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공무원(순경) 국어(2018. 3. 24.) 시험일자 : 2018년 3월 24일
1. 국어의 비분절 음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국어의 비분절 음운에는 장단과 억양이 있다.
- ② 국어에서 장단의 문제는 모음과 자음 모두에 해당된다.
- ③ 국어의 비분절 음운은 자음, 모음처럼 정확히 소리마디의 경계를 그을 수 없지만 말소리 요소로서 의미를 변별하는 기능을 한다.
- ④ 국어에서 장음은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째 음절에 나타나는데, 특이하게 둘째 음절 이하에 오면 장음이 단음으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 다음 밑줄 친 단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에서 '당신'은 청자를 가리키는 2인칭 대명사이다.
- ② ㉡에서 '당신'은 부부 사이에서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2인칭 대명사이다.
- ③ ㉢에서 '당신'은 맞서 싸울 때 상대편을 낮잡아 이르는 2인칭 대명사이다.
- ④ ㉣에서 '당신'은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2인칭 대명사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 국어의 단어 형성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우리나라, 우리글, 우리말'은 '우리 동네, 우리 학교, 우리 집'처럼 구(句)로 보아야 한다.
- ② 접사와 어근,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를 합성어(合成語)라 한다.
- ③ '앞뒤, 손수건, 춘추(春秋)'와 같이 어근이 대등하게 이루어진 것을 대등 합성어라 한다.
- ④ '덮밥, 부슬비, 높푸르다'와 같은 합성어를 비통사적 합성어라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4. 다음 밑줄 친 성분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과 ㉡의 밑줄 친 부분은 문장 내의 다른 성분을 수식하는 성분 부사어이다.
- ② ㉡과 ㉢의 밑줄 친 부분은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문장 부사어이다.
- ③ ㉢과 ㉣의 밑줄 친 부분은 앞뒤를 연결해 주는 접속 부사어이다.
- ④ ㉠부터 ㉣까지 밑줄 친 부분은 모두 부사어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 다음 밑줄 친 어휘의 쓰임이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그의 논문이 유명 학회지에 개재(介在)되었다.
- ② 경치가 좋은 곳을 관광지로 계발(啓發)하려 한다.
- ③ 무더위로 최대 전력 수요 경신(更新)이 계속되고 있다.
- ④ 그 회사는 어음을 결재(決裁)하지 못해 부도 처리가 되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6. 다음 표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은 '용감한'이 '그'를 꾸미는지, '그의 아버지'를 꾸미는지 불분명하다.
- ② ㉡은 '어머니가 그린 초상화'인지, '어머니를 그린 초상화'인지, '어머니가 소유한 초상화'인지 불분명하다.
- ③ ㉢은 '선생님이 보고 싶어 하는 학생'인지, '선생님을 보고 싶어 하는 학생'인지 불분명하다.
- ④ ㉣은 '철이'가 '영선'이와 결혼했다는 의미로 명확한 의미의 문장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7. 다음 띄어쓰기 규정의 '원칙'에 맞게 쓴 것 중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희망의√불씨가√꺼져간다.
- ② 한국대학교√사범대학√최치원√교수
- ③ 이천십팔√년√삼√월√이십사√일√제일√차√공무원√시험
- ④ 제발√여기에서만이라도√집에서√처럼√못√되게√굴지√않았으면√좋겠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8. 다음 중 표준어끼리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
- ① 수캉아지 – 수탕나귀 - 수평아리
- ② 황소 – 장끼 - 돐(생일)
- ③ 삵괭이 – 사글세 - 끄나불
- ④ 깡충깡충 – 오뚝이 - 아지랑이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 다음 문장 부호의 쓰임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나는 너를….” 하고 뒤돌아섰다.
- ② 그녀의 50세 나이(年歲)에 사랑의 꽃을 피웠다.
- ③ '환경 보호 ― 숲 가꾸기 ―'라는 제목으로 글짓기를 했다.
- ④ 윤동주의 유고 시집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는 31편의 시가 실려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0. 국어의 로마자 표기와 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압구정-'Apgujeong'-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 ② 속리산-'Songni-san'-자연 지물명, 문화재명 등은 붙임표를 붙여 쓴다.
- ③ 한복남-'Han Bongnam'-인명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한다.
- ④ 집현전-'Jipyeonjeon'-'ㄱ, ㄷ, ㅂ, ㅈ'이 'ㅎ'과 합하여 거센소리로 나는 경우 거센소리로 적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 현대 연극의 '막'과 유사하지만 각 '과장'은 독립적이다.
- ② ㉡: 양반의 행동을 희화화하여 보여 주고 있다.
- ③ ㉢: 언어유희를 통해 양반을 조롱하고 있다.
- ④ ㉣: 말뚝이를 통해 유발된 갈등이 완전히 해소되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2. 이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11번 공통지문 문제)
- ① 경상도 안동 지방에서 전해 내려오는 가면극의 일종이다.
- ② '양반의 위엄→말뚝이의 조롱→양반의 호통→말뚝이의 변명→양반의 안심'의 재담 구조를 보인다.
- ③ 등장인물은 공연 상황에 따라 대사를 바꾸어 표현하지 못한다.
- ④ 말뚝이는 무능한 지배 계층을 대변하는 인물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3.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 '나중에 오십시오.'라는 뜻이다.
- ② ㉡: 시적 화자의 외로운 처지를 나타낸다.
- ③ ㉢: 2월의 세시 풍속인 '연등제'와 관계된다.
- ④ ㉣: 임의 수려한 외모를 비유적으로 형상화하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4. 이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13번 공통지문 문제)
- ① 임을 그리는 여인의 심정을 월령체 형식에 맞추어 노래한 고려 가요이다.
- ② 고려 시대부터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조선 시대에 문자로 정착되어 「악장가사」에 전한다.
- ③ 후렴구를 사용하여 연을 구분하고 음악적 흥취를 고조시켰다.
- ④ 1연은 서사(序詞)로서 송축(頌祝)의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는 민간의 노래가 궁중으로 유입되면서 덧붙여진 것으로 추측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5. 다음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 시적 화자의 외로움을 달래주는 수단이다.
- ② ㉡: '눈', '나타샤' 등과 함께 현실적 괴로움을 상징한다.
- ③ ㉢: 나타샤와 함께 살고 싶은 이상적 공간이다.
- ④ ㉣: 벗어나고자 하는 세속적 공간을 의미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6. 다음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1922년 「신생활」에 발표될 당시 작품 제목은 「묘지(墓地)」였다.
- ② 주인공이 도쿄에서 서울로 왔다가 다시 도쿄로 돌아가는 여로형 소설이다.
- ③ 작품 내부의 서술자가 사건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 ④ 현실 개선의 의지가 적극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것은 무기력한 당대 지식인의 한계를 보여 준 것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7. 이 작품의 주제를 한자 성어로 바꿀 때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興盡悲來
- ② 捲土重來
- ③ 愚公移山
- ④ 渴而穿井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 모두 적절한 것은?(순서대로 ㉠, ㉡, ㉢)(17번 공통지문 문제)
- ① 敗亡, 政事, 改革
- ② 敗亡, 正使, 開革
- ③ 敗忙, 政事, 改革
- ④ 敗忙, 正使, 開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9. 이 작품의 주제와 가장 유사한 것은?
- ①
- ②
- ③
- ④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 이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19번 공통지문 문제)
- ① '국민 문학론'과 관련된 몽자류 소설이다.
- ② '현실→꿈→현실'의 환몽 구조 소설이다.
- ③ 조신 설화가 이 소설의 근원 설화이다.
- ④ 작품 속의 시대적 배경은 조선 시대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