단위는 1센티미터로 한다.
- ② 도선법 또는 방사법에 따른다.
- ③ 수명각의 측각공차는 1 방향각에 대하여 60초 이내로 한다.
- ④ 농지의 구획정리 시행지역의 경우 측량결과도는 500분의 1로 작성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GNSS측량으로 측점의 타원체고를 구하였더니 23.962m였다. 이 지점의 지오이드고가 5.910m라면 정표고의 값[m] 은?
- ① 18.052
- ② 21.007
- ③ 26.917
- ④ 29.87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보기>는 지적도근점의 각도관측을 할 때의 폐색오차의 허용범위에 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①
- ② ②
- ③ ③
- ④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보기>는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삼각점측량의 관측에 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가는 수를 모두 더한 값은?

- ① 162
- ② 163
- ③ 212
- ④ 21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보기 1>과 같이 A, B, C 수준점에서 P점의 표고를 직접수준측량으로 실시한 결과가 <보기 2>와 같다. P점의 표고에 대한 최확값[m]은?

- ① 37.30
- ② 37.31
- ③ 37.32
- ④ 37.34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종중복도 65%, 횡중복도 30%로 항공사진측량을 하였을 때, 촬영 종기선길이와 횡기선길이의 비는? (단, 사진의 크기는 29.7cm×29.7cm이다.)
- ① 1:2
- ② 1:3
- ③ 2:1
- ④ 3:1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면적측정의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전자면적측정기에 따른 측정면적은 1천분의 1제곱미터까지 계산하여 10분의 1제곱미터 단위로 정한다.
- ② 좌표면적계산법에 따라 면적이 5천제곱미터 이상인 필지를 분할하는 경우 전체 면적의 20퍼센트 미만이 되는 필지의 면적을 먼저 측정한다.
- ③ 면적을 측정하는 경우 도곽선의 길이에 0.5밀리미터 이상의 신축이 있을 때에는 이를 보정하여야 한다.
- ④ 전자면적측정기에 의하여 면적을 측정하는 경우 도상에서 2회 측정하여 그 교차가 허용면적 이하인 경우 평균치를 측정면적으로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축척이 1/5,000이 지형도에서 두 점 간의 거리가 20cm라면, 축척이 다른 지형도에서 같은 두 점 간의 거리가 10cm일 때 이 지형도의 축척 값은?
- ① 1/1,000
- ② 1/2,500
- ③ 1/10,000
- ④ 1/20,00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전자기파거리측량기에 의한 거리측량 시 거리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오차의 요인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기온측정 오차
- ② 위상차관측 오차
- ③ 광변조주파수 오차
- ④ 기압측정 오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